(긴급)하수,우수관 관련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긴급)하수,우수관 관련

G 가람 10 5,517 2017.04.06 10:07
사진처럼 하수 우수관이 콘크리트 기둥부 밑에 깔려 있는 상황입니다
건물이 다 올라가면 하중에 의해 관이 파손될 우려가 있어보이는데 어떤지요


Comments

M 관리자 2017.04.06 14:04
튀어 나온 부분이 기둥이 들어갈 자리인가요?
그리고, 그 기둥 부위 상부로 흙이 쌓이나요?
G 기람 2017.04.06 17:02
네 기둥이고 현관부 포치를 지지하게 됩니다
기둥의 높이가 총 3800정도 입니다
M 관리자 2017.04.06 18:25
구조계산이 되었다면 처짐에 의한 파손은 우려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오히려 겨울철 동파의 우려가 더 커보이는데요. 문제는 다른데로 돌릴 곳이 있는지 없는지를 모르니...
G 가람 2017.04.06 23:21
답변 고맙습니다
고민이네요 흠..
현장소장님이 걱정되면 커팅후 제거하자고 합니다

배관 동파라는것은  생각도 안해봤는데.
현재 gl선에서 800 내려가있는 상태이고 되메우기 후 화단조성하면  1200~1300 정도 밑에 묻히게 됩니다
동파 우려가 되면 되메우기 전에 압출법 남은거  좀 덮을가요?
M 관리자 2017.04.07 07:20
그럼 사진에 보이는 기초상부로 흙이 얼마나 쌓이나요?
G 가람 2017.04.07 08:23
1200~1300정도입니다
M 관리자 2017.04.07 13:34
앗 그게 아니라, 기초의 상부면부터 쌓이는 흙의 두께를 의미합니다.
그리고 기둥은 콘크리트 기둥인지, 다른 기둥이면 기초와 어떻게 연결되는 것인지도 알려주셔요.
G 가람 2017.04.07 21:17
제일 깊은곳은 사진상 줄기초 방석의 상부면에서 1200입니다(도로쪽 gl밑 500, 그 위로 화단700)
제일 낮은곳은 500이안되는 곳도 있습니다
(사진상 오른쪽)
이부분이 걱정입니다

콘크리트 기둥은 오늘 제거했습니다
M 관리자 2017.04.07 21:47
아. 제거 하셨군요.. ㅠㅠ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500mm면 낮은 확율이긴 하나 동파가능성이 있었으니, 자른 것을 너무 안타까워 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G 가람 2017.04.08 10:59
잘 알겠습니다
그래도 배관  묻히는곳중 좀 낮은곳은 압출법 단열재  덮어서 보강후에 되메우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감사드립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