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내벽부터 나열합니다.
석고보드2장 -가변형투습방습층-2*10(수성연질폼)-2*4가로상(수성연질폼 or 글라스울)-esb-타이벡-세로상(웜루프)-osb-방수층-리얼징크 마감
제가 질문드리고 싶은건 2*4 가로상 부분에 같은 수성연질폼으로 처리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가로상을 글라스울로 채우는것이 나을지 하는 질문입니다. 협회 자료를 읽어보니 수성연질폼은 공극현상이 있다고 하여 왠지 밖으로 바로 가까이 하기 꺼려져서 질문드립니다.
OSB 든 ESB 든 일단 구조재와 결합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2x10 + ESB 가 되고, 그 위에 2x4r가 연결되는 순서로 해야 합니다.
그리고 "타이벡"이라는 명칭은 벽체용의 투습방수지의 제품 이름이며, 지붕용이 별도로 있습니다. 자재공급사에 문의하시면 아실 수 있을 것입니다.
2X4에 수성연질폼을 채우실 때는 외부에서 채워야 하는데, 작업 중 여러가지 환경도 그렇지만, 발포 후 처리가 손이 많이 갑니다. 4인치를 벗어나서 발포한 부분을 모두 커팅해야 하는데, 외부 환경에서 이를 처리하는 것이 꽤 괴로운 작업입니다. 그러므로 물리적판단을 떠나서 글라스울을 사용하시는 것이 옳아 보입니다.
PS. 저희 협회가 목구조에 폴리우레탄폼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지양하고 있는 것은 알고계시죠? ^^
또한 공사비를 따져 보아야 겠지만, 수성연질폼과 가변형방습지(기밀층)은 약간 중복투자의 느낌도 있습니다.
2x10 + 2x4 + ESB 로 해주셔요..
단열성은 같습니다. 다만 사이에 넣으면. 작업성이 좋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수성연질폼과 글리스울끼리만 비교해도 되며, 이 비교를 통해 최종적으로 결정을 하는 것이 좋다는 뜻이었습니다.
단열을 조금 낮춰도 괜찮다면 38내지 50미리 정도의 가로상을 서까래에 직접 못을 박아 고정하는 것이 작업성 면에선 유리할 것 같습니다.
이런 순서가 작업하기엔 더 편할 듯 싶습니다.
혹시 내부에서 서까래와 가로상 단열재를 한번에 충진하실 생각이라면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구요,
제 경험으로는 서까래와 가로상 사이에 뭔가 분리층이 있는 게 작업하기 편했는데요,그 분리층이 위에서 밟고 작업할 수 있는 합판이라면 한결 수월해집니다.
가로상에 방수투습지를 덮고 다시 세로상을 거는 건 합판 없이도 그리 어렵지 않거든요.
현장은 여러 변수가 있을테니 제 말은 참고만 하시라고 글 남깁니다.
그리고 서까래와 가로상 단열재를 한번에 충진하는걸 왜 추천하지 않으시나요?
수성연질폼처리 할 경우 빈틈없이 매꿔져서 효율이 좋을것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