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강토에 크랙이 있는데 재시공이 필요한건가요?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보강토에 크랙이 있는데 재시공이 필요한건가요?

1 통닭사랑 5 534 04.24 16:59

현장 사진과 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데 혹시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문제가 된다면 삭제바랍니다.

 

질문1.jpg

 

질문2.jpg

 

질문3.jpg

 

사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토 석축 하단부에 크랙이 발생한 부분이 몇군데 있습니다.

어느 시골 분양된 주택단지인데 집이 지어진 위치는 아니구요, 단지가 대부분 비어 있더군요. 

주변을 지나다가 궁금증이 생겨 촬영하고 질문을 드려 봅니다.

더 이상 벌어지지 않으면 그냥 둬도 되는건지? 아니면 반드시 보수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잘 부탁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04.24 17:06
딱히 정해진 바는 없지만... 전체 높이의 1/5 이상의 길이에 걸쳐서, 수직으로 균열이 있다면 보수가 되어야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보강토옹벽의 안전성은 이 개별 부재의 건전성보다는, 이 개졀 부재와 뒤채움 쇄석 간에 연결된 그리드의 인장력으로 버티는 구조이기에, 개별 부재가 일부 균열이 있다고 하더라도, 그리드의 안전성과는 관련이 적기에 그냥 두어도 되나, 수직 균열이 너무 길어지면 그리드의 인장력에도 영샹을 줄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1 쿠아호아 04.24 22:05
안녕하세요. 저도 같은문제가 있어 추가 문의드립니다.
첨부된 사진과 같이 코너쪽 하단부터 크랙이 있고 벌어짐도 발생해 있습니다. 토지구매 시 잘몰랐는데 이전에도 문제가 있었는지 보수흔적이 있네요..ㅜㅜ
크랙부분은 위에서 말씀해준신것으로 생각해 보겠는데, 벌어짐 발생한 부분을 보니 내부 쇄석, 뒤채움골재 등이 많이 빠져나가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크랙과 벌어진 내부에 시멘트 같은 것으로 매꿔서 보강하는 방법으로 직접 해볼까 하는데, 효과가 있는 방법일까요?
1 쿠아호아 04.24 22:07
죄송합니다 여러장을 올리게 되어 댓글을 여럿 달개되었습니다.
1 쿠아호아 04.24 22:09
추가
M 관리자 04.25 11:44
이 경우는 일부 침하가 있는 것인데요.
장기적 관점에서는 새로 쌓는 것이 올바른 방법입니다.

당장은 내부의 흙이 유실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아래 부터 4단 정도까지 균열 부위를 보수용 몰탈로 두껍게 메워 놓으실 필요가 있습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