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프 단열 계획 중.. 조언 부탁드립니다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셀프 단열 계획 중.. 조언 부탁드립니다

1 sleepymice 3 660 02.17 15:02

안녕하세요

안방 (D 4.3m x W 3.7m x H 2.27m) 리모델링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95년 준공 아파트이며 안방은 외벽을 접하고 있고, 

전 세대주가 한 것 같은데 제대로 된 단열은 아니고 다루끼+석고만 있는듯한 느낌입니다.

 

17년 12월에 이런 내용을 모를때 이사하면서 붙박이장(w 3.6m x h 2.2m x d 0.6m)를 설치하여

안쪽 벽 상태가 심히 걱정되는 상황입니다. 

겨울엔 냉기가 엄청 나옴에도 곰팡이 걱정에 붙박이 좌우를 막지 못했네요... 

 

여기서 검색한 내용으로 공정을 수립했는데, 계획을 세워보니 세세하게 손이 엄청 가네요.

혹시 빠진 사항이나 주의할 점이 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철거, 단열

ㅇ 붙박이장 분해 → 몰딩, 기존 가벽, 장판 철거 → 폐기물 처리

   → 균열보수(탄성 아크릴 퍼티) → 아이소핑크(폼본드+물)→ 방습테이프

   → 석고 2p → 이음매 테이프

Q : 아이소 핑크는 50+50mm과 100mm 중 어느것이 나을까요?

Q : 폐기물 처리는 업자가 아닌 개인이 신청해도 상관없겠죠? (대전)

 

2. 도배

ㅇ 이음지(?) → 초배지 → 실크벽지  (풀바른 벽지 활용)

 

3. 마루

ㅇ 타일형 강마루 : 바닥 수평은 두꺼운 종이를 활용 (골판지 제외)

Q : KCC 사각형 강마루(약 400x800mm) 제품이 마음에 드는데

     일반 강마루에 비해 단점이 있나요? 그리고 낱장 구매 팁이 있을까요?

 

4. 가벽 

ㅇ 가벽 안쪽(깊이 1.1m)은 드레스룸, 바깥쪽은 침대

ㅇ 골조(투바이포 3m x 2.27m) → 배선(침대 조명, 핸드폰 충전) → 석고(침대쪽 2p, 드레스룸 1p)

    →  이음매 테이프 → 벽지

Q : 전선 종류가 따로 있나요? 주름관도 해야 할까요?

 

5. 드레스룸 행거

ㅇ ㄷ자 형태, 기둥형 시스템 행거를 할까 했다가 상 위치를 몰라 천장 고정이 잘 안될거 같고, 

    가격(90~100)도 만만치 않아 흑관 파이프로 행거 설치 예정

ㅇ 바닥에 h 50cm 서랍장을 깔고, 흑관 파이프 2단 설치

 

6. 몰딩

ㅇ 천장(계단식), 바닥 : 필요한 곳만 설치 

 

 

 목공 취미가 있어 기본 공구는 있고, 없는 공구는 렌탈하고, 공정은 대략 3일 잡고 있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02.17 15:32
안녕하세요.

이 것을 3일로 잡으셨다면 기본적인 손재주는 있는 분이시기에 추가 언급할 것은 없어 보입니다.

1-1. 단열재는 둘 중에 어떤 것으로 하셔도 무방합니다. 다만 한 장으로 하는 것이 덜 피곤합니다. 방습테잎만 잘 붙여 주세요.
1-2. 폐기물신고는 직접 해도 괜찮습니다.

3. 둘 다 같은 접착식이라서 같은 제품이라고 봐도 무방합니다. 팁은 딱히 없습니다.

4. 전선의 종류는 따로 정해진 바는 없습니다. 그저 용량만 맞추시면 되세요. 전기 공사를 구분할 때는 공배관(주름관)을 선 시공하고 전선을 밀어 넣는 식으로 하지만, 동시에 한다면 꼭 구분될 필요는 없습니다. 다만 나중에라도 교체의 필요성이 생길 것을 대비해서 공배관으로 시공되는 것이 좋습니다.
1 sleepymice 02.17 18:05
답변 감사드립니다^^

1-1. 한겹으로 하겠습니다. 은근히 고민이었어요ㅎ
3. 도면을 그려보니 낱개로 2장만 더 있으면 되는데 남는게 아까워서요.
    남는 수량 활용방법을 고민해봐야겠어요
4. 전기는 전문 지식이 없어서 전문가 도움을 따로 받아야 할듯 하네요.
    드레스룸은 조명이 없어 조명도 추가해야 하고, 기존 스위치와 연결하고 싶은데 정 안되면
    전기공사가 필요할 수도 있겠어요...

보통 가구 만들 때 항상 예상보다 오래 걸리는게 대부분 마감(페인트, 바니쉬) 때문인데
이번엔 도장 계획이 없어서 빠듯하게 3일이면 어떻게 되지않을까 생각됩니다.
생업이 아니라 손이 빠르지 않아 쉽지는 않을듯요
다니던 목공방에서 가벽 투바이포에 배선 자리 천공을 미리하고, 드레스룸 서랍도 미리 만들어야 그나마 일정을 맞출 수 있을듯 하네요
M 관리자 02.18 09:35
3. 그런 의미라면... 달리 방법은 없고, 대리점에 한번 문의를 해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