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에서는 아파트 내부수리 쪽으로 영역을 넓히실 생각이 있으실까요?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협회에서는 아파트 내부수리 쪽으로 영역을 넓히실 생각이 있으실까요?

G 나리조아 1 291 02.26 12:34

 

안녕하세요. 아파트 인테리어(내부수리)를 하면서 협회에서 올려주시는 정보 덕분에 도움을 많이 받았습니다.

 

또한 협회에서 제시하신 담론(내단열시 방습이라던지 이중배수라던지)들이 점점 아파트 인테리어를 하는 업자들에게도 공유되고 있는 모습을 보니 건축이 점점 더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느낍니다.

 

그런데 아직 협회에서 제시하신 시공법을 적용하려면 못하겠다고 하는 사람들이나 터무니없이 비용을 높게 부르는 경우가 있더군요.

 

이중배수가 그 하나였는데, 마페이 드레인키트를 적용해 달라고 하니 대부분의 업체에서는 못하겠다고 하고 몇몇 업체들은 거의 50-100만원 가량의 추가요금을 요구했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업체에서 시공이 처음이라 재료비 제외하고 기공의 하루 일당인 30-40만원 정도 추가하는 정도는 충분히 지급할 의향이 있었습니다만, 최대 100만원에 달하는 금액은 너무하더군요. 그래서 결국 직영공사로 해서 방수와 드레인키트 설치만 셀프로 진행했지만요....

 

협회에 보면 건축사 회원분들도 계시지만 시공 분야에서 건설사 회원분들도 계시고 각 공정별 기술자 회원분들도 계시잖아요? 혹시 인테리어 업체나 인테리어 관련 각 공정 기술자 분들을 한 준회원 정도로 해서 받으실 생각이 있으신가요?

 

소비자 입장에서 당장 주택을 짓기에는 직주근접 문제 등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아파트로 어쩔 수 없이 갈 수 밖에 없는 경우들이 있는데 그런 경우에 협회 회원사인 인테리어 업체나 각 공정 기술자분들이 계시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Comments

G 관리자 02.27 12:35
안녕하세요.

현재 회원사의 가입 카테고리에 인테리어 분야도 열려 있습니다.
다만 인테리어를 하시는 분들에게 전혀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어서 인테리어 회원사는 현재 한 곳 밖에 없는 형편입니다.

장기적으로는 말씀하신 지향점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할 예정입니다만...
시간이 많이 걸릴 수 밖에 없는데..  건축분야에서 협회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라는 것이, 작년 정도에나 비로서 그런 느낌 이었습니다.
예측컨데, 인테리어 분야도 앞으로 최소 5년, 길게는 10년 정도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 싶습니다.

장문의 애정어린 조언 감사드리며, 이 시간을 당길 수 있도록 저희가 더 노력하겠습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