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문의하고자 하는 현장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근생 (12층 높이)
-철콘 (창대 파라펫 thk150)
-외단열 (별도의 차수 처리 없음)
-석재마감 (단열과 마감 사이 속 공간 70mm, 오픈조인트or 코킹처리 고민 중)
-알루미늄 창호 4side (thk120)
골조->창틀(w. 테이프 처리)->단열재 취부 순대로 가는 것이 맞으나, 어쩌다보니 골조-> 단열재 취부 완료-> 창틀 설치 곧 앞둠...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시공사는 아래 그림과 같이
외부: 1차 실란트 떡칠->빗물받이 석재 평판 설치->실리콘 코킹
내부: 연질폼에 몰탈 사춤; 으로 처리하려고 합니다.
2. 시공 상황 등 현실을 고려했을 때, 조금 더 개선해 본 것이 아래 그림입니다.
(단열 라인이 맞으면 좋겠으나, 비주거라 우선적으로 고려하지 않았습니다.)
외부에 테이핑 할 공정을 놓쳐 내부에만 계획해 보았습니다.
테이핑을 못한 외부는.. 실란트 떡칠과 코킹밖에 떠오르지 않네요.. ㅠㅠ
3. 시공사에서는 석재 평판을 촉바 옆에 붙여 코킹할 생각인데(그림1), 코킹을 해야 한다면 그림2처럼 평판을 촉바 아래에 설치하는 게 낫지 않을까요?
최대한 누수 걱정 없도록 개선하고 싶은데, 현 상황에서 최선이 무엇인지 자문 구합니다.
그려주신 것은 차선책이며, 최선은.. 창틀 주변의 단열재를 50mm 정도의 폭으로 걷어내고 (일체타설을 했다면 단열재의 완전제거가 쉽지 않기에 그라인더로 긁어 내야 합니다.) 창틀과 구조체 사이에 충분한 두께로 실리콘실란트 처리를 하는 것입니다.
차선책인 그려주신 것과 같은데, 이 때의 문제는 실리콘실란트의 두께가 충분하기 어렵기도 하고, 수평구간이 생기므로 물이 타고 들어올 경우에 좋은 않은 상태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평판은 말씀하신 것 처럼 촉바 아래로 가는 것이 맞는데, 그럴 경우 외부 실리콘실란트를 촉바까지 모두 덮어야 합니다.
오지랍입니다만.. 오픈조인트를 선택할 경우, 마감재 안쪽에 들어가는 모든 철물 (앵커, 앵글)은 SST 여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