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공동주택 아파트 바닥이고 방통을 새로 하기 위해
기포 남기고 철거 한 사진입니다.
헌데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고 있던 장치 때문에 군데군데 기포가 덩어리로 떨어져 나간 모습입니다.
옆에서 지켜 보니 기포가 상하지 않게 섬세하게 작업하기가 쉽지 않아 보였습니다. 기포까지 철거하고 단열재를 새로 깔 상상은 상상만 하기로 했습니다. 소음과 진동과 폐기물...
원래 계획은
기포 위에 엑셀 유핀고정 후 방통 (차광막 사용 않함)이었습니다.
헌데 기포가 군데군데 탈락이 심한 부위가 있어서 보수 하고 몰탈을 치는 것이 나을지 고민입니다.
조적벽에 미장을 하기 위해 미장공을 부를 예정입니다.
그때 할만한 작업이 있을까요?
만약 바닥 보수 작업이 들어간다면(공극이 최소화, 평단화) 그은박 단열재라도 까는 것이 좋을 까요?
그럴 경우 유핀은 기포에 바로 꽂을 생각이었습니다.
또하나 고민중인 방법은 은박단열재를 안 까는 것 보다는 까는 것이 나은 것인지도 궁금힙니다. 이 방법으로 하면 유핀은 사용 못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현재 보일러 분배기가 세탁실 발코니쪽에 있습니다.
방통을 하며 설비도 새롭게 하는 김에 난방 분배기를 주방쪽 싱크대 하부로 이동하는 것이 난방효율을 올리는데 유리한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은박단열재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고요.
혹은 미장공이 오셨을 때, 깊은 곳만 채워달라고 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싱크대 하부가 전체 집의 중간 쯤이라면 난방효율은 올리는데 유리해 집니다. 다만 보일러부터 분배기까지 연결되는 배관은 배관단열재로 감싸 주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