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수관 선홈통 하단부 방수작업 절차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우수관 선홈통 하단부 방수작업 절차

1 에스퍼 13 278 03.05 23:19

안녕하세요 

빗물이 방수 깨진곳을 통해 스며들어가 본인 발코니 벽이 젖어 곰팡이가 생기기에 셀프보수를 하려고합니다

 

기존에 노후된 백시멘트를 깨낸 후

액체방수 자재를 백시멘트에 혼합반죽하여 보수하는것은

올바른 방수방법이 아니라고 말씀하신 기억이 납니다

(업자들이 대부분 그렇게해서 안타까워하셧던거같아요)

 

어떤 재료를 어떤 절차로(1차 적용 후 완전 건조 2차 적용 등등의 절차)

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ㅠ(가장 궁금한것은 우수관 하부 선홈통 주변 방수목적으로 (정석]시공시 어떠한 제품군으로 시공하여야하는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지어진 아파트 우수관이라 따로 사진첨부는 않을게요

 

 

Comments

M 관리자 03.06 15:31
안녕하세요.
위에서 아래 쪽을 수선하실 것인가요? 아니면 천장 면을 보수할 예정이신가요?
그리고 배수구의 형태에 따라 접근방법이 다를 수 있기에 목적 부위의 사진이 필요합니다.
1 에스퍼 03.08 11:31
사진첨부드립니다! 하늘색으로 점찍어놓은 부분이 비오면 우수관 내부에서 물이 누수돼서 수직벽의 하단이 젖는 상황이라 빨간색으로 표시한 곳을 떼어낸뒤 묻혀잇는 선홈통 주변부 방수작업을 하려고합니다
1 에스퍼 03.08 11:33
아랫집에선 아직 관련건으로 누수된다는 연락은 없네요 제집안에서 일어나는 문제같습니다
1 에스퍼 03.08 11:36
전에 봣을때 우수관 파이프랑 물받는 선홈통(물받이통?)이 수직선상에 잇지않고 어긋나잇엇던걸로 봐서는 물받이통 주변을 경사면으로 빚어 물이 홈통으로 흐르도록 유도해서 최대한 방수를 철저히 해놔야 할것같앗어요 그걸할려고합니다
M 관리자 03.09 12:01
이 현상은 꼭 누수의 결과라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이 부위는 틈새를 통한 습기의 노출로 인한 표면 습도가 올라가면서 생긴 현상일 수 있거든요. 아랫집 천장에 물얼룩 등의 자국이 없다면 더욱 그러합니다.
만약 이게 맞다면 딱히 조치할 수 있는 것이 마땅치는 않습니다.
1 에스퍼 03.10 11:25
원인을 찾아달라고 질문드린게 아니옵고 ㅠㅠ 그냥 작업해볼려고 하는거거든요 빨간 네모판 뗴어내고 백시멘트 걷어낸 뒤 주변부 방수할때 준비물(어떤 방수재료 사야하는지모르겠어요)이랑 작업순서 간략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
M 관리자 03.10 13:57
질문은 이해를 하였습니다.
이렇게 답변을 드린 이유는... 문제가 없는 상태이므로, 손을 대서 더 나빠질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그럼에도 작업을 하신다면...
가. 사진의 배관 두개를 제거한 후에 사각 뚜껑을 벗기고
나. 백시멘트를 타일+타일본드 두께 만큰 제거를 한 후에
다. 아래와 같은 투습가능한 도막방수를 바닥에서 부터 아래층의 파이프 주변까지 바른 후에
라. 다시 백시멘트로 덮고, 배관을 재 설치하시면 되세요.
1 에스퍼 03.10 15:39
감사합니다.  . 투습가능한 도막방수라는게 약간 물처럼 첨벙거리는 그런 액체방수제를 말씀하시는걸까요 ㅠ
1 에스퍼 03.10 15:40
이런건 택도 아닌거죠? ..
1 에스퍼 03.10 15:55
아! 혹시 이런 물성재료인건가요?
1 에스퍼 03.10 16:02
혼자만 댓글을 계속써놔서 죄송합니다
https://blog.naver.com/leeseojung0210/223386434140
아니면 혹시 이 블로그처럼 주변부 액체 바르고 바로 백시멘트 작업을 하라는 얘기신걸까요
그럼 노출면이 블로그처럼 해당층의 단면이라 "다. 의 아래층의 파이프 주변까지"아래층까지 바를수가 없는것같아요
1 에스퍼 03.10 16:16
퍼온 사진에다가 예상 되는 원인과 사각판 제거후 제가 마주할 장면을 올립니다..  하고자 하는것은 기존 백시멘트층 제거후(설명해주신 (가), (나) 작업) 후 방수층 보수작업 하는건데 (다) 설명이 기존 모르타르(백시멘트제거후 단단하게 슬리브 고정하는) 부분에 액체침투하는걸 부어주고 아래층.. 여기서부터 이해가 안되는 상황이네욧/;..ㅎ 사실 (다) 할때 적합한 제품 여쭙는게 글쓴 이유였구요 예전에 작업하시는거 봣을땐 가,나까지 동일하고 다할때 그냥 액체방수랑 백시멘트를 섞어서 젤리처럼 물성만들어서 바르시더라구요 근데 이방법은 좀 급조한거같아서 주로 위에 저 회갈색 재료를 사용한뒤 백시멘트 마감을 하는것 같은데 저 회색 재료는 이름이 뭘까요 사진을 찾아온건 저인데 저게 뭔지는 찾기가 힘드네요 ㅠ
M 관리자 03.10 21:26
모두 아닙니다.
언급하신 모든 것이 다 이른바 액체방수인데요.
이 것은 균열에 대한 대응이 전혀 되지 않기에 아래와 같은 탄성이 있는 도막방수여야 합니다.
https://jabjaje.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644

대부분 이런 것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이 조금의 방수를 위해 16~20kg 짜리를 사야 한다는 점이 크게 작용을 하는 편입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