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빗물이 방수 깨진곳을 통해 스며들어가 본인 발코니 벽이 젖어 곰팡이가 생기기에 셀프보수를 하려고합니다
기존에 노후된 백시멘트를 깨낸 후
액체방수 자재를 백시멘트에 혼합반죽하여 보수하는것은
올바른 방수방법이 아니라고 말씀하신 기억이 납니다
(업자들이 대부분 그렇게해서 안타까워하셧던거같아요)
어떤 재료를 어떤 절차로(1차 적용 후 완전 건조 2차 적용 등등의 절차)
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ㅠ(가장 궁금한것은 우수관 하부 선홈통 주변 방수목적으로 (정석]시공시 어떠한 제품군으로 시공하여야하는지 입니다)
감사합니다
일반적으로 지어진 아파트 우수관이라 따로 사진첨부는 않을게요
위에서 아래 쪽을 수선하실 것인가요? 아니면 천장 면을 보수할 예정이신가요?
그리고 배수구의 형태에 따라 접근방법이 다를 수 있기에 목적 부위의 사진이 필요합니다.
이 부위는 틈새를 통한 습기의 노출로 인한 표면 습도가 올라가면서 생긴 현상일 수 있거든요. 아랫집 천장에 물얼룩 등의 자국이 없다면 더욱 그러합니다.
만약 이게 맞다면 딱히 조치할 수 있는 것이 마땅치는 않습니다.
이렇게 답변을 드린 이유는... 문제가 없는 상태이므로, 손을 대서 더 나빠질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그럼에도 작업을 하신다면...
가. 사진의 배관 두개를 제거한 후에 사각 뚜껑을 벗기고
나. 백시멘트를 타일+타일본드 두께 만큰 제거를 한 후에
다. 아래와 같은 투습가능한 도막방수를 바닥에서 부터 아래층의 파이프 주변까지 바른 후에
라. 다시 백시멘트로 덮고, 배관을 재 설치하시면 되세요.
https://blog.naver.com/leeseojung0210/223386434140
아니면 혹시 이 블로그처럼 주변부 액체 바르고 바로 백시멘트 작업을 하라는 얘기신걸까요
그럼 노출면이 블로그처럼 해당층의 단면이라 "다. 의 아래층의 파이프 주변까지"아래층까지 바를수가 없는것같아요
언급하신 모든 것이 다 이른바 액체방수인데요.
이 것은 균열에 대한 대응이 전혀 되지 않기에 아래와 같은 탄성이 있는 도막방수여야 합니다.
https://jabjaje.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644
대부분 이런 것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이 조금의 방수를 위해 16~20kg 짜리를 사야 한다는 점이 크게 작용을 하는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