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안녕하십니까? 저는 경희대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우선 패시브 하우스 등의 친환경 건축방법에 대해 지지하고 있고, 관련 일을 하시는 분들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제가 이번에 패시브 하우스의 경제성을 평가하는 프로젝트를 하려고 하는데, 경제성을 평가하려고 하니 관련 자료가 너무 없고,
세부 사항들 하나하나 다 따져서 평가하기에는 비전공자로서 너무 어려운 것 같습니다. 현재 기본적으로 생각한 것이
초기 투자비용 차이 - 패시브건축협회 홈페이지를 찾아본 결과 80평 이상 건물은 m2당 30~40만원선이 더 증가(시설에 따라 다름)
난방비 절감 - 패시브하우스 구현율(?)에 따라 제로에너지 하우스~플러스에너지 하우스도 가능
이정도의 아주 간단한 내용 밖에 찾을 수 없었습니다.
좀 더 디테일한 내용을 이용해서 실제 사례에 어느 정도 의견을 제시할 수 있을 정도, 의사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을 정도의
요소들을 포함해서 경제성을 평가해보고 싶습니다. 제가 찾아본 바로는 일반적으로 건축된지 8년 정도면 일반 건축대비
효율성을 가진다고 하는데, 그 근거가 되는 자료나 실제 경제성 평가 사례 등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만약 가능하다면 관련 자료를
구할 수 있는 출처도 알고 싶습니다. 이를 통해서 어느 정도 설득력을 가지는 결과를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아마도 일반화된 자료를 원하실 터인데.. 아직 일반화 하기는 무리가 있긴 합니다.
하지만 공사비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 분이 너무나 많고, 지금까지 6채 정도를 진행하면서 건설기술연구원과 몇가지 타당성 검토를 한 자료를 공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현재 보유하고 있는 상태로 드리기에는 정리가 되어있지 않아서 오늘(2일)저녁까지 정리를 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다른 분들도 모두 궁금해 하시는 자료라 이 곳에 올리지 않고 설계자료실에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다른 분이 실제 모델을 대상으로 경제성 평가를 하시는군요. 저는 논문들 보고 일단
알려진 정보들대로 공사비 증가량을 어림잡아놔서 오차가 많이 날 듯 싶은데...
또 결국 이런 방식은 주먹구구식으로 된다니 좀 아쉽네요 ㅎ
저는 기존 저에너지 하우스 대비 패시브 하우스로 했을때 공사비 증가분(추정치)에
절감률에 따른 에너지 비용 감소를 유가가 변동하는 상황에서 어떤게 효율적인
대안인가 분석하는 주제를 잡고 했거든요 ㅎㅎ 사실 저는 디테일한 수치가 필요한건
아니었습니다만 하는김에 정말 정확하게 해볼까 했었는데 아쉽지만 공부가 많이
되었습니다. 자료 감사드립니다.
그 나마 올려드린 자료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