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목조주택의 외벽 합판에 투습방수막을 붙이고, 그 위에 열반사재를 한겹 두르고 3cm 공간을 둔다음 외장재를 붙이려 하고 있습니다. 목구조 내는 글라스울로 단열합니다.
이경우 열반사재가 겨울철 보온에 효과 가 있는지요. 또 한편,
열반사재가 투습방수막과 밀착 되어 목구조 내벽의 습기배출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걱정되는 데 어떠한가요?
목조주택에 목구조 내의 글라스울 단열을 보강하려면, 열반사재말고 어떤 방법이 좋은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경우 열반사재가 겨울철 보온에 효과 가 있는지요.
--> 올 겨울 실물로 실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겨울에는 열이 내부에서 외부로 나오므로 단열 효과는 미비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실험이 끝나는 1월경에는 좀 더 정확한 데이터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보온 효과가 있기 위해서는 실내측에 공간을 띄우고 설치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겉이든 속이든 투습성능을 기대할 수는 없습니다.
열반사재가 투습방수막과 밀착 되어 목구조 내벽의 습기배출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걱정되는 데 어떠한가요?
--> 습기 배출이 전혀 되지 않습니다. 목조주택의 장점이 장기간에 걸친 습기제어력에 있는데. 투습이 전혀 되지 않는 열반사단열재는 좋지 않은 상황이 발생시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즉 외부에 댄 투습방수지가 그냥 방수지 역할만 하는 것입니다.
목조주택에 목구조 내의 글라스울 단열을 보강하려면, 열반사재말고 어떤 방법이 좋은지 알려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1. 외부에 각재를 댄 후 그 사이에 수성연질폼을 스프레이하고 외장재를 시공하는 방법
2. 외부에 종이발포단열재로 보강하고 마감하는 방법 (외단열마감)
3. 외부에 EPS로 외단열시공을 하시는 방법인데.. 이 방법은 현재 투습성능 저하에 따른 목구조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논쟁 중에 있습니다. 하지만 공사중 골조내부의 물기에 주의하시고 (특히 겨울의 눈) 창턱의 후레싱처리 등 방수에 유의하신다면 현재까지는 EPS에 의한 외단열공법이 가장 저렴하게 성능을 올릴 수 있는 방법으로 판단됩니다. 크게 보면 EPS는 오픈셀 구조라 아주 느린 속도일지라도 습기가 관통할 수는 있습니다.
위 질문 중 방수투습지 위에 투습 열반사재(은색,두께 0.2mm)릏 붙이고 3cm공간을 뛰운 다음 열반사재를 안쪽을 향하여 붙인다음 외장재를 시공한다면 겨울철에 효과가 있을까요?
이 경우 여름철에 양쪽 열반사재 사이의 공간에 의도하지 않은 영향이 있지 않을까요?
정확히 답변드리자면 다층 열반사단열재에 대한 측정치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잘못된 답변을 드릴 수도 있을 것 같아서 조심스럽습니다.
---------------------------
열반사재가 시험성적서 상의 성능치가 온저히 나온다고 가정하고 말씀하신 디테일을 적용할 경우 겨울에 효과를 보실 수 있으시고, 여름에도 겨울만큼은 아닙니다만, 순방향의 효과가 있으리라 추정됩니다. 단열재 내부의 공기층 온도상승이 염려됩니다만, 목구조의 특성상 외장재와 단열재 사이에 틈이 존재하기 때문에 온도상승으로 인한 악영향은 어느정도 배제할 수 있으리라 생각이 됩니다.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시공하시는 것 보다는 여러겹으로 나오는 열반사단열재(반사재+공간층+반사재+공간층+반사재)가 있습니다. 그 제품을 선택하는 것이 비용상 더 저렴하지 않을까하는 생각입니다. 기억에 의존합니다만 제품의 두께는 24mm 입니다.
--------------------------------------------------------
데이타가 없는 상태에서 드리는 답변인지라 어디까지나 참고로 받아주셨으면 합니다.
한가지 저희쪽에서 요청드릴 것이 .. 만약 생각하고 계신 방법이나 기타 비슷한 방법을 채택하실 예정이시고, 올 겨울이 가기 전에 완공이 될 주택이라면 겨울에 열화상카메라 촬영을 부탁드려도 되실런지요?.. 가능하시다면 이 글이나, 협회로 이메일을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열상카메라 촬영 협조는 머리 숙여 감사드립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