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몇몇 자료들을 보면 패시브하우스의 기초공사 (철근콘크리트공사)시에
바탕면과 벽면을 단열재로 모두 감싸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건축구조가 철콘조인 경우에는 이해가 가나
경량철골조,목조,스틸하우스등의 기법에는
바닥난방 바탕에 단열층을 형성하여
외벽단열층과 연결할 경우 굳이 비용을 더 지출하여
기초공사에 단열을 해야할 필요가 있는지 궁굼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바닥단열은
우레탄보드100m/m +슈퍼온도리 12m/m 위에 난방배관이구요.
전체 단열구조 관계에 있어서 우레탄보드및 온도리가 외벽 단열재와 긴밀히 연결되는
구조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철콘구조에서 200m/m 비드보온판을 기초하부에 설치할 경우
전체건물 하중을 비드보온판이 이겨낼 수 있는지
압축되어 건물변형은 없는지도 궁굼합니다.
--------------------------------------------------------------------------------
경량철골조,목조,스틸하우스등의 기법에는 바닥난방 바탕에 단열층을 형성하여외벽단열층과 연결할 경우 굳이 비용을 더 지출하여 기초공사에 단열을 해야할 필요가 있는지 궁굼합니다.
--> 말씀하신대로 목조, 스틸하우스 의 경우는 기초하단의 단열이 제외되어도 무방합니다. 다만, 경량철골조의 경우 철콘처럼은 아니지만 부분적인 단열보강이 필요합니다.
제가 생각하는 바닥단열은 우레탄보드100m/m +슈퍼온도리 12m/m 위에 난방배관이구요.
-->협회소속 시공사 중 우레탄보드를 바닥에 사용한 예가 아직 없어서 정확한 장단점을 말씀드리기는 어려우나, 무리는 없어 보입니다. 다만 열반사단열재의 경우 교육시 말씀드린 바와 같이 바닥에 사용할 경우 반사공간이 없어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 (12mm 내부에 있는 공간의 유효성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없어 확신할 수 없으며 또한 바닥 상부하중을 충분히 받을 수 있을지에 대한 자료를 아직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전체 단열구조 관계에 있어서 우레탄보드및 온도리가 외벽 단열재와 긴밀히 연결되는 구조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 "긴밀히 연결되는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이 필요할 듯 합니다.
아울러 철콘구조에서 200m/m 비드보온판을 기초하부에 설치할 경우 전체건물 하중을 비드보온판이 이겨낼 수 있는지 압축되어 건물변형은 없는지도 궁굼합니다.
--> 교육시 말씀드린바와 같이 비드법단열재는 흡수율 관계로 기초하단에 사용될 수 없으며, 압출법보온판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비드법의 압축력도 무방합니다만 압출법보온판은 비드법보다 압축력이 높아서 (10톤/㎡ 이상) 3층건축물의 기초하단에 사용하셔도 무방합니다.
많은 참고가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