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제목 그대로입니다.
이런구조에 지붕은 한국에서 본적이없는데 특별한 이유가있을까요?
예를들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다거나, 비에 취약하다거나. 아니면 건축비가 엄청 상승한다던가.
이런구조의 지붕을 본적이없어 질문올려봅니다.
월간건축이라던지, 주택을보면 거의 박공지붕을 선택하는거같은데, 이게 한국날씨에 더 최적화되어있어서 선택을하는지가 궁금해서요.
답변미리 감사드립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보내세요!
그리고 평지붕은 누수가 된다는 관념이 자리잡고 있기도 하고요.
나머지는 콘크리트 구조가 실내까지 연결되는 열교의 문제가 남는데, 그 역시 비용의 문제일 뿐 해결 될 수는 있습니다.
관리자님께서 잘 설명해주셨습니다.
추가하자면 저렇게 건축하면 처마가 늘어난 만큼 건축 면적이 늘어나는 문제도 있습니다.
넓게보면 이것도 비용적인 문제가 맞습니다.
비용문제만 없으면 큰땅 사서 작은 건물에 처마 길게 빼면 되니까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