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체를 RC, 지붕만 목조로 했을 경우 시공이 어려운가요?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벽체를 RC, 지붕만 목조로 했을 경우 시공이 어려운가요?

G pou 9 339 03.11 13:33

스크린샷 2025-03-10 오후 9.25.18.png

 

안녕하세요

저희 집 구조는 1층과 다락으로 이루어진 형태이며, 박공지붕입니다. 

1층과 다락은 RC, 지붕만 목조입니다. 지붕의 평활도를 위해서 지붕만이라도 목조로 하였습니다. 

다락벽을 RC로 올렸을 시에 

벽이 박공지붕이라는 형태에 맞춰 삼각형 모양으로 만들어져야 하는데 

아무래도 기울어져있기 때문에 이 모양을 평활도있게 맞추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시공사에서는 거푸집을 기울여서 잡고 있으면 된다고 하십니다. 

 

콘크리트 지붕의 평활도를 맞추는 일만큼이나 어려운 작업일까요?

전체 목구조로 할 생각은 없으며 지붕만 목구조로 하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G pou 03.11 14:08
선생님, 서치하다보니 다른 분도 비슷한 글을 올리신 것을 보았습니다. 그분은 예산을 떠나서 벽체를 rc, 지붕을 목구조로 했을 시가 더 낫지 않느냐...라는 질문을 하셨는데 선생님께서는 차라리 지붕까지 콘크리트로 하는 것이 낫다고 답변을 다신 것을 보았습니다.

고민이 됩니다.... 지붕의 평활도 때문에 지붕만이라도 목조를 생각했던 것인데, 어떻게 해야 비용대비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M 관리자 03.11 14:15
다른 글에서 보신 바와 같이...
콘크리트 외벽에 목구조 지붕의 시공이 결코 어려운 것은 아닙니다.
그렇지만, 골조 공사를 할 때 대부분 평단가로 골조팀과 계약을 하는데,
가. 지붕을 빼더라도 생각보다 줄어드는 비용이 적고,
나. 지붕을 위한 별도의 목수팀이 현장에 들어와야 하기에...

가+나를 하면 비용이 제법 높아서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만약 지붕을 목조로 하고 싶으시다면, 콘크리트 공사를 주로 하는 회사 보다는, 목구조를 하는 회사에 의뢰를 해서, 그 회사가 콘크리트+목조를 모두 함께 시공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 선택입니다.

저희 협회도 최근 지붕만 목구조로 하는 현장이 늘고 있는데, 대부분 목조를 하시는 회사에서 그렇게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G pou 03.11 14:27
선생님 감사드립니다... 저희 시공사는 다행히도 목구조와 콘크리트 모두 하는 시공사입니다.

몇 가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1.경사진 부분의 평활도를 맞추려면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아무래도 콘크리트는 경사질수록 평활도를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어찌해야할지요..

2. 벽체를 rc, 지붕만 목조로 시공할 시 주의해아할 점도 함께 부탁드립니다

3 1층은 rc, 다락 벽체와 지붕 모두 목구조로 하는 경우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지붕만 목구조로 가는 편이 나을지. 다락 벽체까지 목구조로 하는 것이 나을지....

 고민하느라 너무 힘들어서 선생님께서 조언을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 관리자 03.11 14:33
1. 콘크리트 경사 지붕은 답이 없습니다. 피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누구나 자신있다고 하지만, 모든 이가 실패를 하는 것이 경사지붕입니다.

2-1. 목구조는 실내측에 방습층경 기밀층이 들어갑니다. 그 것이 아래에 있는 콘크리트 벽에 건전하게 접착되어야 합니다.
2-2. 목구조 기초를 올리는 것과 같이, 벽체 상부에 토대목을 만들 때 토대목의 평활도가 중요합니다. 가장 중요하고 또 중요합니다.

3. 다락의 바닥까지 목구조로 하는 것이 맞습니다. 평지붕을 만들면 비용 절감이 거의 없습니다.
G pou 03.11 14:50
선생님 계속 질문드려 죄송합니다.
또 한가지만 더 여쭙겠습니다.

처음에는 다락 벽체와 지붕을 목구조로 하는 방향으로 생각했습니다. (다락의 바닥은 콘크리트입니다)
그 경우에 여러가지 문제들이 있더라구요.

그중 하나는 콘크리트의 습이 몇년간 계속 나올 텐데 다락 벽체의 합판이 습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였습니다. 그 문제가 가장... 큰 문제라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다락 벽체를 콘크리트로 하고, 차라리 지붕만 목재로 하자. 라는 방안이 나온 것입니다.

제가 가장 고민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1층 습기가 다락 합판으로 올라올 문제)
조언을 받고 있는데 선생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M 관리자 03.11 15:01
그 부분은 마이너한 문제입니다.
비록 건조수분이 많다고는 하나 목구조가 상할 수는 없습니다.
G pou 03.11 15:10
답변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갈피를 잡고 있습니다.감사드립니다.

협회의 지붕 시공 방식은 내단열이 주인 것 같습니다. 내단열일 시 통기층이 필수라고 알고 있습니다.
반대로 그렇다면 외단열을 할 시에는 통기층이 꼭 필요 없는 것일까..? 라는 생각도 듭니다.
지붕을 외단열로 시공할 시 통기층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시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번외로 선생님 답변 너무 감사드립니다.
주택 정보를 얻기 쉽지 않은데... 덕분에 도움을 많이 받아가고 있습니다.
M 관리자 03.11 15:45
내단열이라기 보다는.. 목구조에서는 중단열이라고 부릅니다.
외단열에도 통기층은 필요합니다.
아래 영상이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https://youtube.com/live/6bzs7eL7_bE?feature=share
G pou 03.11 15:49
네 너무나 감사합니다. 선생님
따듯한 하루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