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492 페이지 >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콘크리트 경사지붕 외단열 질문입니다.
1 세발나무늘보 | 댓글 41
안녕하십니까? 아래 질문들에 대한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조금 수정을 했습니다.제가 지붕 외단열재를 암면으로 하자고 하니, 시공자께서 한번 더 확인해 달라고 하신 부분이 있어서 또 질문을 합니다.1.(암면의 종류 선택)암면을 지붕 외단열 단열재로 쓰려고 합니다. 암면에도 여러 종… 더보기
SIP공법을 고민중 입니다. 검증된 벽체가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G 패시브건축주 | 댓글 5
패시브하우스에 관심을 갖고 건축을 추진중입니다. 여러구조체가 있지만 SIP 공법에 관심이 많습니다. SIP벽체중 단열재를 태운 왕겨를 넣은 것을 보았는데 혹시 단열성능이 입증된 재료 인지 궁금합니다. SIP벽체의 단열재에 따른 성능비교를 알고 싶습니다. 1. SIP with glass … 더보기
목구조 외벽 드레인랩 적용
1 wonsirim | 댓글 13
관리자님, OSB+드레인랩+50T EPS+스터코 계획으로 시공중에 있습니다. 드레인랩은 주름을 통해 물은 아래로 빼주고 습기는 위로 배출해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두가지 의문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1. 드레인랩 최상부는 벽체와 처마부재 사이에 50T각재로 타이트하게… 더보기
이보드가 널리 쓰이지 않는점이 무엇인가요?
1 왕초 | 댓글 18
시중에 pp제질과 압출단열재가 결합된 e보드라는게 있는데 널리쓰이지 않는점이 궁금합니다. 시공업체에서는 이보다 좋은제품은 없다고하는데... 내부단열 또는 외부단열을 할때 이렇게 좋은제품이라면 쓰지 않는점이 궁금합니다. 타 단열재와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요.
공조난방을 한다면?
G 하우스 | 댓글 9
언제나 빠르고 정성스러운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독일 패시브하우스는 열회수형환기장치에 약간의 히팅을 해서 난방을 해결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은 아무래도 바닥 난방을 선호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정보는 잘 찾을 수가 없더라구요. 지금은 아파트에 사는데 남향이라서 그런가 거실… 더보기
아래 해발 800미터 단독주택 지붕 외단열 추가 질문입니다.
1 세발나무늘보 | 댓글 14
이렇게 추가 질문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정말 기쁩니다. 시공자께서 잘 수용해 주셨습니다. 고맙기도 하고, 또 미리 알아보지 못하고 갑자기 작업 방향을 바꾸게 되어 죄송하기도 했습니다. 관리자께서 알려주신 대로 진행할 수 있게 되어 기쁘면서도, 또 새로운 공정에 대한 준비 때문에 다시 긴… 더보기
벽돌 외장 시공시 수평 줄눈만?
G 샨티 | 댓글 13
3층 주택 외장 마감을 벽돌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수직(세로) 줄눈은 생략하고 수평(가로) 줄눈만 넣어도 문제가 없을지 알고 싶습니다. 전원속의 내집에 소개된 ㄱㅁ주택에서도 가로벽돌은 바짝 붙여 쌓고 수직줄눈을 넣지 않았는데 아주 멋져 보였습니다. 비가 새 들어가서 큰 문제가 되지는 않… 더보기
해발 800미터 철근콘크리트 단독주택 신축 중입니다. 지붕 외단열 질문입니다.
1 세발나무늘보 | 댓글 35
먼저 이렇게 좋은 정보가 있는 홈페이지를 만들어주셔서 저 같은 비전문인이 따뜻한 집을 꿈꾸며 알차게 집을 짓게 도와주신 점 정말 감사합니다. 이곳은 해발고도가 높아 6개월 동안 눈과 씨름해야 하는 강원도 평창입니다. 그래서 단열과 방수를 철저히 하기 위해 이 웹사이트를 즐겨 찾게 되었고… 더보기
목조코너창질문입니다^^
G 제임스 | 댓글 3
안녕하세요 관리자님 풍성한 한가위되셨나요? 목조3층 외관을 생각해보니 코너창설계를 해볼까하는데요. 코너부분에 하자도 맘에 걸리고 최소폭,길이규정이 따로 있는 자료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두번째 질문은요.. 셀룰로오스단열재로 충진시 헤더에도 셀룰로오스로 충진할수 있는방법이 있나요? 헤더를 … 더보기
국내에는 좀 '깨끗한' 시멘트는 없나요?
1 스마트05 | 댓글 14
http://www.ohmynews.com/NWS_Web/Tenman/report_last.aspx?CNTN_CD=A0002026902 안녕하세요. 내년에 RC조 패시브하우스 건축을 준비 중인 예비 건축주 입니다.뉴스에 건축 관련해서 나오면 관심이 가게 마련인 요즘 입니다. 최근 라돈에… 더보기
SIP207T 패널에 외부 마감을 고벽돌로 하고자 하는데 어떤지요??
1 주원파파 | 댓글 16
현재는 기초공사중 줄기초만 되었습니다. 원래는 167T SIP에 T50 외단열 스타코 마감으로 계약이 되어진 상태입니다. 그런데 현장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외단열에 배불림 하자같은 것이 아무리 생각해도 걱정이 되어 207T로 SIP를 한단계 올리고 고벽돌 같은 것으로 마감을 하는것… 더보기
비에젖은 비드법단열재 질문드립니다.
G 김태성 | 댓글 18
관리자님 안녕하세요. 어제부터 건축을 시작한 건축주 입니다. 기초부 바닥에 압출법1호100미리 그 위에 비드법1종4호 400미리를 사용하여 기초단열을 합니다. 그런데 어제부터 내린비에 이 단열재들이 모두 노출되었고 지금도 계속 비를 맞고있습니다. 당장 내일 비가멈추면 기초작업을 시작할텐… 더보기
창호면적비에 대한 질문
G 패시브 | 댓글 4
안녕하십니까? 방금 건설교통부의 창호 가이드라인을 읽어봤습니다. 보다가 좀 이상한 점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 첫째, 여기서 남쪽 창은 크게 내서 겨울철 일사획득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에너지 절감에 도움이 된다고 봤습니다. 그런데 가이드라인에는 남쪽 창도 창호면적비가 40% 넘어가면 … 더보기
세라믹사이딩마감시 기단부마감문의^^
G 제임스 | 댓글 5
안녕하세요^^관리자님 와이프가 일산건축박람회가 있다고 해서 아들이랑 3호선에 몸을 싣고 가는중입니다. 외장재는 세라믹사이딩으로 확정하고 자료실 자료를 확인해보니 기단부에 50mm 단열재를 취부하던데.. 콘크리트에 단열재고정및 단열재시공후 마감을 어떻게 하는게 나은지 통 감이 안오네요. … 더보기
I-joist TJI210 시공시 셀파 흡입구 타공 문의입니다.
G 제임스 | 댓글 5
관리자님께서 모든걸 척척 풀어주시니 자꾸 질문하게 되네요^^그래도 공부는 하고 여쭤보는게 나을듯해서 자료는 찾아봤습니다. 저희현장에 3층 목조 아이조이스트를 사용하고 셀파를 적용했는데요. 목수팀장님께서 최대한 구멍을자제해달래서 천정을 낮춰 간접등박스를 넣어 시공했습니다. 인테리어효과도 … 더보기
패시브하우스 적용방법문의
G 이기찬 | 댓글 2
* 처음으로 공부하며 적용하려 하는데 잘몰라 올려드리는 도면에 확인사항좀 보내드립니다 조금은 무식하게 부탁드리는데 합리적인 방법좀 제시해 주시고 상세현태를 예시해 주시면 정말고맙겠습니다. 급하게 공사가 들어가야하는데 아쉬움이 많아 부탁드립니다 열심히 공부하도록 하겠습니다. 좋은자료 고맙… 더보기
화장실방수공법문의입니다.
G 제임스 | 댓글 9
안녕하세요^^관리자님 경주로 휴가갔다가 올라가는 ktx기차안에서 어떻게하면 좋은집.. 관리자님말씀대로 제대로된 집을 지을수 있을까 이것저것 뒤지다가 궁금한게 생겼네요 목조주택 화장실방수공법중 frp공법이 기존 우레탄공법보다 신뢰되는 공법인지.. 아니면 우레탄방수시공전 바닥에 그레이스방수… 더보기
셀파 자동환기시스템 옵션 및 2X8" 스터드 문의입니다
G 제임스 | 댓글 6
안녕하세요 관리자님^^ 간만에 왔네요 첫번째 질문은 셀파를 저희 현장에 하나 설치했는데 옵션예기는 듣지고 못하고 설치한 상황이라 나중에 사용설명서 보고 알게되었는데 자동환기시스템이란 기능이 꼭 들어가야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두번째 질문은 목구조 2x6"에 150mm 스타코로 할려다가 2… 더보기
기초단열 및 기타 사항에 대하여....
G 김남수 | 댓글 2
이번에는 기초 단열 및 각층 바닥구조에 대하여 질문 드립니다. 1. 기초단열에 관하여.... 첨부되는 도면의 기초부분에서 핑크색으로 칠해진 부분과 같이 단열을 하면 되는지요?? 그리고 단열재는 아이소핑크 혹은 스치로폼을 생각하고 있는데 적당한 두께를 알고 싶습니다. 이외의 다른 경제적이… 더보기
전열교환기에 관한 질문입니다....
G 김남수 | 댓글 4
안녕하세요~~ 강릉의 김남수입니다. 오랜만에 질문드립니다. 착공예정일(추석연휴후)이 다가오니 슬슬 긴장되어 옵니다. 한가지씩 정리해야 될듯하여 차례로 질문드립니다. 우선 열교환기 관련 질문입니다만 적합한 것을 찾던중 저희 같은 숙박시설에 적합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하기의 메이커를 눈… 더보기
외부셔터에 관한 질문입니다~!
1 scaver | 댓글 18
자료실에 있는 7-02. 외부블라인드(EVB)와 외부 셔터 비교 http://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800 이걸 읽고 질문 한번 드려봅니다 전원 주택을 설계중입니다 현재 외부 블라인드는 국산이 있으나 외부 셔터는 없다… 더보기
방 바닥 관련 질문입니다.
1 응큼이 | 댓글 2
안녕하세요~ 방 바닥관련 궁금한것이 있어서요.. 현재 30mm 스티로폴 + 와이어메쉬 + 엑셀 + 방통50mm 로 시공 하기로 되어있었습니다. 그런데 오늘 현장소장이 엑셀을 150mm 간격으로 깔려고 하니 고정이 힘들것 같다고 하여 바닥 스티로폴을 없애고 기포콘크리트 40mm를 깔고 작… 더보기
환기장치와 바람의 관계에 대한 질문
1 박종필 | 댓글 4
안녕하세요. 환기장치에 관해 질문이 생겨 이렇게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요즘 풍속이 15m/s ~ 20m/s 로 높은 날씨에 환기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고 급기 인렛에서 요상한 소리가 들려오곤 하는데요.. 풍속에 따라서 환기장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는 사례나 이유가 궁… 더보기
단열관련 법규
1 가가가가가자 | 댓글 1
1.냉난방 하는곳은 단열 조치가 필요함 2.비난방실에 접하여 외기에 간접면하는 경우는 해당부위에 외기에 간접면하는 수준의 단열조치를 하여야 한다 단, 공동주택의 거실 부위는 지표면 아래 2미터를 초과하여 위치하거나, 외기에 간접 면한 경우로서 면한 공간이 발코니, 복도, 계단실, 승강기… 더보기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