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협회에서 많은 정보를 얻고있어 늘 고맙게 생각합니다.
공동주택의 바닥난방에서 '슬라브+단열재+기포콘크리트+모르타르(방열관)+마감재'의 순서로 설계를 하고 있습니다. 기포콘크리트가 단열재로서의 역할이 없다는 글을 읽고 제외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기포콘크리트층이 없다면 공동주택의 '급수관'과 '급탕관'은 단열층 또는 모르타르층에 설치를 해야할까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는지요?
항상 감사드립니다.
어디서 그런글을 보신건지요..
저희 홈페이지 질문과 답변 글에 제가 적었었습니다.
기포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이 일반 콘크리트의 그 것보다는 좋습니다만, 단열성능을 가졌다고 보기에는 어려워서 그런 표현을 사용하였습니다.
물론 이 관이 마구잡이로 지나 갈 경우 해결이 잘 되지 않으므로, 사전에 미리 관의 위치를 정하게 됩니다.
저희도 얼른 그려야 하는데.. ㅠㅠ
첫번째는 바닥난방의 단열이 주 기능이 되며 층간소음재의 역할은 없는 것이 일반적 입니다. 이유는 배관으로 인해 어차피 계획한 차음의 효과가 기대하기 어렵기에 그렇습니다.
두번째 단열재의 역할은 배관을 고정하거나 층간소음재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즉, 두번째 단열재는 주 급수관이나 분배기 배관의 영향이 전혀 없기에 층간소음재로는 좋습니다.
문제는 이 첫번째 단열재인데요. 오려내고 잘라내기에 사실 불편합니다. 그래서 오스트리아에서 그리고 일부 독일에서는 펄라이트 같은 자재를 단열이 어느정도 되고 수평을 쉽게 잡기 위해 사용합니다. 파석이나 모래를 사용하는 경우도 간혹 있구요.
제 개인적으로는 이 첫번째 단열재 위치에 이런 배관이나 전기배관을 다 설치하고 기포콘크리트로 수평을 잡고 그 위에 층간소음재를 까는 것이 어떨까 라고 고민해 보았습니다. 이는 바닥에 만일 공기조화기 배관을 해도 료율이 좋을 듯 합니다. 이유는 슬래브의 표면의 평활도가 기대 이하이기에 이런 방법도 고려해 볼 만 하다고 봅니다. 물론 공사기간이 늘어 나겠지요.
위의 내용은 공동주택의 예 인데,
그럼, 단독주택의 1층(지하층 없음)은 설비 및 배관 등을 어떻게 시공해야 할까요?
위와 같이? 아님, 기초 슬라브에 매입 하나요?
늘 건강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