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벽산 의 아이소핑크 vs 타업체 EPS 가격 차이 궁금합니다
G 박소정 (14.♡.251.65)
7
6,981
2016.09.20 11:45
안녕하세요!
벽산의 아이소핑크와 타 EPS 를 비교중입니다.
성능은 XPS가 우월한것 같은데, 가격이 비싸다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가격이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는 감이 잘 안잡혀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혹시 도움 주실수 있으시면, 간단하게 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소정 드림
가격차이는 25~30%정도 차이가 납니다.
열전도율이 초기는 좋지만 장기전도율이있어서 시간이지나면
비드법보다 단열성능이 더떠어질수도있습니다
투습에 좋지 환경오염에 주범에 가깝습니다.
오존파계시키는 가스을 사용합니다
열적성능이 비드법단열재보다 더 나빠질 수 있다는 것과
환경오염의 주범에 대한 근거를 같이 이야기해주시면 좋으실 듯 합니다.
여름에 보드의 변형이 오기 쉽습니다..
그래서 외단열은 성능을 떠나서 일반 보드로 하시고 내단열의 경우 압출보드로 하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집니다..
현장의 경험치들을 여쭤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압출법은 투습이 아니고 방습 방수입니다.
"추후에 습기에 의한 부식 등으로 일반 이피에스 보드보다 성능이 현저하게 떨어집니다."의 근거도 같이 올려 주시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이론적으로는 사실 그 반대거든요.
권희범선생님...
"황금색 압출법과 분홍색 압출법의 열변형의 차이"는 오로지 밀도의 차이입니다.
어느 회사의 특성이 아니라.. 밀도를 더 많이 속이는 쪽의 변형이 더 빠를 뿐이며, 이는 그저 현장에서 체크해 볼 수 밖에는 없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