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외단열 시공자입니다
현장은 목감에 있는 RC조 건물 5층 상가주택입니다
현재 외벽에 경질우레탄보드 120mm가 일체타설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외벽마감이 외단열미장마감이라 현장에서 경질우레탄보드 위에 비드법단열재 50mm를 시공해 달라고하는데 화스너 170mm를 써서 시공하면 화스너 구멍때문에(점형열교) 안좋을것 같아서 우레탄본드를 써서 시공해 달라고 하는데 나중에 탈락되지 않을지 궁금합니다.
우레탄본드는시중에파는(깡통에들어있는)게 접착력이좋을까요? 아니면 이액형이 좋을까요?
우레탄 폼의 접착력은 1액형 또는 2액형 모두 상당히 우수합니다.
기본적으로 우레탄폼의 접착력은 밀도에 비례하게 되는데 밀도가 높은 제품이 접착력도 좋습니다.
다만 외단열용으로 검증되어 있는 국내 제품은 아직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몇몇 검증된 해외 제품이 국내에 유통되고 있긴하지만 가격이 국산 대비 3~4 배 정도입니다.
접착면적 및 우레탄보드의 면재와의 접착력등도 고려해야 하는데..
아직 그런 신뢰할 만한 DATA 나 근거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접착력을 떠나서 최소한 건축물의 모든 모서리부분(모서리 끝에서 안쪽으로 약 2m)는 화스너를 뺄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 층수의 한계도 역시 2층까지만 입니다. 즉, 2층을 넘는 모든 부위는 화스너 시공이 되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