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후드의 설치 상태 입니다
후드 배기구 옆에 창문이 있어서 개방가능합니다
■ 점검 결과
• 후드기기자체 성능 이상 없음
- 이유 : 후드 상부 배기관 제거 및 직경 큰 사이즈로 교체시 정상동작 (A4용지 붙음, 영상참조)
■ 점검받은 세대확인 결과 아래와 동일한 상황 발생
■ 추정되는원인들
• 부엌 후드렌지 부터 외벽 배기구 까지 배관 및 주름관의 직경(지름)이 12.5cm 이상이 되어야 하나, 육안으로 파악시 10cm 주름관이 설치되어있어 토출압력 및 풍량 저하현상 발생 예상 (외벽까지 설치된 배관사이즈 확인불가, 현재 설계도면을 확인위해 자료 요청 중)
• 후드렌지 직경과 배관 직경 차이로 인한 문제 가능성
- 틈새보강 작업 미실시 및 해당 틈새로 외부로 토출되어야 할 공기가 새어나감
- 보강작업 시도 (리듀싱작업, 직경이 상이한 부분을 해소시키기 위한 고무관 및 테이핑작업) 하였으나, 개선불가
• 외벽의 배기구 방풍형 타입의 문제점 예상
-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막기위한 빗살대 설치 되어있으나, 해당 빗살대가 내부에서 외부로 토출되는 유량에도 방해 (저항) 예상
- 투구형 타입이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유입을 조금 더 잘막을수있을것이라 말해주시네요, 하지만 이게 주 원인일지 아닐진 모른다고하심
■ 개선방법 (?)
• 원천적 문제인 배관 및 주름관 직경에 적합한것으로 교체
- 외벽에 설치된 배관사이즈 확인 필요
- 만약 해당 작업을 실시한다면, 부엌 후드쪽 붙박이장 철거작업등이 예상됨.....한마디로 대공사....;; ㅠ
• 10cm 배관 사이즈이 맞는 후드교체
- 불가, 토출압력이 더 강한상태에서도 제 기능을 못하는데 자체성능이 더 낮은 모델 사용은 상황을 더욱 악화시킴
중간에 그냥 끼워 넣은 것은 당연히 제대로 연결이 되어야 하는데요..
문제의 원인은 지름이 작은게 아닌 것 같습니다. 100mm 와 125mm 의 풍량차이가 그 정도는 아니거든요..
오히려, 위에서 말씀하신 것 중에서.. 나가는 외부 환기구의 개구 면적이 너무 작거나, 바람이 주로 불어 오는 방향에 설치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아보입니다.
일반적인 A4지 두께와 밀도 정보를 찾을 수 있을 것이기에 후드에 A4지가 붙을 때 필요한 동압력을 계산해 볼 수는 있을텐데요.
이게 현장에서 일종의 풍압 측정 요령으로 사용하는 것 같기는 한데, 글쎄요 A4지가 붙으면 풍압이 정상이다.??
잘모르겠습니다.
125 -> 100으로의 레듀싱 한번과 2M내외의 닥트 마찰 손실로는 풍량 감소가 생각만큼 일어나진 않습니다.
관내 유속이 15m/s 이내의 범위에서는 마찰 손실이란게 크진 않을 겁니다.
글쓴이께서 문제의 원인으로 확신한 것 말고는 다른 이유는 없다라고 확신하시기 전에 다른 요인이 없는지도 확인을 해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일단, 후드 재원을 확인해 보시지요.
제 짐작으로는 일반적으로 주방 후드 닥트 관속은 10m/s로 설정되지 않았나 싶은데요.
그럼 100Φ 라면 280CMH(=㎥/h) 수준일거고 125Φ 가 제품 규격이라면 풍량은 440CMH 수준이지 않을까 짐작이 됩니다만 실제 장착하신 모델의 설계 풍량이 얼마인지 한번 확인은 해볼 필요가 있을 듯 합니다.
만약, 제품 자체가 280CMH급이라고 한다면 닥트 레듀싱은 큰 의미가 없는 것이고 440CMH급이라면 닥트내 유속이 15m/s 으로 올라가야지만 설계 풍량이 나오는 것이므로 이 경우에는 풍량 감소가 있을 수 있곗죠.
실제로는 닥트 관경을 줄여서 나오는 풍량 감소보다는 주름관 자체가 만들어내는 Tublance가 영향이 더 클 겁니다. 주름이 없는 매끄러운 직선관이라면 압력 손실이 많이 줄지요.
바꾸어 말하면, 지금 후드에 100Φ 주름관을 이어면 떨어지던 A4용지가 후드를 떼면 붙는다고 하시고 그래서 닥트가 관경이 문제다라고 단정하셨는데요.
실험적으로 125Φ 주름관을 그 길이만큼 끼워도 역시 종이가 떨어질 수는 있다는 것입니다.
현재 상태에서 더 많은 풍량이 필요하다고 한다면 후드 팬 동력을 올려서 해결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봅니다.
100Φ 닥트에도 500CMH 풍량이 나오는 후드팬도 있습니다.
개구 면적 및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에 문제가 있을수도있겠군요...아파트에 거주중인데 이곳이 바람도 많이 부는동네이고, 다른 세대들 모두 동일한 현상이여서..ㅜ , 고민 많이해봐야겠습니다!
다른곳에 원인을 먼저 찾아보아야겠네요...
저도 해당 원리를 정확히는 모르는데 실수한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__)
설치된 후드는 DTR-90S테라 라는 모델이고(http://www.haatz.co.kr/bbs/board.asp?bo_table=product&sca=&wr_id=93&br_11=) 열어보니 제품설명에 풍량은 9.8m3/min 으로 나와있습니다
9.8m3/min 이면 588CMH정도 인가요??
(링크에 나와있는 풍량 580 / 420 / 330 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주름관은...후드 상부에 보이지 않는곳에서부터 내려오던데...
하츠기사님도 이부분을 확인 해결하려면 까서 봐야할꺼같다고 하시네요...
원인 및 개선방법에 대해서 고민을 좀 더 해보아야겠네요...
제품을 바꾸어서 개선이 될지...내려오는 배관을 교체하면될지...원인을 더 많이 찾아보아야겠네요
정말 고맙습니다!!!
m^3/hr 인데요.
3단으로 풍량을 선택할 수 있게된 모델같군요.
통상 기준으로 볼 때 높은 수준의 풍량이 나오는 제품인 듯 합니다.
이 정도 설계 풍량이면 일반 후드의 2배까지 나오는 것인데 후드 풍량이 작다고 체감하신다니 저도 의외입니다.
단지내 설치된 제품 전체가 불량이 아니라면(하츠의 명성으로 보건데 확률이 낮다고 봐야겠죠?) 관리자님이 지적하신 주 풍의 방향과 후드 개구부에서의 압력손실이 원인일 수도 있겠습니다.
그게 아니면 시공 또는 설계 불량으로 주름관 특정 지점이 심하게 꺽여서 압손이 발생했을 수도 있겠네요.
위에 그리신 '배관' 이나 '주름관' 둘 중 하나가 깨지거나 찢어진 곳이 있는지, '배기구'와 '배관' 연결이 느슨하거나 빠졌는지 확인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현장에서 자주 있는 일입니다.
후드장 하나만 떼어내고 천장을 직소등으로 조금만 더 뚫어서 눈으로 확인하는 것도
좋겠습니다. 가만히 들여다보시면, 뒷벽/옆벽/천장/옆 상부장과 고정하기 위해 피스를 몇개 박아놨을텐데, 그것만 풀고 살짝 위로 들면서 앞으로 당기면 빠집니다. 후드와 주름관을 분리하고, 후드의 전원 플러그는 먼저 빼시구요.
잘 해결되길 바랍니다.
ifree님
이장희님
정말 모두 감사합니다
알려주신데로 다음주중에 한번 확인해보겠습니다
주 풍의 방향 확인
- 금년도 4월부터 입주를 시작한곳이라 아직 4계절 확인은 못했습니다만 이곳이 워낙 바람이 강하게 부는 곳이여서 ㅎㅎㅎ
후드 개구부의 압력손실
시공 or 설계 불량의 가능성 (주름관 or 배관의 손상여부 및 빠져있는지..)
정말 감사합니다
꼭 확인해보고 후기 올리겠습니다
정말정말 많은 도움 감사합니다(__)(^^)
혹시 저처럼 찾아온 사람이 있을까 싶어 개인적인 견해를 남깁니다.
제가 알기로는 정상적인 상황에서라면 배기구 직경이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통상적인 상황에서의 배기관의 재질/형태에 따른 마찰계수나, 배기관의 길이, 꺽임각도 보다도 더 많이)
1. 외부 배기관의 직경이 125mm라면 주름관 125mm로 교체.
2. 제대로 된 리듀싱 작업 (125mm 100mm를 그냥 얹혀 놓았다고 하면.......)
3. 주름관의 각도는 가능한 완만하게
추가 의견 감사드립니다.
수차례 확인 요청을 하였지만, 시행 및 시공사 측은 하자아님 으로 판명
결국 다음주 국토교통부 하자심사 분쟁조종위원회에서 방문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때 결과가 나오면 알려드리겠습니다
많은 도움감사합니다^^
진행사항을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희 아파트도 같은 사례라 도움을 받고자 합니다.
주방후드 관련 동일한 문제가 있어 검색하다가 방문하였습니다 위 사항에 대해 어떤결과가 나왔는지요?
쓰신 분이 댓글을 읽지 못하실 꺼여요.
또한 주름관은 사용치마시고 배관연결하세요 배출시 많은 장해가 발생합니다
우선 이 문제는 우리가 생각할 수도 있는 바 간단하지가 않은 이동하는 흡기, 배기의 유체역학적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기대하는 최적의 상태가, 모터가 생성하는 시간당 배기량(CMH)이 팬모터의 연결부에서부터 배기관의 사이즈 및 길이 그리고 배기관의 꺽어짐 유무나 주름관이냐 민자형 관이냐?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다고 판단됩니다. 즉, 팬모터가 흡입하여 배기시키는 배기량CMH(V/hr)이 그 이후의 관로와 배기구 앞 단에 씌운 Cap(보통 비를 가리도록 부분적으로 open되어 있음). 많은 생각 끝에 내린 추정결론은 이전에 충고하신 여러 방법 외에 배기관 앞 단을 부분적으로 비가림을 한 것이 전체적인 배기량을 극단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전문가는 아닙니다.
그러나 이 문제는 아주 중요한 것인데 아파트 시공업체에서 하자보수 요구가 있으나 기술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변명이나 하고 피하는 모습을 보아 답답한 마음에서 답글을 올리니 관심을 가지고 협회에서 다루어 주시고 해답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래서 잘 나가면 후드의 문제는 아니거든요.
어제도 고기를 구웠는데 증기, 연기? 가 후드 무시하고 천장으로 올라가더라고요...
창문을 “조금” 열어보시라는 의미는 창문으로 바람이 들어올 정도가 아니라 공기가 비집고 들어올 정도의 틈 정도만 만들어 주라는 의미 입니다.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열린 폭이 5 mm (0.5 cm) 이내로 되게 열어보세요. 이걸로도 차이가 없다면 후드 자체의 문제인거고 차이가 생긴다면 집의 기밀성이 좋아서 그 부작용(?)으로 후드가 제 역할을 못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자바라 때고 후드 키니깐 흡입력이 강하더군요.. 배관문제일까요...
저도 같은 문제 겪고 있는 사람입니다 모터는 정상입니다 고장인 줄 알고 새것을 설치했는데 새것 역시 자바라 연결하면 바로 약해집니다
외벽 배출구 캡 문제로 판단하여 산업 후드 전문 기사 분께서 줄까지 타고 캡 뜯어서 확인한 결과 문제 없는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앞에서 여러분들이 언급했듯이 모터 배출관의 크기와 자바라 배출관의 직경 크기 차이 때문인 것 같다는 판단이 듭니다
혹시나 해서 두 가지를 테스트 해봤는데요
모터에 자바라 관을 연결하면 약해집니다
그래서 외벽으로 나가는 자바라관 말고 그냥 새 자바라관을 연결하여 주방에서 테스트 하니 바람은 생각보다 세게 나오지만 역시 줄어든 직경 때문인지 휴지든 키친타올이든 A4지 등 아무것도 붙지 않습니다
모터에 관만 연결하면 약해지는 것을 보니 직경 줄어드는 것이 가장 큰 문제인 듯 싶습니다
아니면 사진이라도 올려 주시던가요.
현재 아파트내부에서 후드로 연결된 주름관이 100파이입니다.
하츠 후드 위에 뎀퍼 설치 후에 125파이 약 20cm올렸고 100파이에 투명테이프로 감아서 마감을 했습니다.
후드는 전혀 안빨리고 위에 말씀하시는 창문도 해보고 별의별짓 다했는데도 안되서
하츠에 a/s문의해서 방문해주셨습니다.
후드 자체적으로 문제는 전혀 없고 주름관이나 시공시 문제라고 하는데
아파트관리사무소에 외벽에 나가는 자바라 관을 확인을 먼저 해야하나요?
확인을 한다면 125파이 주름관이 맞다는 후드제원을 사용하려면 아파트 외벽 자바라관은 어떤 제원으로 되어있어야 하나요
주방시공업체에 항의 하기전에 아파트 자체에 하자가 있는건지 확인이 필요한거 같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