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상업용 업무용 패시브건물의 공조 사례
4 HVAC (115.♡.135.16)
3
3,697
2016.12.27 20:02
일전 교육때 질문을 드리려했으나 못했는데
시점이 된듯합니다.
전에 듣기론 우체국건물의 사례를 말씀들었는데
혹 도면을 특히 공조 설비도면을 볼수있을까요?
가스가 들어오는 택지.삼사층 규모의 건물이라
주거를 일부 겸한다?
머릿속은 여러개 안은 스치는데 예전 사례가 있으면
도움이 많이 될듯합니다.
겁날라 합니다.
개인적으로 이젠 환기위주의
소형 패시브 주택의 설비를
좀더 큰 상업건물에선 어떻게 적용했는지 또
옵티멀. 즉 효율 겅제적인 면들을 고려할땐 어떨까 고민할때란 뜻이온데 새해들어 바로 학교와 연구과제 미팅이 있습니다.
그걸 고민해보려고 합니다.
또 어제 이에코 정대표님이 강남 근생건물을
숙제로 던지셨거든요.
도시가스 지역이라 무조건 히트펌프를 말씀드릴순 없어서 기존 케이스도 궁금했구요.
도면은 아직 못봤지만 지하 1층 지상 4층.
근생 에 주택. 면적을 봐야겠지만 좀 애매한
사이즈라 고민중입니다.
먼저 그 우체국 조달 건물이면 ehp였지 않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Ehp와 환기라? 덕트가 환기만 쓰긴 활용도가
떨어지고 공사비도 아숩고.
생각은 연천 타라주택 컨셉인데 상업존이있어
Ach 0.5는 부족하고. 또 주거존도 있고.
고민중이네요.
도면보고 질문드릴께요.
우체국 건물은 EHP+환기의 조합이므로.. 별로 건질 것이 없으실 것이구요..
제 생각에는.. 지역난방 지역이 아니라면.. 도시가스 공급 지역이라고 할지라도.. 상업시설은 히트펌프로 하고, 주거시설은 가스보일러 난방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