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답변과 유익한 내용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비탈면에 성토/절토된 토지에 경량목구조 2층으로 올릴예정입니다.
문제는.. 시공상담을 받아보니 잡석 다짐 없이,
버림후, 지중 300mm, 지상 500mm의
매트기초로 하면 충분하다 합니다.
그림의 색깔친 대지의 네모 모양으로 기초가 타설될 예정인데요.
대지 4필지의 높낮이를 참고해주세요.
표시된 것처럼 걱정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A. 도로면에서 옹벽 높이까지 50cm 정도에 불과합니다.
--> 기초깊이가 도로보다 높음.
B. 기초 끝부분부터 도로까지 1미터 거리의 여유만 있습니다. (도로,50cm옹벽,50cm흙,기초면)
--> 지내력이 없지 않을까..
C. 도로면보다 대지가 낮은 부분이 있습니다.
--> 빗물 등 유입으로 기초부근에 물기
위의 이유로 줄기초를 고집했지만 줄기초는 너무 과스펙, 과비용이라 하시며
정 걱정되면 오거파일(3미터, 직경300mm)을 10개소 이상 박자고 합니다. (기초 바닥 면적 약 23평)
오거파일 10개로 지내력, 동결심도 등 걱정되는 부분이 어느정도 보강이 될까요?
감사합니다.
성토지반이고, 기초의 하부면이 원지반에 닿지 않는다면.... "너무 걱정되면..." 으로 하시기 보다는...
평판지내력시험을 하시길 권해 드립니다.
그리고, 버림콘크리트는 안해도 되나, 잡석은 까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