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슁글지붕 레이어구성 조언 구합니다.
G 바오 (14.♡.163.131)
7
176
03.13 09:21
안녕하세요
구옥 지붕 수리를 하려고 합니다.
내부에서부터 철골구조체-내수합판-투습방수지-단열재-투습방수지-세로각재-합판-방수쉬트-슁글 이런 구성으로 생각해봤는데요.
수정해야할 부분있을까요?
예산이 빠듯해서 투습방수지와 쉬트도 가성비제품으로 추천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단열재라고 적어 주신 것은.. 어떤 단열재이고 두께는 얼마인가요?
- 내수합판 : 단열재를 고정하기 위한 바탕재이므로 유지
- 투습방수지 : 방수는 상부에서 이루어지므로 제외
- 단열재 : 250mm 글라스울을 시공하고 그 위에 어떻게 합판을 고정할지에 대한 방법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합판 위에 50mm 각재 (사이에 단열재) + 50mm 각재 (사이에 단열재) + 50mm 각재 (사이에 단열재) ... 이런 식의 고정인지, 아니면 또 다른 방식인지가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
- 투습방수지 : 유지
- 세로각재 : 통기층이므로 유지
- 합판 : 내수합판이어야 합니다.
- 방수쉬트 : 어떤 방수시트인지 알 길은 없으나, 가장 저렴한 제품은 피하세요.
- 슁글 : 유지
그리고 혹시 단열재를 eps로 바꿔서 폼으로 합판에 붙이는 방식으로 시공이 가능할지도 궁금합니다.
방수시트는 한쪽에 부직포가 붙어 있는 저렴한 제품만 아니면 되세요. 그런 제품은 겨울철에 너무 딱딱해 져서 깨질 수 있거든요.
ESP를 폼으로 합판에 붙이는 것은 지붕에서 필요로 하는 구조적 강도를 얻을 수는 없습니다.
단열재를 물리적으로 관통해서 구조재와 연결이 되어야 합니다.
다만 이 현장에 책임을 지는 담당건축사와 구조기술사가 접착을 허용하면 그렇게 해도 됩니다. 그 근거는 문서로 받아 두셔야 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