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RB-불투습-투습단열재 구성시 WRB의 투습성능 필요성?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WRB-불투습-투습단열재 구성시 WRB의 투습성능 필요성?

2 이준노 5 402 03.12 21:43

안녕하세요.

신축중인 저희 집의 벽체단열기밀 구성을 이미지 사진과 유사하게 계획중입니다.
(실내부터) 12T석고보드-2X6중단열R13글라스울-2X6중단열50T경질우레탄폼-12T SSB합판-프로클리마애드히로1000자착식투습방수시트-75T락울-38T레인스크린-18T세라믹사이딩 
입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니, 락울 외단열 뒤에 투습adhero1000 WRB - 반투습 SSB합판 - 불투습경질우레탄폼인데요. adhero와 SSB가 투습이어도 어짜피 경질우레탄폼이 완전불투습이어서 막혀버리게 될텐데 WRB가투습일 필요가 있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Adhera1000대신에 불투습의 멤브레인시트 또는 불투습 방수 fluid membraine 을 발라주는게 어떨까 하는데요... 

제 생각이 맞는건지 의견 또는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스크린샷 2025-03-12 213149.png

Comments

M 관리자 03.13 12:29
네 맞습니다.
좀 더 경제적인 방법은.. 동화 WSB 보드를 구조용 합판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암면을 직접 접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드 죠인트만 방수테잎을 발라 주고요.
다만 WSB 보드에 직접 접착 가능한 본드가 있는지는 저희도 아직 모르고 있습니다. 표면이 꽤 매끄러워서 가능할지의 여부를 따져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혹은 외부에 레인스크린과 마감재가 있기에 락울을 화스너만으로의 고정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2 이준노 03.13 17:53
네 그 말씀은 불투습물성의 보드를 사용해도 된다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WSB보드도 처음부터 고려를 했었는데, WSB보드의 표면 돌기가 있기에 테이프 시공 후 그 사이로 수직으로 침투하는 물에 대한 방수성능을 보드제조사나 테이프 제조사가 인증 내지는 보증을 해줘야 안심할 수 있을 것 같은데, 그게 없어서 선택을 못했습니다.
테이핑을 하고 다시 이음매를 퍼티바르듯이 liquid membrane을 덮어주면 될 듯 한데, 그럴꺼면 결국 다시 liquid membrane으로만 욕실처럼 전체를 한몸으로 감싸주는게 가장 나을 것 같아 적합한 액체형 방수액이 어떤 제품이 있을까 찾고 있었습니다.
M 관리자 03.14 10:27
아마도 테잎과 함께 전용 접착실란트를 사용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게 전체 도막방수를 하는 것 보다 나을 수 있습니다.  만약 하신다면 아크릴베이스 도막방수제가 유리합니다. 공사 중 자외선 노출 기간이 있으니까요. 다만 그럼에도 조인트 방수테잎을 해야 하는 것은 같습니다.
2 이준노 03.14 16:43
감사합니다.
마침 저도 비슷한 고민 끝에 SSB에 SA시트를 부착하는 것이 아닌 WSB에 조인트 테이핑 후 테이핑 부분과 못질 부분만 프로클리마 비스콘이나 zip 리퀴드플래싱으로 한번 더 덮어주는 방안이 좀 더 비용효적이라고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M 관리자 03.14 21:12
감사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