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올려주신 글에 큰 도움 받고 있습니다. 몇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창호안에 블라인드가 있는데 이게 조합창인가요?
2. 외창과 내창 사이 아래쪽에 곰팡이가 있는데 이건 왜그런걸까요?
3. 상단 검은색이 뭔가 녹아 나온거 같은데 이게 뭘까요?
질문을 드리는 이유는 아파트 탑층 외벽인데 외벽쪽에 곰팡이가 있어서 단열을 다시 하고자 알아보고 있습니다. 창호는 틀어진 곳은 없어그냥 사용 할까 하는데 단열을 우레탄폼으로 10cm정도 하는것으로 알아보고 있는데 창호 교체 없이 단열은 어렵다고 하는데 이게 맞는 이야기 일까요?
4. 창호유지하고 우레탄폼 단열만 하는것이 안돼는 이야기 일까요?
5. 창호의 교체 시기는 어떻게 판단하면 될까요?
감사드립니다.
두가지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가. 블라인드가 외창과 내창 사이에 들어 있는 것인지, 외창의 유리 사이에 들어있는지 잘 인지가 되지 않아서요. 어떤 경우인지 알려 주시면 좋겠습니다.
나. 우레탄폼으로 10mm 단열을 한다고 하셨는데, 대개의 경우 "폼"이라 함은.. 깡통에 든 것을 뿌려서 부풀어 오르게 하는 형식의 단열을 의미합니다.
만약 "폼"이 맞다면, 이 것을 이용해서, "어디에 단열을 하실 의도"인지 궁금합니다. 창 주변의 외벽면 전체에 하실 의도신가요?
가. 블라인드는 내창사이에 있어요
나. 말씀하신 폼이 맞습니다. 폼은 창이없는 외벽전체면과 창이있는외벽의경우 창 주변 4개의 면에 쏜다고 합니다.
이게 맞는 방법일까요?
2. 외창과 내창 사이 아래쪽에 검정색이 곰팡이라면.. 습기로 인한 결과로 보입니다. 다만 닦으면 제거될 것 같습니다. 혹은 블라인드를 고정하기 위한 무언가가 떨어져 쌓인 것일 수도 있어 보입니다.
3. 상단 검은색이 뭔가 녹아 나온 것은.. 저 역시 예측이 어려우나, 블라인드를 고정하기 위한 실란트류가 밀려 나온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4. 당연히 기존 창을 유지하고 단열을 하실 수 있습니다. 다만 말씀하신 10mm 라는 두께가 잘 이해되지 않는데요.. 폼을 사용하다면.. 그 폼 위에 석고보드 시공이 되지 않기에, 무언가 각목으로 틀을 만들고, 그 틀 사이의 면에 단열을 채운 다음, 각목에 석고보드를 고정하는 방식이어야 하거든요.
그리고 10mm 만 한다면, 기존 단열재가 이미 있다는 이야기인데요. 기존 단열재 위에 각목을 어떻게 세울 것인지 등등의 추가 정보를 물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5. 창호는 특별한 이유가 없다면 교체를 하지 않고, 영구적으로 사용을 합니다.
1번답에서 위에 말씀드렸는데 블라인드는 내장 2개의 유리사이에 있습니다. 내창과외창사이가 아니구요.
그래도 조합창인가요?
2. 외창과 내창사이 곰팡이 제거 하려면 창이 탈거가 되어야 겠지요?
2. 내/외창의 사이라면, 내창을 열 경우 닦을 수 있는 조건이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