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제막 건축에 발을 들여놓은 새내기입니다.
시골에 경량목구조로 부모님 집을 계획중인데 먼저 초안을 잡고있습니다.
부모님이 원하시는대로 조닝은 끝낸상태인데 오수통기관을 고려할시 토대목과 외벽으로 파이프라인이 들어가는게 안좋다고 하길래 주방쪽에 샤프트를 뒀는데요.
1. 화장실 1부터 화장실 2 다용도실 파이프까지 전부 저 하나의 샤프트의 오수 통기관으로 처리가 될까요?
화장실 1부터 부엌까지의 거리는 약 외벽기준으로 12미터정도 됩니다.
화장실 1은 따로 통기관을 형성해 줘야할까요.
2층은 화장실없는 간단한 다락같은 방이있는 구조입니다.
2. 만약 따로 통기관을 줘야한다면 어느쪽에 줘야할까요?
3. 또한 관리하기가 편하게 화장실쪽1에 온수분배기 박스(화장실1 세면대위쪽)를 만들어 뒀는데 이게 괜찮을련지 모르겠네요...
공부한다고 해서 공부하고 고려해서 생각하며 짠것이지만 아직 막 발을 들여놔서 미숙한게 많아 양해를 구합니다
공부하러 자주자주오겠습니다
1. 통기관은 공기만 들어 있는 거라서요. 하나로 하셔도 괜찮습니다.
3. 세면대의 위 쪽이라는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세면대 위에 있는 거울 위치라는 의미인가요?
언제든지 질문 주시어요.
혹시 습식화장실일 경우 문제가 되는건가요?
화장실이 슬라브 다운이라면, 오히려 안될 것 같습니다. 분배기에서 나온 많은 배관이 해당 높이를 극복하고 각 실로 넘어 가야 하는데, 실제 실행되기가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