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외단열과 관련하여 글라스울, 미네랄울에 대해 공부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궁금한 내용이 생겨 열심히 구글링을 해보고 있습니다만, 답을 찾지 못해 문의드리게 되었습니다.
1. 외단열용 글라스울의 시공 방식 관련
- KCC 홈페이지에서 검색해보면, 미네랄울의 경우 건식/습식 외단열 시방서를 제공하고 있는데 반해, 글라스울의 경우 건식 외단열 방식에 대한 시방서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혹시, 글라스울은 습식 외단열로 시공이 불가능한지요? 불가능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2. 불연 외단열시스템 관련
- 테라코코리아 등에서 제공하는 '불연 외단열시스템' 내용을 살펴보면, 글라스울은 활용하지 않고 미네랄울만 활용하는데, 미국/유럽의 사례가 국내에 도입된 개념임을 감안할 때 해외에서는 불연 외단열시스템으로는 글라스울을 활용하지 않는다고 이해해도 될까요?
3. 글라스울, 미네랄울 비교
- 검색을 통해 파악한 내용을 정리해보면, 글라스울은 주택 분야(목조 및 경량철골 건물, 샌드위치 패널 등)에, 미네랄울은 산업 분야 및 외단열에 주로 적용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두 소재 모두 건축용으로 활용되고 있다고 보여지는데, 어떤 소재가 더 많이 활용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아울러, 미네랄울 대비 글라스울의 시공성이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경량성 외에 시공성의 측면에서 글라스울이 더 장점인 부분은 무엇이 있을지도 알고 싶습니다.
아는 게 많지 않아 질문이 다소 길어진 점 양해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 네 상기의 이유로 해외도 없습니다.
3. 시장 점유율은 직접 더 찾아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글라스울이 훨씬 저렴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