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항상 많은 도움을 받고 있는 실무자입니다.
현재 누수가 발생하고 있는 시멘트기와주택의 보수공사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몇가지 질문을 드리려 합니다.
1. 현재 누수는 옥상 배수로의 구배 불균형으로 물이 고이는
현상이 집 안쪽으로 새고 있거나,
2. 시멘트기와 자체의 누수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어
전면 걷어내고 다시 시공을 하려고 합니다.
질문 1
현재 옥상 배수로와 기와 끝단의 단차이가 5cm정도밖에
나지 않아서 처마마감을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입니다.
배수로는 누름을 친것으로 추정되므로 깨고 단을 더 낸
다음 관리자님께서 올려주신 소규모 건축물 가이드라인대로
시공하려고 하는데 다른 방법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질문 2
콘크리트 내단열 건물이므로 기와를 모두 걷어내고
방수층 + 세로상 + 가로상 + 시멘트기와 시공을 하려고
하는데 세로상을 고정하기위해 작업을 하면 방수층이
손상이 발생하지는 않는지요? 그리고 이 시공순서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질문 3
배수로 구배가 안나와서 질문 1에 적었듯이 누름를 깨려고
하는데 누름을 만약 못깰경우 구배를 만들어줄 방법은
없을까요?
질문 4
중요한 가옥이라서 기와상부에 한번더 2차 방수를 폴리우레아
분사도막방수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실효적인 의견인지
궁금합니다.
항상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경사지붕이 끝나는 지점 부터, 평지붕 구간의 폭이 얼마 정도인가요?
그리고 평지붕 구간의 마감은 없고, 콘크리트가 노출된 상태인지요?
건령이 55년되어서 도면으로 확인은 불가능해서 오늘 한번 더 올라가보니 콘크리트가 노출된 형태로 보여집니다. 누름을 별도로 친 것 같아보이진 않아보입니다. 그러면 최초에 제가 생각한 누름을 깨서 구배를 잡는 것도 어려워 보이네요 ㅜㅜ
나머지 사항은 금일 저녁까지 답변 드리겠습니다.
그림에 있는 우수 드레인의 물빠짐은 괜찮은 편인가요?
또한 드레인 위치도 파라펫(?)보다 기와끝단과 가까워서
더 난감한 상황이네요(아마 다시 뚫어야 될 것 같습니다)
다시 뚫어서 드레인을 내는 것은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냥 수직으로 내려오는 드레인이라서요
이미 콘크리트도 바슬바슬 깨지고 있는 오래된 건물이네요
난감한 상황에 빠졌습니다;;
1. 평지붕의 구배를 다시 잡고, 경사지붕의 방수층과 평지붕의 방수층을 연결하는 방법
2. 전체를 새로 경사지붕으로 형성하는 방법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