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시브 하우스와 조적시공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패시브 하우스와 조적시공

1 박노성 1 5,569 2012.12.20 11:28
패시브 하우스로 계획하자니 외부마감재에서 많은 고민이 되고 있습니다.
단열재의 두께 및 외부마감재와 구조체와의 연결을 위한 앵커 등의 철물에서 전도발생이 이루어진다고 해서
많은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외부 마감이 조적조일 경우 이런 방법은 어떨까 해서 질문 드립니다.

가. 외부마감재를 조적조로 계획 시 콘크리트 타설 시 거푸집 보강을 위하여 시공되는
세퍼레이터를 절단하지 않고, 해당 세퍼레이터에 우레탄(방수재) 도포하고, 연결철물(아연도철선)에도
동일하게 우레탄(방수재)을 도포하여 단열재와 단열재 사이로 아연도 철선을 빼낸 후
이것을 조적쌓기 구간에 물려주는 방법..... 효과가 있을런지요

나. 특정업체에서 구조체와 조적벽체와의 연결을 위하여 특허를 받은 제품(패시브인증과는 상관없는 특허)에 우레탄 도포를 하여 사용하는 방법  (우레탄 도포 시 열 전도율이 많이 떨어지지 않을까 합니다)

이게 가능할 경우 굳이 외국 제품을 사용하지 않아도 될 듯 해서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12.12.20 14:36
안녕하세요
음 2번 방법은 제가 제품을 몰라서 섣불리 이야기해서는 안될 듯 하며, 1번방법은 효과가 있겠습니다만, 시공자에 따른 편차와 지속성에 의문이 듭니다.
제 생각에는 외장재로 인한 손실분 만큼 내단열을 추가하는것이 현실적인 방법이 아니까합니다.
감사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