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반지하 외벽과 닿은 습기 있는 벽체 단열 문의
G 오하영 (61.♡.202.12)
4
2,126
2022.09.28 14:34
안녕하세요
반지하 습기와 누수로 고생하고 있는데요
단열도 잘못하면 곰팡이가 잘 생기는것같아서
단열을 하지 않고 벽에 바로 타일을 붙이면 어떨까 생각해봤거든요
반지하 단열하지 않으면 어떤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추운건 견딜수 있을것같은데 곰팡이는 너무 싫어서요..
환기는 잘 시킬예정이에요..
또한 사진상으로 누수인지 결로인지 판별이 가능하실까요..
누수보다는 그저 습기가 올라오는 것 같습니다.
원래 단열재가 보이지 않는데요.. 기존 단열도 전혀 없는 상태인가요?
안쪽에 있는벽들은 석고만 붙어있구요..
습기때문이라도 단열을 해야할까요..
압출법단열재 밀착시공 - 구조체와 단열재의 맞댐선을 따라서 방습테잎 접착 - 석고보드 시공 의 단순한 순서인데.. 이 것 조차 건전하게 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라서요.
말씀하신 타일도 곰팡이 측면에서는 대안이 될 수도 있겠으나, 단열재 없이는 표면의 결로 현상을 막기 어렵습니다.
샤시 넓이는 5센티정도 되는것같아요
1. 아이소핑크30미리특+이보드23미리
2. 이보드 30미리
3. 아이소핑크+석고마감
다 방법이 다르시더라구요
근데 사실 저는 기밀시공이라는건 믿질 못하겠어요..
그게어렵다고 알고 있구요..
결로도 적당히 잡고싶고 곰팡이도 안나게 단열도 하고 싶으면 어떤방법이 제일 좋을까요?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