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스틸하우스 외단열로 직영 건축을 하려고 자료를 찾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질문하기 앞서 협회의 자료에 너무 많은 도움을 받고 있어서 고맙다는 말을 먼저 해야 할 것 같습니다.
1. 스틸 스터드와 지붕의 단열제 고정은 순디네 집짓기 방식으로 접근하려고 합니다. 펀치 드릴로 먼저 피스 길을 잡아주고, 고정하려고 하는데, 단열재 두께가 30센티정도 되어도 이 방식이 가능할런지요?
2. 이지 블럭에서 평창 패시브하우스 공사한 것을 보니, 벽과 지붕이 만나는 곳의 단열재를 그림과 같이 재단해서 공사한 듯 합니다. 자가 시공하려고 하는 입장에서는 난이도가 높아 보여서, 협회에서 추천하는 코너부분 단열재가 만나는 부분의 디테일이 혹시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3. 지붕 부분의 전체 레이어에서 빠지거나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집에 관한 많은 생각이 피코네를 보면서 바뀌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1. 단열재 300mm 는 쉽지 않습니다. 직결피스가 구하실 수 있는 것이 약 330mm 까지 있을 거여요. 더 긴 것은 주문생산인데, 가격이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목재두께와 박히는 깊이를 고려해 보면 250mm 정도까지가 한계가 아닐까 싶습니다.
2. 모서리는 달리 방법이 없습니다. 기다란 빵자르는 칼 처럼 생긴 커터가 있습니다. 그것을 이용해서라도 사선으로 가공을 하셔야 합니다.
3. 구성은 아래와 같이 변경이 되는 것이 좋습니다. (위에서 부터)
금속기와 - 가로목 - 세로목 - EPS단열재 - 방수시트 - 내수합판
이렇게 하는 이유는... 유기질단열재를 사용할 경우, 기와 하부로 들어가는 물이 단열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단열재 틈새로 들어간 물로 부터 합판을 보호할 필요가 있기에 그렇습니다.
단열재 위에 방수시트(투습방수지)를 깔아 주면 좀 더 나은 구성이 될 수는 있으나, 필수적인 것은 아닙니다.
집보드는 테이핑만 잘 하시면 되세요. 지붕엔 클립이 있어야 합니다. 다만 외단열이기에, 수축팽창의 정도는 일반 노출된 합판보다는 현저히 적기에 그리 큰 신경을 쓰지는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그저 지붕에만 하면 되고, 클립의 간격 등은 너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