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이대로 집지어도 괜찮을까요?
G 김명숙 (222.♡.210.106)
6
1,475
2023.06.08 06:46
옆에서 성토후 건물을 짓고 있는데 비가 오면 성토부분 흙이 막 석축으로 내려옵니다. 성토 경사면에 끝에 맞춰 기초후 골조까지 한 상태입니다. 논에다 석축 없이 그냥 흙으로만 성토를 1.2m정도 하였구요. 1년 정도 묵혔다가 올해 집을 짓고 있어요. 경사면이여도 이격거리 50cm만 지키면 괜찮은 걸까요?
흙성토면의 경사도는 그림과 유사하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그저 임의 시공으로 밖에 보이지 않는데요.
흙이 넘어오는 것을 떠나서 옆 집의 안전을 위해서라도 조치가 되어야 합니다.
상황을 정확히 이해를 하지 못했는데.. 이 상태에서 왜 V자로 모양을 만들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석축면까지 다 흙을 채우는 것이 공사도 더 쉬웠을 텐데요..
옆 집과 대화가 되지 않는다면 시군구 건축허가 담당자에게 안전성 검토에 대한 민원을 접수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담당자는 그저 행정적 판단을 해줄 뿐이고, "준공 낼 때 문제가 있다"라는 것이 그 행정적 판단입니다.
허가가 났다면, 준공된 상태가 허가서에 있는 것과 동일해야 준공이 납니다. 그러므로 허가 당시에 석축으로 허가가 났는지를 확인해 보시어요. 만약 그렇다고 석축으로 만들기 전에는 준공이 나지 않으니까요.
혹여 담당자를 다시 만날 일이 있다면, 안전성을 봐줄 부서를 연결해 달라고 하시면 되세요.
제가 설명이 미흡하여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