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 배관업체 두곳 미팅결과 문의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설비 배관업체 두곳 미팅결과 문의

1 행복한인생 1 420 01.24 01:18

안녕하세요. 5층의 철근콘크리트 협소주택 직영건축을 앞두고 설비업체 두곳과 미팅을 했는데

수도 부분에 서로 다른 내용을 이야기하여 어떤 업체가 신뢰성이 있는 업체인지 한번 자문을 구합니다.

 

[ A 업체 ]

- PB배관을 사용 슬라브와 벽체에 선 매립 시공

- 피트층에서 올라온 수도 배관을 천장분배기에서 이중배관을 사용해 슬라브층 위에

사용하고자하는 위치별 1:1 배관이되도록 시공

- 화장실 바닥 슬라브 아래에서 천장분배기로 배관이 올라가는 거라 배관이 매우 짧고

심플한것이 장점

- 주방쪽도 슬라브 상부철근쪽에 이중배관으로 매립 후 벽체까지 이어지도록 시공

 

[ B 업체 ]

- 스텐파이프 직관을 사용슬라브와 벽체(홈파기)에 후 시공

- PB배관을 슬라브에 매입을 하면 이론상으로는 잘 빠진다고 하나 슬라브 타설 시

바이브레이터 등에 의해 눌리거나 찍힘 발생시 추후 누수 등 하자의 원인이 된다.

그로인해 수도배관은 상시 골조가 완공된 이후 후 시공으로 시공해야 한다.

- 화장실 온수,냉수 배관은 골조를 완료한 후 바닥은 사모래층 아래에 위치별 T 자 부속이용

분기시키고 벽체는 홈파기해서 시공한다.

- 주방은 골조 이후 온수,냉수 스텐파이프를 바닥에 시공하고 바닥 단열재를 그 위에 배관만큼

홈파기해서 덮는 방식으로 시공한다.

 

[ 문의사항 ]

1. PB배관을 슬라브 안에 매립을 하여 타설시 문제점이 있다는 이야기는 B 업체의 말에 공감이 가나

화장실 바닥 슬라브 아래 분배기에서 바로 위쪽으로 올라가는거라 크게 영향은 없을것 같은데 어떨까요?

2. 스텐파이프 직관은 관급에서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라 30년 정도 누수는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는 하는데 연결부속에서 누수 시 이중배관도 아니고 바닥을 다 뜯어야 하는 문제가 있어

PB 이중배관이 더 마음에 드는데, 제가 잘 몰라서 그러는 걸까요?

3. 스텐파이프 직관으로 화장실 바닥을 지나갈경우 방수를 하려면 바닥에서 최소 1cm는

띄어서 시공해야 하지 않나요?

4. 스텐파이프를 노출형이 아닌 화장실 사모래층과, 벽체에 매립시공해도 되는 방법 인가요?

T 자 부속도 여러개 들어가고 스텐 제품이라도 매립 시 누수에 좋지않은 영향이 있는거로

알고 있습니다.

5. A,B 업체 견적이 같을경우 비싼 스텐직관을 사용한 B업체가 더 양호한 업체인가요?

 

Comments

M 관리자 01.24 09:43
이건 따질 것도 없이 A 회사 여야 합니다.
다른 모든 것을 떠나서, 콘크리트에 홈파기를 (일부러) 해서는 안됩니다. 스텐배관을 사용하려면 콘크리트 벽을 그대로 두고, 실내 석고보드 뒷 쪽에 이른바 설비층이라는 공간을 띄워서 배관을 보내야 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