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량철골+블럭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경량철골+블럭

G 경량 8 481 02.13 14:55

안녕하세요 

 

평소 협회자료를 자주 참고하는 사람으로써 

 

늘 감사하다는 말씀 먼저 올립니다

 

다름이아니라 현재 경량철골조 주택을 짓고있는데

 

시공하시는 분께서 외벽을 샌드위치판넬이 아닌 

 

시멘트블럭으로 하는게 어떠냐는 말씀을 하셔서

 

이러한 뼈대 경량철골 + 외벽 시멘트블럭 구조가 

 

구조적으로, 기능적으로 유효한 구성인지

 

여쭙고자 글을 남깁니다

 

 

Comments

M 관리자 02.13 15:56
안녕하세요.
대개의 경우 경량철골조에서 샌드위치 판넬은 단열을  담당하는 영역입니다. 그 것을 시멘트블럭으로 바꾼 다는 것은 .. 단열을 어떻게 할 계획이신가요?
G 경량 02.13 17:28
기존 판넬 취부하려 했던 각관 기둥둘레에

4인치블럭을 쌓고 4인치 블럭 위에 80T 단열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M 관리자 02.13 19:17
구조적으로는 괜찮지만, 단열의 측면에서는 좋지 않습니다.
물론 더 정확한 것은 단면도가 있어야 하겠습니다만..  외벽에 단열재가 누락된 구간이 없어야 합니다.
G 경량 02.13 20:35
이와같은 구조로 생각하고 있는데 단열이 취약하다면 조적벽 내측 각관사이에 단열재를 취부하면 보완이 될까요?
6 콜루 02.14 09:10
철골이 구조적인 것을 담당한다면  비용을 들여 시멘트 블럭은 왜 하는건지 모르겟내요0

철골위에 합판이나 시멘보드 시공하고  그 위에 단열을 더 많이 하시는게 나아보입니다.
M 관리자 02.14 09:57
만약 위의 댓글처럼 하실 경우, 철골기둥이 기초 안쪽으로 들어가 있어서.. 외부 보드와 기초가 만나는 지점에 건전한 방수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
올려 주신 그림에 국한해서 본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압출법단열재는 기초측면까지 올라가야 하고, 지면으로 부터 약 150mm 보다 높은 곳부터 비드법단열재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물이 타고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상부 비드법단열재가 조금이라도 돌출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블럭조의 표면에 전면 미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블럭조와 지붕 구조가 만나는 선을 따라서 누기가 상당히 쉽게 발생될 여지가 있기에, 이 부분의 기밀처리에 신경쓰셔야 합니다.

마지막므로 지역이 어디신지 알 수 없어서.. 외벽 단열재 두께가 적법한 것인지 확인해 주세요.
G 경량 02.14 19:29
지붕구조와 만나는 부분의 기밀 명심하겠습니다
블럭 표면 전면미장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단열재 두께는 얇아보이나 제주지역으로 적법한두께입니다
M 관리자 02.14 20:31
블럭의 강도, 그리고 기밀성능은 표면 몰탈 미장을 해야 확보될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