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약 위의 댓글처럼 하실 경우, 철골기둥이 기초 안쪽으로 들어가 있어서.. 외부 보드와 기초가 만나는 지점에 건전한 방수가 수반되어야 합니다.
----------------
올려 주신 그림에 국한해서 본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압출법단열재는 기초측면까지 올라가야 하고, 지면으로 부터 약 150mm 보다 높은 곳부터 비드법단열재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물이 타고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상부 비드법단열재가 조금이라도 돌출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블럭조의 표면에 전면 미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블럭조와 지붕 구조가 만나는 선을 따라서 누기가 상당히 쉽게 발생될 여지가 있기에, 이 부분의 기밀처리에 신경쓰셔야 합니다.
마지막므로 지역이 어디신지 알 수 없어서.. 외벽 단열재 두께가 적법한 것인지 확인해 주세요.
대개의 경우 경량철골조에서 샌드위치 판넬은 단열을 담당하는 영역입니다. 그 것을 시멘트블럭으로 바꾼 다는 것은 .. 단열을 어떻게 할 계획이신가요?
4인치블럭을 쌓고 4인치 블럭 위에 80T 단열이 들어간다고 합니다
물론 더 정확한 것은 단면도가 있어야 하겠습니다만.. 외벽에 단열재가 누락된 구간이 없어야 합니다.
철골위에 합판이나 시멘보드 시공하고 그 위에 단열을 더 많이 하시는게 나아보입니다.
----------------
올려 주신 그림에 국한해서 본다면..
아래 그림과 같이 압출법단열재는 기초측면까지 올라가야 하고, 지면으로 부터 약 150mm 보다 높은 곳부터 비드법단열재를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물이 타고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상부 비드법단열재가 조금이라도 돌출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이 보다 더 중요한 것은.. 블럭조의 표면에 전면 미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또한 블럭조와 지붕 구조가 만나는 선을 따라서 누기가 상당히 쉽게 발생될 여지가 있기에, 이 부분의 기밀처리에 신경쓰셔야 합니다.
마지막므로 지역이 어디신지 알 수 없어서.. 외벽 단열재 두께가 적법한 것인지 확인해 주세요.
블럭 표면 전면미장의 이유는 무엇인가요?
단열재 두께는 얇아보이나 제주지역으로 적법한두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