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사지붕위로 식생녹화를 해야하는데, ㎡당 80kg정도 됩니다.
지붕마감재료를 징크판넬(T260)로 할 예정입니다.
하부 구조는 경량철골로 지붕녹화하중까지 고려 되어있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징크판넬이 그 하중을 견뎌 줄것인가? 입니다.
여러 판넬제조회사에 유선으로 문의해보았지만, 강도에 대한 자료나 성적서를 보유한 회사를 찾기가 어려웠습니다.
질문1
징크판넬(eps판넬 or 우레탄판넬)의 강도에 대한 자료나 성적서를 보유한 제품을 알고 계신가요?
알고 계시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질문2
만약 강도에 대한 자료나 성적서가 있는 제품이 없다면, 시공 경험적으로 징크판넬위에 녹화제품을 올리는것이 가능할까요?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답변 부탁드립니다.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다만, 샌드위치 패널이 구조재로 사용된 경우가 극히 드물기에, 해당 회사에서 이와 관련된 시험성적서를 보유하고 있을지는 의문입니다.
-------------
제가 가진 지식으로 대략 계산하면, 바탕 철물(스터드)의 간격이 450mm 라면 말씀하신 하중을 충분히 버틸 수 있습니다.
다만, 샌드위치 패널의 특성상 "장기 크리프 변형(장기처짐)"이 생길 수 있어 시각적으로 불편해 보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지랍입니다만.. 경사지붕에 녹화를 하려면 패널 표면에 시트방수를 해야 합니다. 그러기에 징크패널(마감일체형 샌드위치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잘 이해가 되지 않으며, 처마 끝의 마무리 특성상 결과가 좋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http://www.greeninfra.co.kr/m31_view.php?it_id=1607324876
이런류의 제품을 적용할 예정인데.
추천하시는 마감이 있을까요?
링크 제품을 경사지붕에 어떻게 고정할 지는 해당 회사에 문의를 해보셔야 할 것 같고요. 링크를 보니.. 드레인보드가 필요없다고 적혀 있기에...
기본 구성이 아래와 같아야 합니다. 위에서 부터...
식생블럭(링크제품) - 방수방근시트 - 내수합판 - 세로각재 (통기층) - 투습방수지 - 샌드위치판넬(누드타입) -
구조 스터드... 입니다.
아래 도면이 참고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패시브건축협회 자료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