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 창호부분에 추가단열 문의 (로이유리 열파손 관련)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화장실 창호부분에 추가단열 문의 (로이유리 열파손 관련)

G 코너황제 7 926 02.10 12:09

KakaoTalk_20250113_121553952.jpg

 

현재 저희집 안방화장실의 2면이 외부랑 접해있습니다.

때문에 겨울이되면 너무 춥고 결로가 너무 심해요. 그래서 저 시스템창호쪽을 단열재로 막으려고 알아보던중... 열파손관련 문제를 알게되었습니다.

 

저는 아래와같이 저 창가쪽에 형상에 맞춰 아이소핑크로 막으려고 하는데, [opt"A"]와 같이 아이소핑크를 유리까지 밀착시켜 빈틈없이 막아버리면 열파손에 의해 유리가 파손될 위험이 큰가요?

 

아니면 [opt"B"]와 같이 유리와 아이소핑크사이에 약90mm 이상의 빈공간을 준다면 파손위험이 없어질까요?  추가로 아이소핑크와 천정이 닿는 부분에 빈틈을 주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이런형태로 아이소핑크 재단하여 본딩이나 고정을 하려는 것은 아니고, 딱 맞게 잘라서 겨울철에만 끼워 넣고 막아두다가... 날이 따뜻해지면 해체하여 사용하려고 합니다. 

이런 저의 생각이 결로 및 난방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지도 궁금하네요.

화면 캡처 2025-02-10 120755.png

 

Comments

G countrybas… 02.10 12:13
참고로 저 창문의 정남향입니다.
M 관리자 02.10 21:23
정 남향이라면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래도 일사를 많이 받으면 열파의 확률이 높아지거든요.
다만, (결심의 문제이긴 하나) 유리가 깨지는 것은 확률이고, 추위는 상시이므로.. 파손이 되더라도 교체를 하면 되기에, 추위를 막는 작업을 하시는 것이 냉정한 판단일 수도 있습니다.

단열재를 댄다면, 유리까지 밀착해서 대는 것이 더 낫습니다. 공기층이 있으면 더 가열될 수 있거든요.
M 최가이버 02.14 14:43
혹시 유리에 바짝 붙일때 접착을 하지 않고 밀착만 한다 라면 "흰색"이 있는 것이 좋을 것같아요.(단열 자재에 칠할 수 있다면 어떨가 싶은데 가능한지 모르겠네요, 아님 흰색 시트지도 가능하다면)

지나가다~ 글 남겨요.
제가 실제 경험한 예로 유리문과 바로 뒷쪽에 단열한 나무 도어(만든)가 있었는데 공기층이 10cm(문과 문 사이 공간)정도 있어서 엄청나게 더워서 부착했던 차음 자재가 쭉쭉 늘어질 정도였습니다. 실제로 엄청나게 뜨거웠어요.(밖 온도 보다 훨씬) 다 제거하고 문에 수성 페인트 화이트로 칠하고 나서는 여름에 아무 이상이 없었습니다. 온도를 재어 보진 않았지만 많이 뜨겁지 않았어요.(5년 넘었음)
관리자님 말씀대로 공기층이 없다면 덜 가열될것 같지만 화이트 색상이 조금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G countrybas… 02.19 12:00
글 썼던 질문자입니다.
유리에 밀착하여 아이소핑크를 채워 단열하는 방법을 택하여 설치하고 다음날 확인해보니 정말로 유리가 파손이 되어있네요. ㅠㅠ

그리고 아무리 밀착을 하여도 공기층이 존재한 것 같고... 그 공기가 열팽창으로 팽창하여 아이소핑크가 사진과 같이 움푹들어간것으로 생각됩니다.

혹시나 저와 비슷한 방식으로 진행하시려는 분들 참고하시라고 사진을 올립니다.
G countrybas… 02.19 12:21
..
G countrybas… 02.19 12:22
..
M 관리자 03.06 11:17
감사합니다.
제가 말씀드릴 때 한가지를 빠뜨렸는데요. ㅠㅠ
단열재의 외부측에 알루미늄호일이나 알루미늄테잎을 붙여서, 직달일사를 최대한 반사할 수 있는 표면을 만들면 그나마 열파의 확률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누락해서 죄송합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