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초보건축주다 보니 의욕도 궁금한점도 많아 자주 찾게되네요.
다름이 아니라, 기존의 주택의 1층(실제론 지하층)이 GL 로부터 약 0.5미터정도 내려가 있는데,
기존 GL에 맞춰진 마당의 공구리를 깨고 성큰 마당을 만들려고 합니다.
사진상으로 파란색이 기존의 기초 위에 있던 방 2개 이며, 벽체를 필로티구조로 변경하여 마당의 그늘로 만들려 합니다. 초록색은 기존의 시멘트로 덮여있는 옥외 입니다.
질문 1. 파란색 영역은 기초이므로 외단열을 위해서는 파란색의 바닥층에 외단열 시공을 해야할 것으로 추측됩니다.
그러나 이렇게 될 경우 바닥층의 높이가 많이 올라가고 천장도 단열을 해야하므로, 기존의 층고 2400이 최악의 경우 2000으로 까지 줄어드는 공간감을 많이 해치게 될 것 같습니다.
단열이되지 않으면 왼쪽으로 보이는 창문에 결로나 하자가 많이 발생할 것 같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2. 녹색 영역은 마당이고 GL 로부터 0.5미터 낮추어지게 계획했습니다. 이때 배수를 어떻게 해결해야할까요?
걱정 되는 점은 건축 특히 배수나 설비쪽 지식이 전무하다 보니, 단순히 초록색 영역을 흙으로만 채우면 빗물이 고이지 않을까 걱정됩니다.
도로에서 넘어오는 담장쪽에 약간의 턱을 넣어 차수를 한다해도 마당 내부에 떨어지는 빗물은 보통 어떤식으로 설비하게 되나요?
사족으로 기존의 시멘트로 마당을 흔히 공구리 친다고 하는데요.. 이런 옛날 집들은 마당이 시멘트로 메꿔졌는데 어떻게 빗물이 빠지게 되는 걸까요? 도로 쪽으로 구배를 준 것일까요?
늘 감사합니다.
먼저 질문이 있는데요.
말씀하신 것 중에, "마당"의 위치를 알 수 없었습니다. 또한 "벽체를 필로티구조로 변경" 이라는 표현이 어떤 의미인지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더해서 결과적으로 어디까지가 실내이고, 어디가 실외인지를 구분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초록색 영역이 마당이고 파란색 영역이 원래 실내 공간으로 쓰이던 공간입니다.
파란색 영역 처럼 두 기둥만 남기고 벽체를 철거하여 필로티로 변경한다는 뜻이었습니다.
결론적으로
파란색 영역은 원래 실내였으며, 초록색 영역은 처음부터 실외였습니다.
파란색 영역을 실내에서 실외로 바꾸는 과정중에 하단 기초부분에 대한 방수 및 단열에 대한 문의를 드린 부분으로 이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창문이 달려 있는 외벽에 외단열을 건전하게 하고, 바닥으로 부터의 열교는 약 50mm 정도의 단열재를 이용해서, 외벽 주변만 폭 1미터 정도로 깔아 주는 것이 최선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단열 보다는 물처리에 더 신경을 쓰셔야 할 것 같은데요.
파란색 영역이 기존 실내라는 의미는.. 지금 창문이 있는 벽이 내벽이었다는 뜻으로 읽히는데요.
실내벽과 바닥이 만나는 선을 따라서 누수의 우려가 높습니다.
그러므로 시공을 누가할 지 감은 없으나, 이 부분의 방수 조치를 어떻게 할지에 대한 계획을 미리 받아서 검토를 하시던가, 이 게시판에 질문을 주시면 좋겠습니다.
제가 조언을 드리기에는 상세한 정보가 없어서 한계가 있습니다.
2. 제가 이해한 바로는.. 파란색의 높이와 초록색의 높이가 같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즉 파란색 영역도, 초록색 영역도 모두 GL 로 부터 50cm 낮은 상황으로 보고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만약 초록색 영역 하부에 기초가 없다면, 바닥에 배수구를 만들어서 외부 우수관으로 연결해서 배출시키는 것이 최선입니다. 그 외에 더 적당한 방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만약 불가능한 상황이라면 초록색 영역에 집수정을 만들어서 유입수를 펌프로 빼야 하기에 그렇습니다.
1. 현재 시공사는 패시브하우스 협력 시공사를 기준으로 찾아보는 중입니다. 해당 부분에 대한 방수 조치 계획을 미리 꼭 검토를 받아야겠네요.
파란색높이와 초록색 높이에 살짝 단을 두어 원래 실내였던 공간은 바닥층 방수를 하고 단을 10cm정도 더 높여 시공해야겠습니다.
2. 외부 우수관이 없는 상황이면 사실 포기하는게 맞겠네요. 보통은 도시하수정으로 연결된 우수관이 다 집집마다 있는 상황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