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열재 취부와 이중배수 문의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단열재 취부와 이중배수 문의

G 모어앤레스 3 926 02.11 07:54
두꺼운 비닐을 깔고, 버림을 치고 바로 기초 철근 작업을 한 상태입니다.  철근 구조체로 단차를 주어 화장실과 세탁실을 단내림을 하여 턱을 만든 상황입니다.

 

1. 기초 레미콘 타설 후, 기초 전체에 동일하게 150티 단열재를 깔려고 합니다. 철근 구조체로 턱을 만든 부분에 기역자로 단열재를 둘러야 할까요? (버림 위에 단열재가 없어서요...)

 

2.  150티 단열재를 깔 경우 교차 시공이 나을까요?

 

3.  벽체 하단 부위에도 단열재가 없는 상황입니다. 벽을 제외한 기초는 단열재가 있고,  벽 하단에는 단열재가 없어서 결로가 생길까 걱정입니다..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4. 가) 단열재를 위에 엑셀파이프를 고정하고, 그 위에 와이어 메시를 깔고(엑셀파이프가 들뜨지 않게 유핀으로 한 번 더 고정을 하기 위함), 비닐을 깔고 바로 방통을 치는 방법

     나) 단열재 위에 비닐을 깔고 기포콘크리트를 3센치 치고, 엑셀 파이프를 깔고 방통 치는 방법

 

가와 나 방법 어느 방법이 나을까요? 비용부분 차이가 많이 날까요?

 

5. 화장실과 세탁실은 기초 레미콘 타설 후에,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비닐을 덮고, 수평몰탈을 치고, 방수 작업을 하고, 타일을 까는 순서로 해도 될까요?

Comments

M 관리자 02.11 08:16
1. 담당 건축사가 결정을 해야 할 사항입니다.

2. 교차 보다는 한 장을 깔되, 구조체 표면의 평활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들뜬 부위가 없도록 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보장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단열재를 공기총화스너로 바닥에 고정을 하던가, 기포콘크리트 등을 타설하면 표면을 정리해야 합니다.

3. 없습니다.

4. 둘 다 잘못된 방법입니다. 아래 글을 보시면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3_01&wr_id=3118

5. 화장실의 방수 방식에 대해서는 아래 글이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74253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68465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67488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66737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62661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53310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40226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73447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70854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70457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68290
G 모어앤레스 02.11 08:54
일반적으로 버림 위에 단열재가 없을 경우, 문턱 기역자 부분과 벽 하단부 단열은 기초 타설 후에 어떻게 보강하나요?

(문턱의 기역자 부분에 을 단열재 두르게 되면 단열재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이 약할 것 같습니다. )

4번 가)와 나)처럼 시공할 경우 어떤 문제가 있습니까?

5번 작업하면 생기는 문제는 뭔가요?

링크 자료도 감사한데 해석을 잘못 할 수 있어서 재문의 드립니다.
M 관리자 02.11 09:50
일반적으로는 단열 보강을 할 수 없습니다. 다만 담당 건축사의 설계 의도가 어떤지를 알지 못하기에, 단열 결손에 대한 대안을 가지고 계신지 물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4, 5번은 링크의 글을 먼저 보시고 2차 질문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