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에 환풍기가 전열교환기와 연결되어있는경우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화장실에 환풍기가 전열교환기와 연결되어있는경우

G 도와주세요 8 467 02.09 13:54

검색을 모두 해봤는데 같은 상황이 없어 질문남겨요.

기존에 힘펠 환풍기가 달려있길래 당연히 기본적인 환풍기가 있는줄 알았습니다.

그런데 철거를 하고 보니 환풍기 배관쪽에 전선이 없고, 이 아파트는 환풍기 배관이 전열교환기로 연결이 되어 작동한다고 합니다.

궁금한 점은

1. 전열교환기에 연결된 것만으로 충분한 환풍이 가능한가요? 습기가 빨아들여질까요?

2. 다시 설치시 어떤 환풍기를 설치해야할까요? 전선이 없으니 전동 댐퍼 환풍기는 못쓰지 않을까요? 디퓨저를 달아야할까요?

3. 욕실 스위치에 버튼이 있는데 이 버튼으로 욕실쪽 전열교환기를 작동한다고 하는데 욕실에 전선이 없는데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걸까요?

4. 환풍기를 달기위해 추가로 전기 공사를 통해 전선으로 환풍기를 연결하면 전열교환기 사용할때보다 바람이 강하게 전열교환기로 들어갈텐데 이상이 없을까요?

Comments

10 잡자재 02.10 14:29
전열교환기의 모델명과 덕트도면을 알려주시면 좀 더 정확하게 답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만

추측컨대 전열교환기에 달려 있는 것이 아니라 강제배기팬이 실외기실 혹은 다용도실 등에 설치되어 있고 욕실 스위치를 작동하면 그 팬이 작동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G 도와주세요 02.10 18:30
이렇게 되어있습니다.
모델에는 tmd125 f-1(s)입니다
G 도와주세요 02.10 18:32
전열교환기에 들어오는 배관3개 나가는 배관 2개입니다.
G 도와주세요 02.10 18:34
덕트 도면은 구하기 어려울 것 같고 오늘 전화해보니 관리사무소에서는 전열교환기 맞다고는 하네요.
욕실 작동시키면 모든 방이 다 작동된다고 하네요 ㅠ
G 도와주세요 02.10 18:42
덕트 도면은 구하기 어려울 것 같고 오늘 전화해보니 관리사무소에서는 전열교환기 맞다고는 하네요.
욕실 작동시키면 모든 방이 다 작동된다고 하네요 ㅠ
10 잡자재 02.10 20:42
1. 이는 전열교환기의 팬 성능에 따라 상이합니다만 일반적인 화장실 배기팬 풍량이 80~120CMH정도로 낮아 최대풍량으로 작동시 환기에 필요한 정도의 환기량은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2. 환기장치와 신호선이 연결되서 환풍기 작동시 댐퍼가 열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인 환풍기를 쓰실 생각이라면 환기장치와 화장실배기 배관이 연결된 댐퍼는 닫힌 상태로 두고 환기장치에 연결된 배관을 빼서 EA(환기장치의 배기측)의 외부측에 가까운 곳으로 연결하고 환기장치와 화장실 후드가 서로 역류하지 않도록 역류방지 댐퍼를 양쪽에 달아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화장실 환기팬은 화장실 조명과 연결해서 조명 작동시 같이 작동되도록 하거나 스위치측으로 추가선을 인입해서 별도의 스위치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3. 욕실 스위치에 신호선이 연결되어 있어 전열교환기 및 댐퍼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보입니다.

4. 환기장치를 열어봐야 알겠습니다만 화장실의 배기는 대부분 EA팬에 직결되어 열교환하지 않고 바로 배출되어 소자에는 문제가 없을 것 같습니다만 환풍기 팬의 성능이 전열교환기의 팬보다 높다면 말씀하신대로 실내측 RA디퓨져로 나올 수도 있습니다. 이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배관을 EA후드캡에 가깝게 연결하고 역류방지 댐퍼를 양쪽으로 달아주어야 합니다.

제가 썼지만 하기는 참 번거로운 작업인 것 같습니다..ㅠㅠ
M 관리자 02.10 21:06
왜 이렇게 공사가 되었는지 알 길은 없으나,
지금 상태에서 환풍기를 별도로 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 환풍기에서 빼내는 공기가 갈 곳이 없기 때문입니다.
다른 집도 같은 방식으로 시공이 되어 있는지를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욕실 스위치에 버튼이 있는데 이 버튼으로 욕실쪽 전열교환기를 작동"은 허구의 말로 보여지고요.
그냥 전열교환기를 작동시키면, 화장실의 습기를 전열교환기가 빨아가는 구조로 보입니다. 즉 화장실만 작동시킬 방법은 없습니다.
G 도와주세요 02.12 21:54
하하... 아주 힘들고 복잡한 일이 되겠군요 ㅜ
정말 감사합니다.. 일단은 그냥 살아봐야겠군요..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