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펫이 없는 역전지붕 질문입니다.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파라펫이 없는 역전지붕 질문입니다.

G 김수진 4 329 02.08 12:19

안녕하세요. 

 

ALC 구조이고, 구배가 없는 평지붕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가장 단순한 역전지붕을 생각하다가 파라펫도 들어낸 경우를 생각해봤습니다. 

 

파라펫이 없는 역전지붕.png

 

 

위 그림에서 빨간색 부위에 XPS와 후레싱을 붙이면 XPS의 2차발포가 예상되어서, XPS와 후레싱 사이에 11mm의 중공층을 둔 그림입니다. 

 

1. 이 경우에 XPS의 2차발포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2. 만약, 2차발포가 가능하다면 후레싱과 XPS 사이에 무엇을 넣는 것이 적절한가요? 

 

유튜브는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10 잡자재 02.10 10:18
안녕하세요. XPS의 후발포를 고려해서 징크를 외부로 띄워 통기층을 만든다면 통기가 원활하기 위해 상하부에 토출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상부에 토출구가 있다면 물이 유입될 수 있어 이에 대한 대안이 필요해 보입니다. 더해서 가로상이 아닌 세로상 시공이 필요해 보입니다.

건식 파라펫을 얇게 만드는 구조로 방수층이 파라펫을 올라타 파라펫 상부까지 올라가고 상하부 토출구를 만드는 구조로 구성하면 좋을 듯합니다.
M 관리자 02.10 19:58
저는 먼저 질문이 있는데요. 평지붕의 물처리는 어떻게 하실 계획인지 궁금합니다.
G 김수진 02.12 12:49
쇄석 턱으로 쓰이는 알루미늄의 세로면 하단에 일부 천공하여 XPS 위의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단열재 하단의 물은 자연배수 입니다.

잡자재님의 의견을 고려해서 개선한 그림도 올립니다.

어떻게 배수되는지 물방울도 그렸습니다.

단열재 측면 후레싱의 상단을 일부 천공해서 후레싱 하부의 틈으로 들어온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했습니다. 후레싱 하부의 틈은 1T에서 2T로 변경했습니다. 1T 틈은 왠지 좁다고 느껴져서요.

여전히 XPS가 2차발포 될 것인지, 안될 것인지는 모르겠지만요 ^^; 계산할 지식이 없으니, 한여름에 온도를 재어서 위험하면 상단에 구멍을 더 내면 어떨까하고 생각해봤습니다.
M 관리자 02.12 19:53
상부 쇄석 두께 50mm 이상이라면, 측면을 통한 2차 발포 현상은 없습니다.
그 보다는 지붕면적이 어떻게 될지 감은 없으나, 우수를 모두 이런 식으로 처리하는 것이 무리로 보입니다.
최소한 아래와 같이 별도의 배수를 고민해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