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10 페이지 >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설계/시공관련 질문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팁층 실링팬 매립등
G 궁금해요 | 댓글 1
탑층 아파트인데 환기를 위해 실링팬을 설치하고자 합니다. 기존 전등자리에 실링팬 설치하고 조도를 위해 매입등을 설치 해야 한다고 하던데 탑층은 단열재가 천장에 있다고 하던데 매입등을 위해 천장 타공 괜찮을까요? 혹시 단열재가 손상되는건 아닌지 해서요. 탑층외벽이라 벽 콘센트 증설도 혹시… 더보기
바닥 단열공사문의요 ㅜㅜ
G 요묭 | 댓글 1
지금 바닥 단열공사중입니다 확장한곳 진행중인데 난방배관이 벽쪽하고 너무가까운거같아요 ㅜㅜ 이럴경우 결로현상으로 인해 난리날꺼같은데 ㅜㅜ,, 벽면에 단열안하고 미장하셨거든여ㅜㅜ 이거괜찮은건가요 ㅜㅜ
단독주택 실외기 응축수 활용 문의
1 단독설계중 | 댓글 4
여름철 에어컨 실외기 물뿌리기 효과를 보다가 생각난 내용입니다. 실외기에 직접 뿌릴시 라디에이터 부식 위험이 크다합니다. 그래서 말인데 단독주택같은경우 실외기가 보통은 외부 지면에 있습니다. 실외기는 보통 밑에 받침대로 바닥에서 꽤 높이 떠있는데요. 실외기 주변에 실외기 단높임 아래쪽으… 더보기
외단열 금속 경사 지붕 태양광 패널의 천공복사 감소 성능이 클까요?
1 단독설계중 | 댓글 1
외단열 금속 경사지붕의 남향쪽에 지붕부착형 태양광 패널을 많이 설치하면 여름철에 지붕에서 들어오는 열기가 막아지고 겨울철 천공복사 에너지 손실이 많이 줄어들까요? 아니면 외단열 후 금속지붕 설치를 위해 이미 각상 통기층이 있어서 유의미한 효과는 없는걸까요? 갑자기 궁금해지네요. 그리고 … 더보기
옥상 방수 공사를 했지만 바닥이 물을 먹고 있습니다.
G 철매 | 댓글 8
옥상 바닥면의 탑층 세대는, 싱글과 배수로가 연결되는 코너 부분에서 물이 실내로 누수가 됩니다. 그래서 고민이 많습니다. 아파트 옥상입니다. 탑층 세대의 누수가 있다보니 1차 의심되는 배수로를 우레탄 방수를 시공하였습니다. 누수 세대의 한쪽 부분은 누수가 잡혔지만 또 다른 한쪽 부분은 … 더보기
반지하 방수 및 결로방지 설계 시공 및 수영장 시공 문의
G 닥터박 | 댓글 12
안녕하세요. 풀빌라 건축 예정인 예비 건축주입니다. 바다가 근처에 풀빌라를 건축하려고 하다보니 지하층도 존재하고 방수와 결로가 우려되어 글남깁니다. 방수와 결로에 대해 시공사나 건축사는 마땅한 대안책을 주지않아서, 혼자 공부하면서 대응하려고합니다. https://www.phiko.kr/… 더보기
실내 방습지가 필요없는 단열벽체구성 질문
2 이준노 | 댓글 12
안녕하세요..2x6@16"OC 목골조 주택에서 다음과 같은 벽체 단열구성을 계획하였습니다.목적은 실내 방습층 없이 벽체 내부 결로발생 위험이 없는 벽체구성입니다. 경기도 성남시 지역 기준. (수원시 기준으로 겨울철 영하12도로 시뮬레이션)[ALT-1]1. 12T tapered 석고보드 … 더보기
RC조 창호 및 현관문 등 개구부 골조 면처리 관련 문의
1 비움 | 댓글 4
안녕하세요, 기초면에서 150T 높이의 개구부 하단면에 요철이 심한 상태입니다. 창호 시공전 하단면 포함 개구부 사면에 프라이머나 퍼티, 방수 작업 등 면정리를 하면 창호 기밀테이프 부착 시 더욱 기밀하게 마감이 가능할 듯 한데요. 골조 요철을 어느정도 평평한 면을 만들기 위해서 퍼티 … 더보기
단독주택(조적조) 내단열 두께 문의드립니다
G 프레드 | 댓글 3
오래된 조적조 단독주택입니다 리모델링중인데 외단열 없이 내단열을 할 계획인데 두께나 방식은 어떻게 하는지 좋을지 여쭤봅니다 현재 계획은 외벽쪽 전체 1차로 아이소핑크 30~50T 후 2차로 occ보드(경질우레탄)31T 시공 예정입니다 지역은 춘천입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단독주택 욕실바닥 철거 후 되메우기
G 프레드 | 댓글 1
단독주택 욕실 바닥을 30cm이상 철거하고 배관을 신설 및 교체했습니다 다시 까낸만큼 되메우려 하는데 혹시 폐시멘트 조각이나 폐벽돌 같은걸 잘게 부수어서 흙과 적절히 섞어서 메워도 되는지요? 안된다면 어떤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외단열 롱브릭타일 마감 관련 문의드립니다.
1 비움 | 댓글 7
안녕하세요, 관련하여 협회의 여러 글을 찾아보고 도움 얻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타일 시공을 위한 외단열 미장은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진행 예정인데, 추가로 문의드릴 사항이 있습니다. - 외단열 미장 시공 관련 주의사항 가. 숙성된 단열재를 사용하고 나. 단열재 크기를 1200x600… 더보기
샤시 아래에 있는 PVC 배관의 용도가 뭘까요?
1 가상밥 | 댓글 1
안녕하세요 이곳에 에어컨 배관 구멍을 내려고 하는데, 뜯어보니 사진처럼 PVC 배관이 있네요.. 구축 아파트이고 2005년 정도에 지어진 아파트 입니다. 혹시 이 PVC배관이 에어컨 물을 빼내는 곳일까요? 감사합니다.
정전분체도장 일위대가
G 주니 | 댓글 1
내역서를 위해 정전분체도장 일위대가가 필요한데 전혀 나오질 않네요 주로 사용하는 품이라던가 그런게 있을까요
천장 매립형 해바라기 샤워기 점검구 위치 조언 부탁드립니다
1 감자돌쓰 | 댓글 1
안녕하세요 천정 매립형 해바라기 샤워헤드를 설치합니다. 점검구 위치에 대한 고견 부탁드립니다 천정은 석고보드에 도장마감입니다.
접합유리 일위대가
G 주니 | 댓글 1
접합유리의 일위대가는 별도 계상한다고 표현이 되어있는데 어느 정도의 인력품을 사용하는게 맞을까요 판유리의 몇배 복층유리의 몇배 이런식으로 답변이 가능할까요?
이것저것 여러가지 문의 드려봅니다.
1 인트루김실장 | 댓글 57
협회의 도움을 받아서 건축중이신 보리엄마님의 현장에 요청을 받아서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방문한 결과 협회에 문의를 드려야 할 부분이 많은것 같아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질문1~4까지는 한장의 사진에서 하겠습니다. 질문1 역전지붕을 하게 되면 당연히(?)분홍색으로 표시된(임의로 포토샵… 더보기
기초하부단열재 시공관련 질문
1 쇼온 | 댓글 9
안녕하세요, 최근 서울 지역에서 공사를 시작한 건축주인데요, 공사 관련하여 많은 도움 얻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저희는 5층규모 건물이고 외단열로 벽돌타일로 마감예정입니다. 현재 기초 공사 중인데요, 도면상에 기초하부단열재로 T80 압출법 보온판을 사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첫번째로,오… 더보기
경량목구조 지붕에 WSB 보드를 사용해도 되나요?
G 아람 | 댓글 3
안녕하세요~ 경량목구조 주택을 계획 중에 있습니다. 건축사분이 지붕에 WSB보드를 사용하시는 것으로 도면을 그려주셨는데. 괜찮은가요? 서까래와 서까래 사이에는 글라스울로 단열을 하고 서까래 위에 WSB 보드를 취부합니다. 그리고 그 위에 XPS 단열재를 취부하고 합판을 덮은 후에 강판 … 더보기
배관도면 기호 문의
G SSH | 댓글 1
안녕하세요, 아래 배관도면에서 1번, 2번, 3번이 각각 어떤 기호인지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전북 지역 시공 잘 하시는 설비, 방통 업체 추천 가능하실까요.
1 비움 | 댓글 1
직영으로 건축중이라 올바르게 양심적으로 시공해주실 시공자 찾는게 가장 어렵네요. 잘 하시는 시공자 추천해주실 분 계신가요.
단열재를 넣어야 하는 벽면
G 이진아 | 댓글 14
오래된 주택. 아이방에 심한결로+곰팡이가 생겼습니다. 처음엔 각각 세 분이 와서 방을 보았고 견적을 냈는데 세분 다 외단열(외부단열)은 필요없고 내단열(방안)만 하여 150~200정도 견적을 냈는데 1.천장과 방 네 면을 다 해야한다 2.곰팡이 핀 부분만 해도 된다 ( 외부벽과 닿아 있… 더보기
벽걸이 변기(소위 게버릿 변기)에 대한 장단을 알고 싶습니다.
G Dave | 댓글 16
안녕하세요? 최근에 벽걸이 변기 시스템에 관하여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일반적인 층하배관과 달리 층상배관시스템 같은 경우는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슬라브를 많이 내린 다음에 바닥에 오수관을 묻는 식으로 시공하거나, 아니면 옛날 한양 건설사에서 많이 쓰던 후궁 변기 같은 경우는 많… 더보기
천장을 안뜯고 단열이 가능한가요?
1 haziyo | 댓글 3
빌라탑층입니다. 천장까지 다뜯고 하기엔 시간도 시간이고.. 생활하면서 공사하기가 힘들것같아서 벽만 단열 하기로 결정을 했습니다. 현재는 안방 먼저 끝내고 나머지부분들 하려고 안방짐은 거실로 다 빼놓은 상태입니다. 이렇게 외기에 닿는 벽만 단열을 할예정이였습니다. 20년된 건물이기도해서 … 더보기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