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홈페이지와 유튜브로 너무나 좋은 정보들 얻고 있어 감사드립니다.
이번에 이사 들어가기로 되어있는 집의 앞베란다(안방앞) 벽과 바닥이 만나는 코너에 결로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곰팡이가 있어(사진상의 코너입니다), 우선 단열 여부를 고민하였습니다.
- 도면 첨부합니다. 곰팡이생긴 코너를 붉은색 점으로 표시했습니다. 아파트이고, 거실에서 베란다를 바라보았을때 맞은편 벽은 외벽은 아니고 옆집 실외기실입니다.
- 열화상 카메라로 확인 결과 곰팡이핀 코너 부분에만 열교현상이 일어나는 것 같습니다.
1. 단열에 관한 제 사고의 흐름(?)에 오류가 있을지 여쭙습니다.
우선 베란다에 전기선이 있어 xps 단독으로 단열하기에는 화재 걱정이 되었습니다.
그 위에 석고보드를 대자니 습기에 취약한 점이 고민이 되었습니다.
(물은 많이 쓰지는 않을 것 같지만, 천장에 전동건조대가 있어 천장 단열은 못하거나 아주 일부만 가능하다보니, 천장 결로와 바닥 결로가 석고보드로 침투할 가능성)
다른 자재도 고민했으나 pf보드는 습기에 취약하고 경질우레탄의 경우 xps와 난연성이 큰 차이 안나는데다가 어차피 석고보드 부착이 필요한 것 같아서요..
그래서 xps를 밀착시공할 수 있으며 석고보드와 xps 사이를 방습처리하는 업체를 찾아보았으나, 일단 방습처리를 하신다는 업체를 찾지 못했고 어설프게 단열했다가는 오히려 곰팡이가 벽체와 단열재 사이로 다 번질수도 있겠다는 생각에.. 결국 그냥 환기와 습도관리를 잘 하는 쪽으로 할까 싶은데요.. 제 사고의 흐름?에 큰 문제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
관리자님 글과 댓글들을 읽보면 베란다는 단열을 하려면 더큰 문제 생기지 않게 "잘" 해야되는데 그게 참 쉽지 않은 것 같네요..
2. 코너에 저렇게 곰팡이가 있을 경우 벽 안까지 많이 퍼져있는지는 철거 안하고는 알기가 어렵겠지요?(아기가 있다보니 곰팡이에 예민해지네요)
3. 단열을 안할 경우 어느 댓글에 수성페인트 추천해주셨는데, 기존 페인트가 곰팡이때문에 벗겨졌을테니 그 부분만 도장하면 되는 것일지요? 아니면 전체적으로 도장하는 것이 또다른 이점이 있을지요? (기존에 페인트 도장된 공간입니다)
언제나 감사드립니다.
1. 완전하고 건전한 논리였습니다. 저도 글자 하나 안틀리고 같은 생각이었을 것 같습니다.
2. 예측컨데 전 주인이 이 코너에 물건을 두셨을 것 같습니다. 그러므로 물건을 두지 마시고 습도관리만 잘하면 되실 거여요.
그리고 아파트의 특성상 페인트 아래는 바로 콘크리트이고, 곰팡이는 콘크리트에 스며들지는 못합니다. 자라지도 못하고요. 그러므로 표면만 잘 닦아 내시면 되세요.
3. 부분적 도색만 하시면 되는데, 다른 곳이 시간이 지난 색이라서.. 전체를 새로 하면 이색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습니다.
잘 봐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