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485 페이지 >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정남향, 경사지에 지상 1층 지하 1층으로 지을 경우 패시브구현 가능할까요?
1 nitona | 댓글 3
안녕하십니까? 현재 경사가 20도 정되 되는 대지에 건축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정남향이고, 좌우로는 20m정도 이격되어 숲이 있고, 뒤로는 절개된 상태의 대지입니다. 전면으로는 경사지 위다보니 완전 개방되어 전망과 일조가 굉장히 좋습니다. 처음에는 완전히 가로로 길게 배열한 일층 주택(… 더보기
미국식 시스템3중창의 사용에 대해서,,,
G 김미정 | 댓글 12
협회에 올라온 질문 답변을 통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꾸벅,,, 패시브하우스용 단열 창호는 열관류율 0.8w/m2k 이하로 알고 있고, 기밀성 1등급이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대부분 시스템 창호는 독일식 T & T 방식을 권하는 이유가 기밀성 면에서 슬라이드형이 나쁘기 … 더보기
건축비 절감을 위한 H빔 규격이 있는지요?
G 김미정 | 댓글 5
건축관련 책을 보면 건축비 절감을 위해 설계할때부터 사용할 자재의 규격을 어느정도 감안하라는 글을 보는데요,, 예를들어 목조주택은 2.4m가 기본이어서 천정을 2.6m로 하려면 기본 스터드 비용이 더 들어간다고 알고 있는데요,,, 2층집을 H빔 이용하여 지을 경우, 1층과 2층 공히 천… 더보기
두꺼운 아이소핑크를 벽체에 고정하는 방법은?
1 패스마 | 댓글 2
지난번 질문을 통해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감사드리고요. 내벽에 아이소핑크 100mm짜리를 기밀시공하려고 하는데 콘크리트 구조체에 완전히 밀착 시공하려면 뭐로 붙혀야 하나요?? 얇은 아이소핑크의 경우에는 G2본드 같은걸 쓴다고 하는데.. 두께가 두꺼워서 G2는 안될것 같구요. 밀착 시공도… 더보기
기존 단열재를 해체하지 않고 "폼"으로 단열 보강이 가능한지
G 김근수 | 댓글 9
안녕하세요? 건축한지 10년 정도 되는 주거용 건물을 하나 구입했습니다 가장 꼭대기 층이고 세입자가 살고 있어서 꼼꼼하게 확인하지 않았습니다 천장과 벽면을 살펴보니 결로나 곰팡이의 흔적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창호 부분에서 결로 현상이 일어나는 것은 보았습니다. 단열의 핵심은 "기밀시공"… 더보기
유기질 단열재와 목상을 같이 쓰면 안되는이유?
1 왕초 | 댓글 17
내단열과 외단열글을 읽다가 문득 유기질 단열재와 목상을 같이 쓰면 안된다고 되어 있는데 왜 그런가요 보통 상을 할때 목상을 많이 하는데요....제가 본 문구는 지붕 단열에 대해 읽다가 발견한 글입니다. 감사합니다.
철근콘크리트 스라브 지붕 외단열과 점토기와시공...
G 김만우 | 댓글 3
수고 많으십니다. 이곳에서 많은 정보를 얻고 있어 감사한 마음뿐입니다. 철근 콘크리트 지붕에서 내단열과 스패니쉬기와 마감을 생각하고 있다가 정석이 아닌줄 알지만 시공의 편리성때문에 주저하고 있다가 이곳에서 오대산 국립공원 계방산분소 시공자료를 보니 외단열을 한 자료를 보고 외단열에 강한… 더보기
오피스텔 내단열 시공 방법 추천
G 차민종 | 댓글 1
2002 ~ 2005년 건축한 오피스텔을 하나 구입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외단열 시공은 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외단열 시공에 사용한 자재 , 시공방법을 정확하게 모르지만 드라이비트로 생각됩니다 내단열 시공을 통해 단열을 좀 더 보강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제가 원하는 내단열 시공부분… 더보기
시스템창호 외부 유리 결로에 대하여
G 양평 | 댓글 10
안녕하세요 시스템창호를 공사하고 있는 사람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최근 양평 주택에 엔썸 캐머링 시스템창호(70mm)를 설치하여 건축주분이 입주를 했습니다. 그런데 유독 화장실 창문에서만 외부에(특히유리) 심한 결로가 생겨 외부 마감을 훼손(얼룩등) 시키고 있습니다. (줄줄흐를 정도로 매… 더보기
895번 답변좀 부탁드립니다.
1 패스마 | 댓글 2
895번 도면 올려놨는데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창호관련해서 질문 드립니다.
G 김동근 | 댓글 6
제 방의 창들이 북쪽에 창이 있어서 여름에는 덥고 겨울에는 춥습니다. 그래서 서쪽벽을 뚫어서 조그만 창을 하나 낼려고 합니다. 바람이 서쪽에서 많이 불어서 환기와 여름에 시원함, 그리고 햇볕이 들어와서 방이 좀 밝아지길 원해서 벽을 뚫을 생각입니다. 창호를 알아보고 있는데 벽을 크게 뚫… 더보기
열화상 카메라 영상 관련
1 정점 | 댓글 11
열화상 카메라 좀 저렴한 걸로 하나 구매했습니다. 이게 뭔 짓인지 모르겠지만 전자장비 손볼때도 유용할 것 같고 여기저기 쓸모가 있겠더군요. 받아서 집 곳곳에 열화상 찍어보니 예상했던데로 천정과 내력벽 만나는 곳등에 냉교가 보이더군요. 그런데 드라이비트 외단열인데 아래 영상처럼 외벽과 내… 더보기
패시브 하우스의 기밀과 열교의 정도
1 경로당회장님 | 댓글 6
안녕하세요. 도대체 패시브 하우스의 기밀성과 열교의 차단은 어느정도나 되어야 하는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저는 60년이나 되었고 내부 리모델링이 완성된 집을 구입하여 조금이라도 더 따뜻하고 조용하고 쾌적한 집에서 살고 싶어 멀쩡한 마감 뜯어내고 모든 틈새를 막고 단열을 보강하려 대부분 … 더보기
지붕 단열재에 문의 드립니다.
G 벳남응어이 | 댓글 4
안녕하세요! 지붕 단열재로 사용해야 하는데..두 종류중 어느 것이 더 효율적인지 알고 싶어 문의 드립니다. 1. 유리솜 밀도24kg 짜리 50티 2. 아티론 보온재 8티 이 두가지를 비교 했을때 어느쪽인 더 단열재로 효율적일 까요... 답변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톱밥단열재와 창문타입 열교환기 문의
1 전동준 | 댓글 1
오늘 우연히 패시브하우스에 대한EBS 방송을 Youtube를 통해 봤습니다. http://youtu.be/ZCbCRFKWLwY http://youtu.be/J4l1lhTYPQg http://youtu.be/kYDmVvo3ldM 패시브건축협회 관계분도 기밀성 설명하시면서 잠깐 나오신 듯 … 더보기
내부단열재와 환기구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패스마 | 댓글 12
수고하십니다. 지방에 2층짜리 상가주택을 짓고 있는 중입니다. 혼자 지을려니 아는것이 너무 부족하여 좌충우돌중입니다. 먼저 건물에 대해 설명드리자면 RC조(철근콘크리트조)이구요. 1층은 상가, 2층은 주택입니다. 외벽단열은 컨크리트에 40T 열반사단열재 시공후 화강석 마감했고, 2층 슬… 더보기
천창결로
1 무여열반 | 댓글 16
안녕하십니까 2014년 여름에 전원주택을 완공해서 모친 혼자 살고있읍니다 지상 2층에 다락방이 있읍니다 뒷면는 외부단열후 미장스톤을 하였고 전면은 스치로폼위 화산석 마감을 했읍니다. 저가 오늘 묻고자 하는 것은 다락방 천창에 결로가 심하게 생겨서 입니다. 시공도를 사진으로 첨부 했읍니다… 더보기
창호 결로 관련 질문
G 학생 | 댓글 5
안녕하세요^^ 궁금한 사항이 있어 이렇게 어쭤봅니다. 창호에 결로가 생기는데.. 유리표면의 위쪽보다 아래쪽에 결로가 더 잘 생깁니다.. 공기 온도는 큰 차이가 안나는 것 같은데.. 유독 아래쪽에만 결로가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애정남'도 아니고 '같기도'도 아니고....
2 ifree | 댓글 10
조국의 건축 환경이 어느선까지 추락했는지..게시판 글들을 보면서 다시금 실감합니다.설계비 주고 맡긴 건축가는 뭐하고 자빠졌는지 알 길이 없고 답답한 건축주가 여 와서 장님 코끼리 만지듯이 한두가지 어렵게 주워들은 파편 쪼가리 정보를 가지고 또 돈주고 고용한 건축가한테 찾아가서 어디 물어… 더보기
목조주택에서 외단열에 대한 질문입니다..
1 나이스트리 | 댓글 5
안녕하세요? 관리자님의 좋을 글 접하면서 늘감사한 마음입니다.. 저는 향후 목조주택을 고려 중입니다... 제가 공부하기론..OSB 합판을 벽체로 사용한 목조주택의 단열은일반적으로 내단열이면서 글라스울을 대부분 사용하더군요.. 그런데 그것만 사용해서는 패시브 주택이 힘들 것 같은데요.. … 더보기
처마를 단열하기 힘들다면...
1 월령 | 댓글 2
딜레마에 빠져 있습니다. 가로 16m, 세로 7m의박스형 단층RC(EIFS마감)건물을계획 중입니다. 건물남동서 3면에 2M 가까이 처마가 돌출되는 형태입니다. 처마를 단열재로 감싸기는 불가능한 상황이고, 가능하다면 ISOKORB를 사용하고 싶은데.... 알아보니 지금 국내에서는 구하기도… 더보기
유리섬유의 인체 흡입 가능성
16 이성원 | 댓글 6
KBS에서 전자 담배에 대한 위험성을 다루는 중간에 기기에 유리섬유와 중금속으로 이뤄진 부분이 있어 이로 인한 인체 피해를 우려하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제가 그 동안 유리 섬유를 단열재로 사용하면서도 항상 걱정되긴 했으나 유리섬유 입자의 크기가 호흡기 안으로는 흡입되지 않을 정도니 걱정… 더보기
태양광 거치대 기초 관련
1 조정환 | 댓글 4
관리자님 안녕하세요. 적절한 기초의 크기에 대해 말씀 좀 부탁드립니다. 난방이나 온수에 보조수단으로 태양광 전기 생산시설을 설치하려고 합니다. 위치가 한정적이고 해서 일반적인 모델을 설치할수는 없고 그림과 같이 기둥을 높게 해야하는 상황입니다. 바닥이 3m * 11m 이고 기둥(100m… 더보기
경량목구조 지하 RC층 단열 질문
1 신준철 | 댓글 17
안녕하세요 양평의 경량목구조 주택입니다. 지어진지는 10년 정도 된 건물 입니다. 현재 경사지에 지하1층(RC) 지상 2층(경량목구조) 건물 입니다. 지하는 지하지만 앞면은 지상에 모두 노출 되어 있고거의 개구부이며뒤쪽 (90%)과 옆쪽의 절반정도만 지하로 뭍혀 있습니다. 문제는지하를 … 더보기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