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계/시공관련 질문 1 페이지 > (사)한국패시브건축협회 (Passive House Institute Korea)

설계/시공관련 질문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새글 배수관련문의
G 시그림나무 | 댓글 2
안녕하세요. 배수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배수가 안되는 땅에 대한 세심하게 계획하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시는 권희범 빌더님의 과거의 질문도 있었는데요.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8369#c_8400)… 더보기
새글 역전지붕 시공관련 질문 입니다
1 독고다이 | 댓글 2
안녕하세요... 한국패시브협회에서 많은 정보를 얻고있는 건축주입니다. 역전지붕관련 질문입니다. 피코네 유튜브동영상에서 역전지붕 시공관련 비용절감을 위해 투습방수지,배수판은 생략해도 된다고해서 시트방수,단열재 2중시공 ,토목용부직포,쇄석으로 마감하려 합니다.. 첫번째:그중 단열재부착시 접… 더보기
새글 건식난방
G 안티 | 댓글 1
도면 첨부 합니다 도대체 이 건식난방이 이해가 가지 않는데 이도면 대로 시공했을때 아무 이상이 없는건가요? 바닥에 평활도 요구는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정도의 평활도를 맞추는게 가능한건지 지금 제가 이도면을 보고 예상하는건 바닥의 평활도가 설령 오차 범위여도 마지막 마감에는 과연 가능한건지… 더보기
새글 하수도 통기관에 중력댐퍼 사용
G 소드락 | 댓글 2
안녕하세요? 하수도 통기관이 건물 외벽으로 나 있어, 오가며 가끔 불쾌한 냄새가 나곤 합니다. 그래서 통기관에 중력댐퍼를 달아서 공기가 밖에서 안으로 들어갈 수 만 있게 하려고 하는데, 이렇게 조치하여도 될까요? 감사합니다.
새글 RC조 외단열 후 파벽돌(타일) 마감 예정 시 외단열 시공업체 추천 요청
1 비움 | 댓글 4
원래는 와아드벽돌 조적을 계획했으나 벽돌 조적이 단열에 도움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기능이 없다는 의견이 있어 타일 마감으로 선회하려고 합니다. EPS 구매처로부터 타일 마감 시 단열재 평활도가 중요하여 타일 시공업체에서 진행해야 한다는 얘기를 들었는데요, 궁금한 사항이 있어 문의 드립… 더보기
새글 방통 구조 및 시공 두께 문의
1 비움 | 댓글 7
철콘 구조 기초 800T 되어 있고 이후 수도배관-기포콘크리트-(PE필름)EPS단열재(PE필름)-난방배관-방통수평몰탈 까지 최대 130T 정도로 구현돼야 합니다. 기포콘크리트는 통상 40~50T 올리는 것으로 알고 있어 단열재와 방통몰탈 두께는 최대 90T로 진행해야 할 듯 합니다. 1… 더보기
새글 고층 오피스텔 - 커튼월 타입 세대 바닥 떨림 문제
G 안전주택찾기 | 댓글 4
안녕하세요. 유튜브나 구글에서 많은 정보 검색해보았지만 커튼월 타입 고층 건물의 바닥 떨림 사례는 검색되는 내용이 많이 없어 질문드립니다. ㄴㄱ 구조가 맞붙어 있는 고층 오피스텔 건물이며, 각 모서리 부분의 끝집만 커튼월 타입으로 시공되었습니다. 지하 1-6층은 지하 주차장, 지상 1-… 더보기
새글 역전지붕
1 양평누리 | 댓글 1
일요일 유투브를 보고 질문드립니다. 이미 지붕 내단열이 되어있는 집의 경우 어쩔수 없을땐 우레탄 방수 후 배수판도 생략하고 부직포와 쇄석으로만 마감하는 방법도 선택이 가능하다는 내용을 봤습니다. 그래서 질문드립니다. 배수판과 부직포를 생략하는 대신 배수를 조금 더 낫게 진행시키기위해 약… 더보기
새글 욕실 도막방수 및 구배몰탈 순서에 대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1 감자돌쓰 | 댓글 8
안녕하세요 건식벽체에 습식화장실이 되는 공간입니다 현재 바닥에 기포가 들어가있는 상태에서 엑셀파이프가 둘러져 있습니다.(노출 된 상태) 액방없이 도막방수 3회로 마치려 하는데 추후 타일 마감을 생각했을때 공정 순서에대해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새글 역전지붕 이중배수 문의
G 소드락 | 댓글 3
안녕하세요? 철콘 평지붕에 역전지붕 시공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평지붕슬라브 - 시트방수 - XPS - 투습방수지 - 조경배수판 - 부직포 - 쇄석 ↓ ↓ 이중배수 아래배관 홈통 투습방수지에 구멍이 났는지, 비가 오면 시트방수 위에 물이 고여 이중배수 아래 배관으로 물이 졸졸 흘러나오고 … 더보기
새글 지하 흙막이 벽면에 단열재 설치 관련 질문입니다.
1 이인선 | 댓글 1
현재 시공중인 현장에 지하 흙막이 벽면에 단열재 설치가 계획되어있습니다. 흙막이는 CIP+숏크리트 로 구성, 단열재는 PF 60T 입니다. 숏크리트를 시공해도 평활도는 완벽하지 않아 보드 형태의 단열재 시공이 불가한 상황에서 열반사단열재 (프라임쉘 60T)로 시공하려 합니다. 설계사 측… 더보기
판넬 외벽 시멘트 사이딩 하지 작업 필수인가요?
G 오비드 | 댓글 1
판넬에 시멘트 사이딩 마감하려고 합니다. 판넬 코일은 0.5t입니다. 시멘트 사이딩 시공 시 방무목으로 하지 작업 후 시공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어떤 분들은 판넬에 바로 시공하기도 하고요. 어떤 것이 더 좋은 방법인가요? 판넬에 바로 시공해도 문제가 없나요? 감사합니다.
시스템 창호 협력사 관련 문의
1 비움 | 댓글 3
자재정보 내 협력사 리스트 중 시스템 창호에 명시된 창호 브랜드들은 협회 기준에 맞게 시공까지 진행하는 곳들인지요. 명시된 창호 브랜드 사이트에 저희 지역 내 대리점도 발견했는데요, 이 대리점도 인증된 곳인지 궁금합니다. 또한 SNS 창호시공사례를 보고 견적문의한 업체 담당자 명함의 소… 더보기
40년 된 구축 아파트 리모델링 하려는데...
1 배추도사 | 댓글 3
40년 된 구축 아파트 리모델링 하려는데 거실겸 방에 있는 창호가 턱이 있어 넘어다니기가 힘들어요.. 관리사무소도 없고 도면도 없는데 하단만 철거를 해도 될지 궁금하네요,,, 이런경우 어디에서 내력인지 비내력인지 확인 할 수 있을까요??
전열교환기 구축아파트 설치
G 김이박 | 댓글 4
안녕하세요. 38평 구축아파트를 작년에 리모델링했었는데 천장속 공간이 작고(대략 5cm쯤) 천장고도 230 일반 구축수준에 단내림 하는게 마음에 안들어서 시스템에어컨 전열교환기 다 포기하고 그냥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환기장치에는 여전히 미련이 남아서 이 상태에서 대공사 없이 어떻게 안… 더보기
옥상 슬라브 방수시트지 시공 후 우레탄 방수
16 허수할범 | 댓글 2
오래된 옥상의 방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 면 갈이를 한 후 방수시트지를 시공하고 탈기반 설치 위치에 시트지를 5~7cm의 원형으로 잘라내고 그 위에 탈기반을 장착. 그 다음에 우레탄 방수액으로 시공을 마감하는 영상이 있습니다. 아마 내단열 건축물로 추측됩니다.(꽤 오래된 건축물로 보여서… 더보기
기둥보식 구조 슬라브 내력벽 커팅 및 하중 궁금합니다
G 궁금 | 댓글 1
20년 된 3층 건물을 매수하려합니다 1,2층 rc기둥보에 습식벽 3층 경량철골 증축 (원래 주택지을계획으로 옥상난간 기둥에 2층 슬라브에서 철근도 뽑아올려놨다함) 대략 8x14m 정도의 중간기둥은 없는 구조입니다. ㅁ ㅁ ㅁ ㅁ 입구 ㅁ 계단 계단 알아보시려나 모르겠는데 대략 이런느낌… 더보기
옥상 조경 식재 관련
G 아에이오우 | 댓글 1
옥상 조경으로 방수에 영향이 염려되어 화단대신 인조잔디위에 이동형 플랜트 박스로 식재를 하려고 합니다. 향후 누수시 노출우레탄 방수를 용이하게 하기위함입니다. (현재설계 : 비노출 + 무근콘크리트) 문의사항입니다. 1, 인조잔디의경우 조경면적으로 인정여부 2. 플랜트 박스 식재수목의 수… 더보기
철골구조 샌드위치판넬 부분철거 공사
G 오모 | 댓글 1
2004년에 사용승인을 못받았어요 보일러실이 설계랑 안맞아서요 시골이라 어른들이 그냥 사시다가문제가 생겼어요 아직 건축허가가 살아있어서 준공받아볼까하는데 2004년 당시법 기준으로하면된다더라고요 현황측량은 다시하고... 부분철거시 어떤 공사가 필요하고 비용은대략 어느정도 예상해야할까요?… 더보기
내열시 적절한 우레탄폼 양과 공기단열층 두께 여쭤봅니다.
G 구축 | 댓글 5
안녕하세요. 평소에 협회 계시판 글 많이 읽고, 관심도 많이 있어서, 구축 아파트 인테리어 하면서 단열과 전열교환기도 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번에 단열 관하여, 인테리어 업체와 아는 목수 지인 말이 달라서 협회에 고견을 여쭤 봅니다. 우선 아이소핑크를 부착할 때 사진처럼 옆으로 우레탄폼… 더보기
한옥 단열
G 별토끼 | 댓글 18
한옥 시공중에 있습니다. 벽체와 지붕 모두 내부에 인텔로 가변형 방습지와 셀룰로우즈 단열재를 적용해두었는데요, + 지붕 개판 - 가변형방습지 - 셀룰로우즈단열재 - 투습방수지 - 통기층 - 합판 - 시트방수지 - 기와 로 구성했는데, 목수님이 경사도와 안전문제로 투습방수지 설치가 어렵다… 더보기
기초타설후 포크레인이 올라가도 되나요?
G 건뿜 | 댓글 1
혹시기초타설후 일정시간이 지나고 포크레인이 올라가도 될까요? 기초를 완성하고 되매우기를 할경우 어쩔수없이 뒷쪽은 협소해서 올라갈수밖에 없더라고요 올라가도 된다면 얼마나지나고 올라가야될까요? 품질기준이 있을까요
몰탈 타설 후 앙카설치를 위해 어느정도 후에 타공해도 될까요?
G 스티어스 | 댓글 1
평소에 도움주셔서 시골집을 잘 고치고 있습니다. 이제 마무리로 담장을 치려 기초를 타설하였는데요. 한일 시멘트 GP400으로 타설하였습니다. 이제 만으로 2일 되었는데요. 너무 오래있으면 타공이 어렵다 하여 오늘(3일차) 타공할까 합니다. 첨부와 같은 시기별 강도를 가지고 있는데요. 오… 더보기
보강토에 크랙이 있는데 재시공이 필요한건가요?
1 통닭사랑 | 댓글 5
현장 사진과 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데 혹시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고 문제가 된다면 삭제바랍니다. 사진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보강토 석축 하단부에 크랙이 발생한 부분이 몇군데 있습니다. 어느 시골 분양된 주택단지인데 집이 지어진 위치는 아니구요, 단지가 대부분 비어 있더군요. 주변을 지나… 더보기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