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의 다용도실에는 콘크리트벽과 건식벽(조적 또는 경량스틸, ALC 등)이 혼재되어 있다.
이 처럼 습식구조체와 건식벽이 만나는 구간에는 거의 필연적으로 균열이 생길 수 밖에 없는데, 이는 건물이 바람 등에 의해 조금씩 유동을 하면서 이질재료 간의 벌어짐이 생기기도 하고, 신축의 경우 건조수축량이 달라서 생기기도 한다.
이런 균열의 특징은 수직 또는 수평으로 거의 직선 형태로 생기게 되며, 사례는 아래와 같다.
이 균열은 구조적 안전성과는 거의 무관하며, 적절히 보수만 되면 문제가 없는데, 구조적 결함은 아니기에 이 보수의 방법 역시도, 벌어짐의 정도에 따라서 몰탈 또는 실리콘 채움 등의 시각적 조치만 취하면 무리가 없다.
실제 질문과 답변 사례는 아래와 같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5338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5756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6782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25899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27672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30764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35671
실제 구조적 균열은 대부분 아래와 같은 양상을 보인다. 이런 경우는 균열의 폭에 따라서 구조적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전문적 보수가 필요하다.
다만 이 벽이 조적벽이거나, 건식벽이라면 구조적 안전성과는 무관하여 그저 시각적 보수만 해주면 무방하다.
이 판단을 균열의 모양만 보고 결론을 내리지 말고, 관리사무소에 보관 중인 도면에서 해당 벽이 조적벽인지 콘크리트벽인지를 봐야 한다.
아래와 같은 사례도 있기 때문이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26989
실제 질문과 답변 사례는 아래와 같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10690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28737
또한 같은 구조적 균열이지만, 아직 초기 단계라서 약간의 누수만 확인되는 경우도 있다.
이럴 때는 균열이 더 진행될 수도 있기에 우선은 외벽 쪽에서의 V커팅 후 보수만 되면 무리가 없고, 하자보수기간 안에 전체적인 균열의 폭을 보고 보수의 방법을 선택해야 할 수도 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28596
구조적 균열이라 할지라도 균열의 폭이 0.3mm 를 넘지 않는다면 하자로 보지 않기에, 그 균열의 폭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런 경우는 장기적 관점에서 균열의 폭이 커지는지에 대한 관찰이 필요하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31969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36183
세대 간벽은 내력벽인데, 이 벽에 균열이 있는 경우는 옆집의 소음이 넘어 올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벽을 사이에 두고 양옆의 세대에서 모두 보수가 되어야 하는데, 세대간벽은 방화벽이기도 해서, 아래 처럼 주입식 공법으로 보수가 되는 것이 좋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36996
또한 수직균열이지만, 도면으로 볼 때 콘크리트 구조물이면서 벽의 앞뒤를 관통한 균열이라면 구조적 균열이라고 볼 수 있고, 이 역시 에폭시 주입 등 전문적 보수가 필요하다.
실제 질문과 답변 사례는 아래와 같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20621
----------
균열의 보수
맨 위에 있는, 구조벽과 비구조벽이 만나는 지점의 수평/수직 균열은 실리콘 코킹으로 처리할 수 있다.
비내력벽 (조적벽/건식벽)은 균열의 폭이 0.3mm 보다 작다면 그냥 두어도 무방하고, 그보다 크면 실리콘 코킹으로 할 수 있으나 주변이 하얀색 페인트와 이질감이 나는 것이 싫다면, 얕은 V커팅 후 외부용 퍼티로 보수를 하고 재도장을 하면 된다.
내력벽의 균열 중 0.3mm 이하는 하자로 보지 않기에, 그냥 두어도 무방하나 폭이 더 넓어 진다거나 하는 진행 여부는 규칙적으로 지켜 보아야 한다.
그 보다 커진 균열 중에 1mm 이하의 폭은 V커팅 후 외부용퍼티나 보수몰탈로 메워주고, 그 보다 더 넓다면 에폭시 주입식 공법 등으로 구조적 보강을 해주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