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저런 이야기

설계/시공/하자 등의 모든 질문 글은 해당 게시판에 해주세요.

여기에 적으시면 답변 드리지 않습니다.

 

이런걸 해도 될까요?

6 gklee 12 5,651 2017.08.31 22:27

첫번째 사진은 건폐율만큼의 집을 짓고 집이 감싸는 앞마당을 데크를 깐 뒤 담벼락 높이제한보다 높은, 집과 같은 높이의 담을 연결시켜 중정처럼 사용하는것. 이때 저 면적은 건축면적으로 보는것인지? 그 면적을 확대시키면 부지 경계선 안쪽에 일정거리를 띄운뒤 집과 같은 높이의 담장을 쭉 둘러싸는것까지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전에 질문드렸던 사진에서 담장과 집을 유리로 이어막는것은 담장이 의무적으로 띄워야하는거리까지 후퇴하면 가능하다고 하셨거든요. 아예 그 거리에다 담을 쌓는다면 담장 높이제한 이상으로 쌓을 수 있는걸까요?

 

두번째 사진은 담장안쪽으로 흙을 담장높이만큼 쌓고 집쪽으로 오면서 낮아지게끔 인공적으로 지대를 높이는 행위입니다. 이런게 용납될까요(비용과 현실성은 제쳐두고말이죠)

Comments

M 관리자 2017.08.31 23:29
1. 애매합니다. 허가권자의 판단에 따라 될 수도 안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러나 만약 담장의 높이 제한이 있는 곳이라면 안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 법적으로 지반의 높이를 (조례마다) 0.5~1미터 이상 변경을 하면 형질변경을 받아야 하며, 이 역시 허가권자 재량에 달려 있는 것 같습니다.
6 gklee 2017.08.31 23:31
아 이해했습니다 감사합니다
6 gklee 2017.09.01 01:11
그런데 애매하다고 하신부분은 후퇴한 담이 부지 전체를 두르는것에 대해서고 집의 일부로서라면 가능하겠죠? 말하자면 중정같은게 되는데 지난번에 천정없는 중정은 면적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하셔서요.
1 패시브아파트 2017.09.01 10:44
담 높이도 그렇고 담 재질도 그렇고 (요즘은 투시형이나 생울타리만 허용하는 곳도 많아서요) 애매하겠네요. 한 가지 방법은 저게 담이 짧으니까요. 저걸 담으로 하지 않고 문으로 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사실 저도 저런 형태를 고민했었거든요. 양쪽으로 활짝 열린다던가, 폴딩형태로 활짝 열린다던가 하는 문 형태로 만들면 허가가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거든요. 그렇게 해 두고 답답할 땐 활짝 열고 닫고 싶을 땐 닫고 하는 게 사용하기에도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이왕 문으로 제작할 거면 스카이어닝으로 천장까지 닫을 수 있게하고 문은 시선은 가리되 바람은 통하도록 루버형태로 하면 금상첨화일 것 같구요. 돈은 디게 많이 들겠네요. 스카이어닝만 천만원은 들더라구요.
1 패시브아파트 2017.09.01 10:53
저도 60-70평 쯤 되는 택지지구 단독주택에 대해서 고민할 때 늘 생각하는 방식이긴 합니다. 중정형태요. 실제로 판교 같은 데 가면 그렇게 많이 지어놨죠. 개인적으로는 중정형태는 입법취지상 중정까지 다 건폐율에 넣어야 된다고 생각을 합니다. 중정형태 집이란 게 그다지 바람직하지 않은데 그걸 권하는 법규가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미국이나 일본에 가면 낮에도 보통 하얀 커튼 치고 살아요. 특히 일본은 거의 공식이죠. 하얀 커튼. 한국 사람들은 아파트 생활에 익숙하다보니 어떻게든 건축으로 시선을 가리고 싶어하는 것 같습니다. 저도 그래서 중정형태를 생각을 하는데 이게 열효율도 그렇고, 건축비도 그렇고, 공간효율성도 그렇고, 유지관리도 그렇고 별로 좋지는 않더라구요. 너무 밖과 소통하는 맛도 없고.

그래서 개인적으로 주택을 지을 거면 주택이 많은 미국이나 일본처럼 어느 정도는 포기하는 것이 합리적이지 않나 생각을 합니다. 사실 무지하게 흐려서 어두운 날 제외하면 낮에는 밖에서 안이 잘 안 보이구요. 밤에는 커튼 쳐 놓으면 별 문제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패시브하우스는 시스템창이니까 커튼보다는 블라인드가 낫겠죠.
6 gklee 2017.09.01 11:01
맞아요 어떻게 가리지 하는생각뿐입니다. 중정도 너무 좋아보이구요
1 TonyG 2017.09.01 18:22
두번 째 집은 담을 따라 2.5 미터 높이로 성토하면서 지열 교환용 pvc 파이프를 30 미터 길이로 깔았는데, 지표면에 깐거나 마찬가지일텐데 효과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M 관리자 2017.09.04 00:40
TonyG 님..
혹시 말씀하신 것에 대한 정보를 어디서 볼 수 있는지 링크를 걸어 주실 수 있으신가요?

그냥 열교환 30m 라면 큰 의미는 없어 보입니다만...
1 TonyG 2017.09.04 07:18
집모양이 재미가 있어 찾아 봤더니 지열 파이프 설치한 것이 이채롭더라구요. 전열교환기와 연결한 것은 아니고 단순히 파이프를 통해 공기를 실내로 흘려 보내는 구조인 것 같습니다.

일본 Bandesign의 Secret garden 주택 링크 입니다.

https://www.designboom.com/architecture/hisanori-ban-bandesign-secret-garden-komaki-japan-11-22-2014/

지열 파이프 구조 입니다.

https://www.designboom.com/architecture/hisanori-ban-bandesign-secret-garden-komaki-japan-11-22-2014/gallery/image/hisanori-ban-bandesign-secret-garden-komaki-japan-designboom-15/
M 관리자 2017.09.04 08:58
링크감사합니다.

열교환방식이 아닌, 공기 직접 유입방식이네요..
이 경우는 효율이 괜찮습니다. 다만, 일본도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여름 습도가 높기 때문에.. 2014년에 준공이 되었으므로.. 아마도 지금은 사용하지 않고 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근데, 사진 한 장으로 링크를 어찌 찾으셨어요? 신기 방기...
1 TonyG 2017.09.04 10:30
여러 방식들이 있는 거군요.

저도 관리자님 궁금증을 해소시켜 드릴 기회가 왔네요.
이미지 검색은 구글 검색 메인 화면에서, 우측 상단 "이미지" 라는 메뉴를 누르고, 입력 필드란에 나오는 사진기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이미지를 업로드 가능하며 검색이 됩니다.
M 관리자 2017.09.04 1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