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와이드 치장 벽돌로 시공되 집의 누수 문제로 여러 질문을 드리고 있습니다.
반복적일 수도 있으나 저도 도움을 받고 나중에 유사한 어려움이 있으신 분들을 위해 나름 필요한 부분을 한꺼번에 묶어서 글을 올립니다.
현재 집의 상태 사진입니다.
비가 온 직후인데 벽돌의 함수율이 높아서인지 물을 많이 먹고 있습니다. 일부는 곰팡이인지, 이끼인지 모르겠으나 검게 변하거나 부분부분 백화 현상이 보이고 있습니다.(4층 건물이라 테라스 부분만 일부 직접 테스트 작업해보고 나머지 건물은 외부 업체에 맞길 예정입니다만, 제가 작업을 알고 있어야 할것 같아서 너무 디테일한 부분이지만 질문을 남깁니다. 가능하신 범위에서 답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 1. 외벽 청소 등 관련
-> 곰팡이나 이끼 등의 제거를 위해서는 전용세제 종류 등을 판매하던데 이런것을 구매하여 사용하면 되는지요?..혹은 일반 곰팡이 제거제나 락스 등을 사용하면 되는지요?..
-> 백화제거제도 일반적으로 판매를 하시는것을 구매하면 될것 같은데 혹시 유의해야 할 제품 등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마지막으로 질문이 적절치 못한것 같습니다만 혹시 외벽 세척 시 고압 세척기가 어느정도 압력을 가진 것을 사용해야하는지도 아시면..^^;
2. 벽돌 크랙 보수
현재는 아래 사진처럼 벽돌 크랙부분을 전주인분이 실리콘으로 급하게 조치를 한것 같습니다. 벽돌의 크랙은 정식으로는 철거하고 부분 재시공해야하나 전문업체 등의 비용이 상당하던군요..
-> 그렇더라도 보강앵커나 철물 등을 사용해서 반드시 보수해야 하는지요?
-> 교체 공사를 하지 않아도 더 진행되지 않으면 크랙보수만 해도 된다면 그 방법은 무엇일까요?
1. 지금처럼 실리콘(외부용, UV특성이 좋은 실란트)를 기밀하게 도포하고 주기적으로 관리한다.
2. 실리콘 제거 후 폴리머 몰탈 등으로 기말하게 보수한다.
3. 다른 방법으로 보수한다.
4. 통기층 관련
->부분부분 통기구멍을 만들어 뒀는데(기준 : 사방 1m로 일정한 간격으로 두어야 하는것으로 아는데 저희집은 불규칙하게 몇개 없습니다.) 이 부분이 일부 계산식 벽돌 쌓는 부분에 존재해서 빗물 등에 취약한 구조라서 이부분을 메꾸고 필요하다면 수직면의 벽돌을 약간 절개해서 통기층을 만들어 두는것은 어떤가하는데요..
5. 방수제 VS 발수제 도포
기존의 글들을 검색해보면 벽돌의 함수율(흡수율이 최대 5% 미만, 권장 4% 미만)이 낮으면 발수제 도포를 안하는 편이 좋다고 정리가 되는데 기존 주택의 경우 함수율을 알수 없고 현재 처럼 외벽이 오염되거나 비온뒤 물을 먹는다면 발수제 도포를 하는쪽이 좋을 것 같다는 판단입니다.
-> 시중에는 방수제와 발수제 두가지 종류가 판매 되는것 같고 발수제는 침수성으로 방수제는 외부코팅 형태로 도포되는것 같습니다. 외국산은 모두 투습형으로 기재되어 있습니다. 이 둘의 차이가 무엇이고 어떤것 선택해야 할까요? 제품마다 수명 등의 차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발수제는 5~7년 방수코팅제는 10년 등, 특정 제품의 사양 등을 가지고 질문 드리는게 좋으나 올려되 되는지 몰라서..)
-> 시중에 국내, 국외 제품이 다양하고 가격도 다양한데 제품을 고르는 기준이나 주요하게 살펴볼 기술적 사양 등은 무엇이 있을까요?>.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47607
이끼류의 제거제는 일종의 살충제입니다. 그러므로 가급적 사용하지 마시고 고압세척만 하시면 되는데...
이 때 사용하는 고압세척기는 노출형태만 바꿔서 수도 배관에 연결하는 것은 안되고, 펌프가 개입되어 더 큰 압력을 만드는 전문적 고압세척기여야 합니다.
즉 최소 130bar 이상은 되는 제품이어야 합니다.
https://www.coupang.com/vp/products/7368390562?itemId=19001135371&vendorItemId=86126118595&q=%EA%B3%A0%EC%95%95%EC%84%B8%EC%B2%99%EA%B8%B0&searchId=6905281b892963&sourceType=search&itemsCount=36&searchRank=25&rank=25
백화제거제는 제품별 특이점이 없습니다. 어떤 것을 사용해도 괜찮습니다.
2. 벽돌 크랙 보수
현재는 아래 사진처럼 벽돌 크랙부분을 전주인분이 실리콘으로 급하게 조치를 한것 같습니다. 벽돌의 크랙은 정식으로는 철거하고 부분 재시공해야하나 전문업체 등의 비용이 상당하던군요..
바탕이 건전하지 않으면, 새로운 벽돌로 교체를 해도 마찬가지 균열이 생기게 되기에 철물 보강이 필요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새로운 벽돌로 교체가 되지 않는다면 철물은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처럼 실리콘을 한번 바르면 다른 방법이 끼어들 수 없게 됩니다. 실리콘이 붙은 표면은 그 어떤 것도 붙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한번 실리콘을 사용하면 계속 같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4. 통기층 관련
통기층을 없앤다고 해서 벽돌 뒤로 넘어가는 물이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통기층으로 인한 내부 수분 증발이 막히고, 표면 온도가 그대로 외벽으로 전달되는 하자만 있게 됩니다.
그러므로 누수가 없다면 그냥 두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수가 걱정된다면, 수직면의 통기구를 늘리고 경사면은 없애는 것까지는 괜찮아 보입니다.
5. 발수제 방수제
이 부분은 앞선 글에 댓글로 드렸습니다.
1. 크랙 보수관련 해서 아마도 안될것 같지만 혹시나 하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리콘 제거제 약품 등을 사용해도 마찬가지인지요?..
아니면 꼭 그렇게 할 필요는 없는것인지요?.(실리콘 리무버 https://url.kr/fdl5lf)
혹시 추후 다른부분에 크랙부분이 발생하면 보수는 몰리머몰탈 등으로 메꾸는 것이 1차적인 방법인지요?
2. 통기층 관련해서는 충분히 이해했으며 잘한것인지 모르겠으나 철거작업 중 벽돌 안쪽의 상태를 몰라 점검구를 절개해서 놓았던 부분이 있어 이 정도면 충분한 통기층 역할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데 이 상태로 물 등이 튀어 들어가지 않게하게 환기 덮게 등으로 처리해도 무방한지요?..
https://smartstore.naver.com/spiderpaintshop/products/8779911777?nl-ts-pid=jc8%2FqsqVOZCssBBCeq8ssssss4s-355906&n_media=27758&n_query=%EC%8B%A4%EB%A6%AC%EC%BD%98%EC%A0%9C%EA%B1%B0%EC%A0%9C&n_rank=1&n_ad_group=grp-a001-02-000000041457450&n_ad=nad-a001-02-000000315458818&n_campaign_type=2&n_mall_id=ncp_1nkrn2_01&n_mall_pid=8779911777&n_ad_group_type=2&n_match=3&NaPm=ct%3Dmde822u7%7Cci%3DERb375e717%2D66ce%2D11f0%2Dadb5%2D1a09fe73e969%7Ctr%3Dpla%7Chk%3Df6805a41a06560a25a1eaa28397d371928ba8ac7%7Cnacn%3DDiLeDYhsm5fAC
통기구는 일정 간격으로 일정 면적에 고르 퍼져 있어야 효과가 있고, 지금처럼 큰 구멍 하나로 해결될 수는 없습니다. 이 큰 구멍은 메워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