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우 후 벤츄레이터 환풍기 누수 관련 문의드립니다

하자관련 질문/사례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폭우 후 벤츄레이터 환풍기 누수 관련 문의드립니다

G 환풍기 17 411 07.19 02:42
안녕하세요. 언제나 집 관리와 관련하여 궁금증이 생길 때마다 큰 도움은 얻고 있습니다.
다름 아니라, 이번에 새로 매수한 다가구주택의 누수 문제 때문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다가구주택은 3층이 탑층이고 그 위는 옥상입니다. 옥상은 우레탄 방수되어있으나 실금이 간 부분도 있어 곧 보수하려고 계획 중이에요.

1. 상황에 대한 서술

이번 큰 폭우가 내리던 날 
이사를 나간 2층 방을 관리하러 들어가보니 우물천장의 합판 귀퉁이 부분부터 천장 일부에 물이 차서 벽지가 부풀어있는 상황이었습니다. 
벽지를 뚫어 보니 물이 폭포수처럼 쏟아졌고 비가 그치자 더이상 내려오지 않았습니다.

1000060348.jpg

1000060350.jpg


다른 곳도 점검해보니 해당 우물천장에서 3-4걸음 떨어진 베란다의 창문 쪽에서도 물이 떨어지고 있었습니다. 창틀 윗부분에서 방울방울 맺혀서 상당히 흐르고 있었는데, 이 역시 비가 그치자 대부분 멈춘 상황입니다(비가 왔다 안 왔다 하는 현재는 물방울이 맺혀있는 상황)
 

1000060351.jpg


천장 부분의 벽지를 뜯어보니 곰팡이가 상당히 있었습니다.

나아가 누수가 발생하는 천장의 바로 위인 3층을 살펴보니 해당 위치는 화장실이었습니다만, 해당 화장실은 늘 사용되고 있는데 별다른 누수 문제는 없었습니다. 

협회에 검색해보니 일단 창문 윗쪽에서 나는 누수는 외벽에 크랙이 가고, 그 크랙을 통해서 빗물이 침투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외벽크랙인가 의심했고, 도대체 천장 누수는 왜 그런가 짐작도 되지않아
누수진단업자 분을 불러 상담하였습니다.

누수진단업자 분들은 누수 윗부분인 3층의 화장실 천장 뚜껑을 여시고 확인하신 후, 확답할 수는 없지만 3층의 화장실에서 옥상으로 연결된 배관에서 물이 흐른 흔적이 있고, 물기가 있는 것으로 보아 아마 옥상 벤츄레이터에서 유입된 다량의 빗물이 배관을 타고 3층 화장실을 거쳐 한 층 내려가 2층의 천장과 베란다 창가 위쪽에서 누수 결과로 나타난 게 아닐까 하셨습니다.

1000060353.jpg

 
(벤츄레이터를 지지하는 벽돌탑을 보니, 윗부분의 4면 중 1면이 터져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일단 비가 요 근래 계속 올 예정이기 때문에,
임시방편으로 벤츄레이터 환풍기를 들어서 그 밑에 큰 비닐을 덮어 비가 들어가지 않도록 하고
혹시 이렇게 해두어도 누수 현상이 있으면 다른 쪽에서의 유입이니 다시 불러달라고 하셨어요.
이렇게 해뒀는데 누수 없으면 그냥 이대로 살라고 하시더라구요.

1000060346.jpg


누수 위치를 짐작하게 된 것은 좋지만, 벤츄레이터를 비닐로 덮어놓은 채 살아도 되나? 하는 생각이 드는 상황입니다.

2. 벤츄레이터 누수 방지 / 보수 방법 문의

현재 누수업자 분들의 진단대로 벤츄레이터 쪽에서 누수가 난 것이라고 가정했을 때, 어떻게 보수를 하여야 누수를 막을 수 있을지 문의드립니다.

업자 분은 그냥 비닐 씌운 채로 살라고 하시는데, 그러면 환기는 어떻게 하나 걱정이 되구요.
벤츄레이터 환풍기를 돌려보았더니(동력 연결부가 없어 무동력 추정) 전혀 돌아가지 않는 것을 보아 망가진 것 같은데, 혹시 이 망가진 것 때문에 누수에 더 취약해진건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 혹시 벤츄레이터를 고치거나 갈고, 벤츄레이터를 얹은 탑 부분에 간 크랙을 도막방수제나 외부용 실리콘 등으로 튼튼하게 매우면 지금같은 누수가 잡힐지 여쭙고 싶습니다.

☆ 협회 다른 질문글을 찾아보았는데, 벤츄레이터 탑을 철거하고 배관을 노출하는 해결책을 택하신 분들도 있더라구요. 이런 방법은 혹 결로 문제에만 적용되는 문제일지요?

이런 쪽에서 누수가 될지를 예상조차 못 해서 일단 비닐만 덮어두고 뭘해야할지 모르겠습니다.
부디 벤츄레이터 환풍기 부분에서 누수 원인이 있을 때 어떻게 조치하면 좋을지 답하여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3. 다른 원인이 더 있는 것은 아닌지 불안한 마음

혹시 다른 누수 원인이 더 있는지 확인해보려고
2층 기존 입주자분에게 연락해보았더니, 3층에서 실내 베란다
(여기서 3층 실내베란다는 현재 누수가 생긴 2층 천장쪽/3층 화장실쪽과는 살짝 거리가 있습니다. 대각선으로 5미터 정도) 에 둔 세탁기 호스가 빠져서 물난리가 났을 때 지금과 비슷한 곳에 누수 흔적이 나타났고 평시에도 누수인 것 같은 증상이 있었다고 답변주셨습니다. 

1000060355.jpg

 

1000060324.jpg

3층 세탁기 때문에 생겼겠거니 하고 별도의 조치는 하지 않으셨다고 하네요.

☆ 제가 생각하기에는 완전히 다른 원인인데, 동일한 천장부위에 누수 현상이 나타난 것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혹시 벤츄레이터 이외에도 3층 실내베란다의 누수 의심점도 조사해보아야 할까요?

3층 베란다의 의심갈 부분은 베란다가 실내에 있는 상황인데 원래는 밖이어야 할 부분을 벽과 지붕을 증축해 둔것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번에 실내베란다 바닥을 청소하기 위해 10분여간 물을 틀어 청소하였는데 2층 천장과 창문 부분에서 새로이 누수가 나타나지는 않았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조언이 있으시면 무엇이든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omments

M 관리자 07.19 10:03
안녕하세요.

지금의 정보로는 상상의 범위가 너무 넓어서, 비가 그친 후에 덮어 놓으신 비닐을 제거하고.. 말씀하신 "윗부분의 4면 중 1면이 터져있는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사진 몇 장 부탁드립니다.

다만 3층 화장실 천장의 배관 구멍을 통해 나온 물이 2층 천장까지 영향을 미칠 수도 있지만, 2층에서 나온 물보다 3층에서 나온 물의 양이 현저히 많을 것이기에, 3층 화장실 천장에서 다량의 누수가 없었다면, 서로 연관은 없어 보입니다.
물론 비닐을 덮은 후에 2층의 누수가 사라졌다면 환기구가 원인이긴 하나, 3층을 거친 것이 아니라 환기구를 통해서 2층으로 직접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나머지 추정되는 것은 없습니다. 다만 무언가 좀 더 명확해 지려면, 천장의 마감 일부를 제거해서, 천장 슬라브의 어느 경로로 물이 떨어 졌는지를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6&wr_id=694
G 환풍 07.19 23:47
안녕하새요.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아직 이쪽은 비가 오락가락할 예정인지라 한동안 비닐을 벗길 수가 없어서
현 상태에서 비닐 안으로 휴대폰을 넣어 사진을 찍어보았습니다.

환풍기가 얹혀있는 좌대와 벽돌탑이 옥상 벽에 부합하여 있는데
바로 그 벽과 환풍기 벽돌탑이 만나는 부분이 터져있어요.
누수진단업자 분은 일단 비그치면 여기를 막으라고 하셨습니다.

비가 그친 동안 2층의 누수 상황을 점검해보니 더 이상 물이 떨어지지는 않고 있습니다만, 저번의 폭우에 비해 가벼운 강우 상황이라 그냥 천정이 물기를 머금고 있는 건 아닌가 생각도 드는데
가능해지는 대로 선생님께서 조언해주신대로 천장 마감 일부를 제거하는 등의 방법으로 내부를 찍어보도록 하겠습니다.
G 환풍 07.19 23:56
위 댓글 첨부 사진 초록색 부분이 옥상 벽이고 갈색이 환풍기가 얹힌 벽돌탑입니다.
옥상 벽은 상당히 두껍고(50ㅡ60센티 정도) 옥상 바닥과 일체하여 우레탄방수 되어있는 상황입니다.

위에서 내려다보면 대충 아래 그림과 같이 되어있습니다
초록 부분에 금이 가있습니다.
M 관리자 07.20 09:47
이 부분은 보수가 되어야 하는 것이 맞습니다.
다만 언급 드린 바와 같이 이 물이 윗집 화장실 천장을 거쳐서 아래 층으로 갈 확률은 매우 적습니다.

그러므로 이 비닐 혹은 비가 그친 후 보수 공사를 통해서 누수가 멈추었다면, 원인은 이 곳이나 경로는 다른 곳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G 환풍 07.24 00:45
안녕하세요. 격조하였습니다.

이번에 벽지를 뜯어내고 석고보드에 구멍을 내보려다보니 물기를 머금은 석고보드가 대차게 부스러지는 덕에(?) 내부 사진을 조금 찍을 수 있었습니다.
댓글에는 사진을 한장씩 밖에 올릴 수 없어 댓글을 여러개 작성할텐데, 사진을 보시면 석고보드와 그 위를 지나는 배관 사이가 매우 가까워 내부 사진을 찍기가 불편하였습니다.

혹시 어느 부분을 찍으면 좋을지 알려주신다면 반영하겠습니다.

관리자님께서 말씀해주신대로, 아마 3층을 거치지 않고 2층으로 유입되는데에 사진에 찍힌 배관이 큰 원인이 되지 않았을까 짐작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러한 사진으로 원인을 짐작할 수 있을까요?

나아가, 현재 누수공사업자분이 1차적 원인이라고 판단되는 굴뚝 부분의 보수만 맡아주겠노라 하시는데 그쪽을 보수하고도 직접적인 2층 누수의 원인을 몰라 같은 사고가 반복될 것 같아 보류중입니다.
혹시 사진 상의 배관 등에 실리콘 처리 등을 하면 조금 더 나을까요?
G 환풍 07.24 00:46
벽지를 뜯어낸 부분 석고 보드를 들어내니 이러한 배관이 있었습니다
G 환풍 07.24 00:48
동일한 배관
G 환풍 07.24 00:50
누수되어 불어터진 우물천장 윗부분 역시 배관이 석고보드 바로 위에 이런 식으로 얹혀있었습니다
M 관리자 07.24 09:04
지금 거실 부분을 뜯으신 건가요?
G 환풍 07.24 13:31
네 거실 우물천장 부근입니다.  누수가 가장 심하게 되어 벽지가 까맣게 변한 부분이라 벽지만 뜯으려 했는데 석고보드가 부스러져서 교체겸 뜯었어요
M 관리자 07.24 16:13
그럼 관리사무소에 보관 중인 도면 중에 설비도면을 보시거나 물어 보셔서 이 배관이 무엇인지를 확인해 주시겠습니까? 대개의 경우 거실에 이런 배관은 없거든요.
G 환풍 07.24 17:53
이 주택이 전세사기로 인해 경매받은 다가구주택이라 설비도면을 보관하고 있는 분이 없을 것 같습니다...
M 관리자 07.24 18:27
그럼 이 배관이 천장에서 시작된 지점에 물이 떨어지는지를 보시고, 환기구 공사 후에 그 물이 그치는지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혹은 배관의 이음매를 통한 누수일 수도 있는데, 그렇다면 그 이음매를 제대로 연결해 주시면 되고요.
G 환풍 07.25 00:16
네 그렇게 조치하고 결과 댓글로 남기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 관리자 07.25 09:30
감사합니다.
G 환풍 07.28 15:08
안녕하세요. 배관이 천장에서 시작된 지점에서는 폭우 시 물이 물이 들어온 듯한 흔적은 있었습니다. 배관 이음새는 괜찮다고는 하셨어요.

아직 환풍기 벽돌탑 공사는 하지 않았고( 벤추레이터 아래 빠져있는 2개 관을 갈고리 모양으로 한 후 벽돌탑 밖으로 바람이 나올 출구를 만들고 현재 비닐이 막고있는 부분을 단단히 봉인하는 방식으로 안으로 빗물이 흘러들지 않도록 할 예정)
환풍구 벽돌탑에 있는 크랙은 실리콘 등으로 메꿈작업을 해두었습니다.

누수업자뷰 말씀으로는 환풍기 벽돌탑 바닥 부분이 누수 처리를 하나도 하지 않은 멘 콘크리트 상태였고 거기로 스며든 물이 3층으로 떨어졌으나 알 수 없는 이유로 3층에서는 그냥 물길을 따라 흐르기만 하고 2층에 와서야 누수로 터진 것 같다고 하셨습니다.

일단 위에 설명한 것처럼 공사 준비 중이고 마무리되면 석고보드 갈고 도배 작업 하려고 합니다. 부디 잘 잡히기를 바랄 뿐입니다.

관리자님 덕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지금은 한창 비가 말라 누수테스트가 되지 않는 상황인데 별고 없이 넘어가지 않는다면 결과보고차 댓글 쓰겠습니다. 감사합니다.
M 관리자 07.28 19:21
감사합니다. 아무쪼록 잘 해결되길 바라겠습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