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컨 결로에 대해 몇 가지 문의드립니다.

하자관련 질문/사례
질문 전에 먼저 검색을 해주세요.


에어컨 결로에 대해 몇 가지 문의드립니다.

G 으이 5 684 07.16 10:57

안녕하세요. 

우선 일 하면서 많은 도움 받고 있습니다 감사드립니다.

 

작년 4월쯤 인테리어 공사를 마친 집입니다.KakaoTalk_20250716_104518150.jpg

(에어컨 배관 시공 후 촬영한 사진입니다. 앞에 보이는 보온재에서 결로가 생겼습니다.)

 

첫 여름을 보낼때 거실 시스템 에어컨 판넬 앞 부분에 결로로 인한 곰팡이가 생겨,

에어컨 배관 보온재 작업을 다시하고, 석고작업 및 도배작업도 다시 진행하였었습니다.

KakaoTalk_20250716_104518150_01.jpg

 

이번 여름에도 에어컨을 가동하니, 작년 여름과 동일한 현상이 생겨 어떤 조치가 필요한지

고견을 여쭈어봅니다.

 

1. 우선 에어컨 업체에서는 에어컨 타공 부위가 넓다보니, 에어컨 공기배출구쪽이 살짝 쳐져서

찬 바람이 닿아 결로가 생겼을 수 있다라고 답변을 받았었습니다.

(이후에 에어컨 배관 단열작업 다시 시행하였습니다.)

 

2. 천장이 살짝 쳐져서 결로가 생기는거면 천장을 다시 보강후 작업을 하면 괜찮을까요?

(천장 보강할때 다루끼 사이사이마다 단열재도 넣을 생각입니다.)

 

3. 어떤 방법으로 조치해야 똑같은 상황이 발생하지 않을까요?

 

 

 

 

Comments

M 관리자 07.16 12:47
안녕하세요.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결로가 배관 단열재이ㅡ 표면에 생겼나요? 아니면 은박테잎이 붙어 있는 면에 생겼나요?
그리고 혹시 사용자가 냉방을 어느 정도의 강도로 몇 시간 정도 가동을 했는지 대략이라도 알 수 있을까요?
G 으이 07.16 14:09
답변 감사합니다
단열재 표면에 이슬처럼 생겨있었고?
올해 사용할땐 25도 강도로 12시간 이상 사용했다고 합니다.
M 관리자 07.16 17:24
이 경우는 상당히 어려운데요.
냉방 시간이 길면, 냉매배관의 온도가 매우 낮게 되고 결로가 생길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실내 습도 조절을 하는 건데요. 일정 시간은 제습모드로 돌려서 실내 습도를 내려 주어야 해요. 이 부분은 꼭 결로가 아니더라도 필요한 조치인데... 이 것만 사용자가 잘 해도 배관 결로로 부터 자유로울 수는 있습니다.

그게 어렵거나, 그게 뭔소리여 내가 잘못했다는 거야?  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차선은 배관단열재 두께를 늘리는 것인데, 사진의 공간으로 볼 때 쉽지 않아 보이네요.

에어컨 회사의 이야기로는.. 에어컨의 찬바람이 틈새로 들어가서 배관을 식힌 것 때문에 결로가 생겼기에 조치를 하셨다고 했는데.. 만약 그게 맞다면.. 말씀하신 것 처럼.. 에어컨의 바람이 배관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는 공사가 유효합니다. 단열재를 끼워 넣는 것을 포함해서요.

다만 배관 자체의 온도가 떨어진 것이 원인이라면, 단열 작업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습니다. 단열재로 인해 배관의 온도는 더 떨어질 수 있어서 그렇습니다.
그러므로 이를 감안하셔서 작업을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G 으이 07.16 17:47
확인해보니 저때 생산된 에어컨 모델중에서
비슷한 이슈가 있는 제품이 있다고 하여
정확히 확인 후 as진행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작성하였던 이유 말고 다른 이유때문에 하자가 발생한거였다면
내용 정리해서 공유드리러 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M 관리자 07.16 20:30
감사합니다. 아무쪼록 잘 해결되었으면 좋겠습니다.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