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수 공사 후 조언 문의

하자관련 질문/사례

2025년 1월 1일 부터, 아파트(공동주택)의 하자와 관련된 질문을 받지 않습니다. (누수,결로,곰팡이,창호,균열,소음,냄새,오차,편차 등등)

게시판을 운영하는 지난 10여년 동안, 나올 하자는 이미 다 나왔다고 볼 수 있기에, 질문이 있으신 분은 이 게시판에서 관련 검색어로 검색을 하시면 충분히 동일한 사례에 대한 답변을 찾을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전혀 사례가 없는 하자를 제외한 모든 질문글에 답변을 드리지 않고, 24시간 후에 삭제할 예정입니다.

답글이 없고, 글이 삭제되어도 마음 상하시는 일이 없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누수 공사 후 조언 문의

G 19 245 03.19 11:43

(원본 문의글 수정)

 

안녕하세요.
기존 온수배관 누수로 인해 바닥 전체 공사를 진행하였으며, 이후 공사 과정과 마감 상태에서 여러 문제가 발생해 전문가분들의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남깁니다.

[공사 개요 및 진행 과정]

  • 기존 엑셀(XL) 배관 철거

  • 해당 바닥 위에 온수/냉수/난방 배관(U핀 고정) 설치

  • 레미탈 몰탈 타설 및 양생 (약 3~4일)

  • 수평몰탈 마감
    프라이머는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시공사에 확인하였습니다.

[문제점 및 문의사항]

  1. 수평몰탈 전반에 실금(잔 균열)이 다수 발생

    • 균열이 바닥 전반적으로 퍼져 있으며, 눈에 띄는 선명한 실금들이 존재합니다.

    • 이 상태에서 마감해도 괜찮은지, 구조적 문제가 될 가능성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2. 보일러 작동 시 “딱딱”하는 소리

    • 시공 직후 보일러 작동 시 바닥에서 딱딱거리는 소리가 간헐적으로 발생했습니다.

    • 현재는 줄어든 상태이나, 다시 발생할 수 있는지 우려됩니다. (공사 마무리 후 1-2일만 확인 작업)

  3. XL배관이 외부 분배기 부분에서 이음 처리된 점

    • 통상 XL배관은 중간 이음이 없어야 한다고 알고 있는데, 집 외부 분배기 쪽에서 연결된 형태를 확인했습니다.

    • 이음 처리된 배관이 장기적으로 문제되지 않는 방식인지 확인하고 싶습니다.

  4. 분배기 하부에 우레탄 폼으로 마감한 부분

    • 벽면 타공부 및 배관 주변을 우레탄 폼으로 마감한 상태입니다.

    • 이러한 방식이 일반적인지, 방수나 단열 등 기능적으로 문제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5. 일부 구간에서 수평몰탈의 수평이 맞지 않고 꺼져 있음

    • 특히 문지방 아래쪽이나 다른 방과 연결된 구간에서 배관 하부가 평탄하지 않고 다소 꺼진 상태로 시공되어 있습니다.

    • 이후 몰탈 타설 및 난방 효과에 문제가 없는지, 장기적으로 하자 발생 가능성은 없는지도 확인 부탁드립니다.

[추가 우려 사항]
본 주택은 상당히 오래된 구옥으로, 만약 추후 전체적인 재시공이 필요하게 될 경우 구조적으로 집에 무리가 가지 않을지에 대한 우려도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부분도 함께 조언 부탁드립니다.

[참고 이미지]
아래 사진들을 참고 부탁드립니다.
(이미지는 각각 시공 전 배관 상태, 몰탈 타설 직후, 균열 상태, 분배기 부위 등 전체 진행 과정과 문제점들을 담았습니다.)

 

※ 본 글은 시공자에 대한 일방적인 비방이나 공격이 아닌, 현재 상황에 대해 전문가의 객관적인 의견을 듣고자 하는 취지로 작성되었습니다. 만약 시공상 문제로 판단된다면, 시공자와 협의를 통해 적절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03.20 10:12
안녕하세요.

글만의 정보로는 원론적 답변만 드릴 수 있음을 미리 양해 바랍니다.

------------
순서는 당사자간 계약서 또는 합의를 어떻게 하고 시작을 했는지 알 수 없기에 딱히 말씀을 드릴 것이 없으며, 균열은 그 폭에 따라 보수가 가능할 수도 있고, 철거를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게시판에서 '바닥 균열'이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서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G 03.28 09:32
수정 완료하였습니다.
M 관리자 03.28 19:01
1. 균열의 양상이 사진에서 보여지는 것 이상의 폭이 없다면 정상의 범위 내에 있습니다. 마감을 해도 괜찮습니다.

2. 앞으로 소리가 날지는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다만 난방배관의 고정이 잘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서 소리는 잦아들 확률이 더 높습니다.

3. 노출된 곳에서의 이음이라, (물론 이음이 없는 것이 더 낫겠지만) 괜찮아 보입니다. 이 위에 실리콘계 방수테잎을 감아 주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4. 사진이 없어서 무슨 의미인지 이해를 하지 못했습니다.

5. "이후 몰탈 타설"이 무슨 의미인지 이해를 하지 못했습니다.
G 03.29 11:26
(본문 사진 5장만 되어 추가 사진 첨부드립니다.)
4. 사진첨부완료 : 보수공사 필요여부 저 상태로 마감해도 지장 없는지 궁금합니다. (시공자분께서 샌드위치 판넬로 엑셀배관이 햇빛에 취약하고 밖에 분배기가 노출되어 있다보니 추위를 방어하고자 필요하다고 추천하긴 했습니다.) 샌드위치 판넬도 추가할까요?

5. (다음댓글 사진 추가) 맨 위 수평몰탈로 마감하였는데 문지방 아래부분으로 약간 꺼진 부분이 있습니다
G 03.29 11:36
추가질문)
1. 누수가 아랫층으로 되었던 기간이 장기간이라 지금 상태에서 언제쯤 바닥마감(장판)을 해야하는지 감이 안 잡힙다. 다른 글들 참고하니 최소 6개월 이상 말려야 한다는 글을 보았는데, 비닐로 테스트 해보거나 함수율 테스트기계를 사야할지 고민입니다. 대략적으로 공사가 끝난지 13일쯤 되었습니다.

2. 대표적인 방 한개만 사진첨부하였는디 다른 방들도 동일하게 균열들이 있습니다. (엑셀배관놓여져 있는 부분으로 금가고 해서 아래 배관 깔려있는 곳에 생활하다가 하중이 가해져 무리가 가는 것은 아닌지 걱정됩니다.) 저런 균열들은 원래 나는 것인지… 하자의 원인으로 볼 수 있는지의 여부도 궁금합니다.
M 관리자 03.29 14:18
4. 문제가 있다 없다 보다는 지금 상황에서 어쩔 수 없는 선택으로 보입니다. 다른 방법도 마땅치 않고요.
사진에 보이는 보일러(?)가 외기에 노출된 상태라면 패널 등 무언가로 막아 주는 조치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5. 꺼진 부분은 폴리머 몰탈이라는 것을 이용해서 레벨을 맞추어 주시면 되세요. 폴리머몰탈은 별도의 프라이머는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6. 들어간 물의 양을 알지 못하여 그 기간을 예측키는 어렵습니다. 몰탈 함수율 측정기가 몇만원 하지 않기에 사서 측정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니면 투명 비닐을 깔고 습기가 맺히는지를 봐야 하고요.

7. 난방 배관이 너무 얇게 묻혀 있어서 그렇습니다. 좋은 것은 아니나, 기존 바닥의 철거 없기 했기에... 두께를 더 높힐 수도 없었던 상황으로 보입니다.
이 깊이를 고려하면 균열이 갈 수 밖에 없으며, 무거운 가구(장롱 등) 중에서 다리 부분이 이 배관 자리에 걸리면 균열이 더 심해질 수 있기에, 가구 선정에 유의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G 04.01 13:14
7. 답변에 대한 추가 질문하나 드립니다.
- 수평 몰탈을 한번 더 해줄 수 있다고 했었는데 1cm정도(?) 현재 수평몰탈이 1cm-1.5cm 입니다. 도움이 되나요?
M 관리자 04.01 14:17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새로 타설한 수평몰탈의 균열은 감수해야 합니다. 최대한 보양(직달일사, 바람 등을 피하는) 을 해서 억제하고 그래도 나는 균열은 어쩔 수 없습니다.
G 04.01 14:29
도움되는 부분이 아래 하중이 갈 수 있는 것에 보완할 수 있다는 것으로 이해하면 될까요?
현재로서는 한번 더 타설한 뒤 잘 보양하여 마감하는 게 최선으로 이해해야 하는군요!
M 관리자 04.01 14:31
네 맞습니다. 난방배관에 무리한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G 04.01 14:34
네, 답변 감사드립니다. 답변 토대로 시공자분과 협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추가적인 질문사항 생기면 다시 댓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G 04.01 14:48
5. 저 위 꺼짐 현상은 수평몰탈 보강작업시 폴리머몰탈은 제외해도 되나요? 혹은 폴리머몰탈 보강후 수평몰탈로 맞춰야 할까요?
M 관리자 04.01 15:41
수평몰탈이 개입되면 폴리머몰탈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G 04.03 09:26
관리자님, 수평몰탈하려다 안하고(난방이 안 따듯할 거 같습니다ㅠ) 크랙보수랑 꺼진 부분만 폴리머몰탈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크랙보수는 1mm 폭들은 어떤 방식으로 보수가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M 관리자 04.03 12:32
그 정도의 균열은 보수를 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이유가 오로지 난방열 때문이라면 .. 반대로 타설을 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지금은 몰탈의 두께가 너무 얇아서, 배관이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온도편차가 켜져서 불괘감이 있을 수 있기에 그렇습니다.
대개의 경우 방통몰탈을 50mm 로 하는 이유 중에, 배관이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의 온도 차이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도 있거든요.
G 04.03 13:37
이미 레미탈 몰탈 타설한 뒤 수평몰탈(1~1.5cm) 완료한 것인데도 올리는 게 나은 건가요?
레미탈 몰탈은 정확하게 몇cm로 작업한지 가늠이 안 가는데
대략적으로 배관들이 묻힐 정도로 덮었다고 보면 2.5-3cm 정도로 예상되긴 합니다.
G 04.03 13:40
(레미탈 몰탈 사진 첨부)
M 관리자 04.03 14:17
더하신 거라면 하지 않으셔도 괜찮습니다.
G 11:51
관리자님, 안녕하세요.
현재 수평몰탈 위 화이바 매시망을 깔고 수평몰탈을 작업한다고 하시는데요.
바로 수평몰탈 치지 못하는 이유는 표면이 매끄러워서인거죠?
0.5-0.7mm 높이정도 나올거라시는데요. (양생 기간을 길게 달라고 했습니다.) 다른 방 먼저 테스트 진행하고 나머지 진행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보일라 온도를 70-80으로 돌리고 있었는데 앞으로는 40-50도만 돌려도 된다고 하시는데, 두께가 얇아서 그런걸까요?

만약 테스트 후 똑같이 금이 간다면 다른 방안을 생각하신 게
에폭시나 우레탄 방수 이야기를 하셨는데요. 어떤 게 더 도움이 되는건가요?



앞으로 보일라 온도는 70-80이 아닌 40-50도 설정해도 따듯할 거라 합니다. 다른
Categ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