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관련 질문/사례

방 모서리에 곰팡이가 피었는데 임시로 도배해도 되나요?

G 김정연 7 1,070 2023.03.03 06:40

안녕하세요! 신축 빌라 입주 1년차입니다.


결로 관련하여 알림글을 읽고 오늘 온습도계를 주문하였습니다.

 

 

그 전에 질문 드리고 싶은게 있어서 글을 올렸습니다.

 

일단 사진 올릴게요.

 

1.jpg


4.jpg

 

확대 샷과 위치 사진입니다.

 

벽지를 찢은 벽면은 베란다쪽이고 시멘트 벽입니다. 딱 이 벽만 곰팡이가 생겼어요~

벽지를 찢지 않은 벽면은 외부벽이고 뭐를 넣었는진 모르겠지만 두드리면 통통 소리가 납니다. 

 

제습기는 16년에 제조된거고 지금은 팔지도 않고 정보도 없어서 제습기에 표시된 습도가 얼마나 정확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방구조.png

 

이건 간단히 그려본 저희 집 구조이고요, 빨간 원은 벽 하단 모서리 부분에 곰팡이가 발생한 위치입니다~

 

추가 배경 사항입니다!

 

1. 제습기는 14평 정도 커버가 되는 제품이고 평소에 거실에서만 돌렸습니다.

 

2. 저희 집은 2층이고 1층은 주차장이라 실내 온도는 18~20도 내외지만 바닥이 매우 차갑습니다.

 

3. 방2의 빨간 부분에는 토퍼가 가깝게 있었습니다. 아무것도 없이 토퍼만 깔려서 딱 몸 뉘인 곳에만 곰팡이가 생겨서 온도차로 인해 모서리와 바닥에 곰팡이가 생겼나~하고 있었습니다. 

 

4. 방1 벽면 하단 모서리 부분 곰팡이보다 살짝 위쪽에 뭔가 젖은건지 풀이 묻은건지 벽지 색깔이 조금 진한 부분이 있습니다. 닦아도 지워지진 않아요. 그리고 이쪽 벽이 전부 차가워서 벽을 만지면 다른 곳보다 좀 축축한거 같긴해요.

 

 

 

이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1. 생활 습도로 인한 결로 시 외측 벽과 맞닿아 있는 방 모서리에만 곰팡이가 발생할 수 있나요? 

 

2.  방1의 빨간 부분에는 행거가 있긴 했는데 철제 프레임이 가까이 있긴 했지만 몰딩으로 인해 벽과 닿지 않았고요, 벽면에 옷이 닿지도 않았습니다. 게다가 옷 위치가 더 높아요. 옷들이 근처에 있기만해도 생길 수 있나요?

 

2. 온습도계가 오면 습도를 확인한 후에 생활 습도로 인한 결로로 의심이 된다면 하자 신청은 안되니까 셀프로 도배를 하려는데요, 곰팡이 생긴 부위만 잘라내고 곰팡이 제거제 뿌리고 초배지 붙이고 아무 벽지나 붙여도 문제 없을까요?

 

3. 생활 습도를 먼저 체크해야한다고 하셨는데요, 그러면 일주일 가량 저 벽지는 저대로 두어도 되는걸까요?

 

4. 벽지를 저렇게 한 후에 주변의 곰팡이를 닦고 있는데 찰흙 냄새가 나더라고요. 시멘트가 굳어도 벽지를 뜯으면 같은 냄새가 나나요?

 

 

질문이 많아서 죄송합니다 ㅎㅎ


답변 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Comments

M 관리자 2023.03.03 20:10
안녕하세요..

예측컨데 생활 습도로 인한 결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그저 우리나라 (1층에 주자장이 있는) 거의 모든 빌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인데요.
주차장과 2층 사이에 있는 슬라브에 단열을 하게 되는데.. 슬라브는 단열을 하지만, 보는 주차장 높이를 확보하면서 최대한 많은 면적을 만드려는 목적으로 단열을 생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혹은 얄은 열반사단열재 한 장 덮고 말기도 하고요.

그래서 이 쪽에서 생기는 열손실이 큰 탓이라고 보입니다.
아래 쪽에서 공사를 해야 하는 것이라서, 대부분 하자보수 신청을 해도 받아들여 지지 않고 있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어두운 이야기만 전해 드려서 죄송합니다.

다른 집의 사례는 아래와 같습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1&wr_id=55761

그림으로 그리면 아래와 같습니다.
9 잡자재 2023.03.03 20:20
미봉책입니다만 USB선풍기를 약풍으로 해당 부위에 켜놓으시면 결로 및 곰팡이 발생을 막을 수 있으실꺼에요.
G 김정연 2023.03.04 02:46
아 ㅠㅠ 그러면 해결 방법은 잡자재님의 의견외에는 없는 거죠? 전 집은 윗집 테라스 누수로 고생해서 2층으로 이사했더니 이제는 또 이런 일이 ㅠ..

관리자님 잡자재님 의견 감사드립니다
G 김정연 2023.03.04 05:07
죄송하지만 추가로 질문드립니다!

링크 주신 글에서는 실내 습도가 70퍼 이상이면 곰팡이 발생확률이 높다고 하셨는데요, 새벽에 측정한 바로는 곰팡이 위치로부터 150cm 위에 있는 온습계에서 온도 20, 새벽 0시에는 55퍼, 새벽 3시 습도 60퍼, 새벽 5시에는 샤워로 인해 65퍼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생활 습도와는 관계가 없을까요? 없다면 바로 건축주에게 연락을 하려고 합니다.
M 관리자 2023.03.04 07:45
65% 라면 샤워 후 환풍기를 바로 끄시는 것 같은데요. 건강습도는 50% 내외이므로 조금 높긴 합니다.
그래도 일단 연락은 해보시고 조치경과를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G 김정연 2023.03.04 11:08
감사합니다!
M 관리자 2023.03.05 16:59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