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말, 오래 초 대수선 관련 여러번 문의드렸었고 많은 도움 받았었습니다.
지나고 보니 참 잘못된 순서지만, 오래된 건물 골조에다가, 단열재(PF 보드), 석재 트러스, 석재 앙카, 외부 석재(라임스톤 계열) 을 차례로 시공하고, 마지막에 창호를 시공하게 되었습니다. 석재면과 창호마감면을 일치시키려다보니 단열재와 석재 사이에 각관이 시공되었고, 빨간색 네모처럼 창문 하부에도 각관을 트러스로 용접해서, 그 위에 창호 프레임이 얹혀진 구조가 완성되었습니다. 그래서 창호 설치 이후에도 구조체-단열재가 건물 내부에서 보이게 되었고 누수에 매우 취약한 건물이 되어버린 것 같습니다. 주 누수는 창틀 주변, 창틀 상하부인것 같습니다.
여름지나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1. 두겁과 석재-창호사이 코킹, 석재-석재 사이 코킹이 완벽하고 석재 크랙이 없다는 이상적인 가정하에도, 구조체와 단열재 사이로 물이 유입될 경로가 있을수 있나요? 발수제 시공이 잘 되어있는 라임스톤 석재의 경우에도 석재면을 통해 흡수된 물이, 구조체-단열재 사이의 의미있는 누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는 것인지 궁금했습니다.
석재면을 통해 들어오는 물은 그 양이 아주 많을것 같지도 않고, 설사 조금씩 유입되어서 아래층에서 모인다고 해도 이 건물 같은 경우엔 트러스 때문에 석재와 단열재 사이 공간이 매우 넓어서 구조체-단열재 사이로 유입될 것 같지도 않고요... 창틀에 동그라미 표시된 저 물의 출처가 궁금합니다.. 밤낮으로 고민해봤으나 답이 나오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2. 만약 가능하다면 빨간색 표시했듯 내부에서 ㄴ 자 모양의 어떤 시공을? 하면 안되는 것인지도 궁금합니다.
3. 창문 하부에도 각관을 트러스로 용접한 이후, 그 주변 공간이나 창호주위 빈 공간들을 면밀히 메우지 않고 시공을 했었습니다. 창호 주위 누수가 주 문제라면 지금이라도 그 빈공간을 모두 인젝션 자재로 메울수만 있다면 이론적으로 누수의 완전한 해결이 가능할지도 함께 문의드립니다.
(재시공이나, 창호 주위 마감을 철거하고 하는건 현재 상황에서는 조금 어려울 것 같습니다ㅠㅠ)
지나고보니 계단실 상부도 두겁시공이 안되어있더라고요... 경험을 통해 많은걸 배우고 있습니다 ㅠㅠ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1. 이론적 상태까지 완전한 외벽면이라면 물은 들어오지 않습니다. 다만 세 가지 이유로 이 이상적인 상태에 도달을 할 수 없는데요.
가. 시공성의 한계 : 먼지 등이 묻어 있는 표면에는 실리콘코킹이 완전한 접착이 되지 않는데, 정면에서 보면 이 붙어있지 않은 작은 틈새를 찾을 수 없습니다.
나. 압력차로 인한 물의 유입 : 거기에 더해서 , 외벽은 내외부에 이질적인 압력이 걸리게 됩니다. 특히 비보라가 심한 날에는 외기의 압력에 의해 물이 외벽면을 타고 위로 올라가는 현상이 있는데요. 이처럼 석재 마감인 건물에서는 위의 틈새 등으로 물이 빨려 들어가는 현상이 있습니다.
벽돌마감처럼 일정 간격으로 틈새가 있다면 오히려 압력차가 없어서 물의 유입이 덜한데, 석재 코킹 건물은 그렇습니다.
다. 실리콘 코킹의 수명 : 최근 많이 좋아지긴 했으나, 그래도 수명의 한계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준공초기에는 이상적인 상태를 유지했던 건물도 장기적인 건전성이 낮아지는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또한 발수제 역시 육안으로는 잘 확인되지 않는.. 잘 발라진 곳과 그렇지 않은 면의 차이도 생길 뿐더러 그 역시 수명이 있기도 하고요.
이로 인해 창문의 마감 후에 하는 것은 안되다는 결론에 도달을 하게 되고, 모든 선진국이 골조가 끝나면 창문을 먼저 달게 된 것입니다.
다만 이 모든 것을 떠나서, 이와 같은 경우는 외벽면 보다는 옥상의 난간 두겁 쪽에서의 빗물 유입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외벽면을 통한 유입은 아주 나중의 일이고요.
2. 이 부분은 .. 마감 전에 창문을 달면 그다지 중요한 것은 아닙니다. 결국 창의 고정과 마감에 따라서 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으니까요...
3. 달리 방법이 없습니다. 인젝션으로 그렇게 넓은 면을 채우는 것도 불가능하거든요. 그러므로 위에 언급드렸다시피 일단은 두겁 쪽을 살펴 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직접 쓰는 상업공간이면 저 정도는 그냥 참고 살수도 있겠는데... 임차인이 괜히 피해볼까 염려되는 마음입니다.. 감사합니다
그렇게 되면 단열재와 창틀 사이를 실리콘으로 붙이게 되는 꼴이라서 방수의 측면에서는 효과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최소한 창틀과 닿아 있는 단열재의 일부 (약 3cm)라도 잘라내고, 들어나는 구조체 표면과 창틀 사이에 실리콘을 이른바 떡칠을 하셔야 의미가 있습니다.
다만 각파이프를 고정하기 위한 철물의 위치가 제각각이기에 때문에, 창틀 전체를 둘러서 실리콘을 바르다 보면 그 철재 때문에 일부 메우지 못하는 구간도 있을 수 있습니다만, 그 것은 어쩔 수 없어 보입니다.
그리고 폼은 사용하시면 안되고요.
2. 창틀 전체를 따라 시공을 권고해주신 것이, 창틀 이외에도 어딘가로는 물이 들어오게 된다는 가정 때문인 것인지요?
3. 본래 글의 마지막 사진 기준으로, '구조체 표면과 창틀 사이' 라고 한다면 초록색을 실리콘 떡칠 함이 맞을까요?? 그런다면 본 구조체 기둥에 가려진 빨간 화살표 부분은 달리 방법이 없는 것인지,,
어떤 분야에서든 기본과 원칙이 중요하단걸... 다시 한 번 깨닫습니다. 감사합니다.
단열재도 아니고, 물을 흡수하는 폼도 방수층으로써의 역할을 하지 못합니다.
그러므로 이 건물을 건전하게 한다면 처음부터 아래와 같은 개념으로 콘크리트와 프레임 사이에 적절한 방수층을 형성했어야 했습니다.
폼은 방수가 되지 않기에 무용하고, 에폭시 주입은 이렇게 넓은 틈새를 메울 수도 없지만 단열재를 바탕면으로 주입을 할 수도 없습니다.
즉 메우지도 못하지만 메운다고 하더라도 단열재는 방수제가 아니기에 결국 누수를 막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창을 둘러서 하는 것은 권장이고, 주로 상부만이라도 보수가 되면 최악은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측면도.. (결코 기밀하게 시공되었다고 볼 수 없기에) 냉난방비용의 절감을 위해서라도 사방을 다 조치해 주는 것이 맞습니다.
비록 마음이 아픈 것은 누수이나, 냉난방 비용도 뻔하게 드러나지 않을 뿐, 개인과 국가의 손실이기 때문입니다.
즉, 신축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극히 작은 비용만 추가하면 수십년의 비용과 아픔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이게 잘 안되고 있는 현실이 아플 뿐이고, 이런 시장 밖에 만들지 못한 저희들 전문가라 주장했던 사람들 탓이라 죄송할 뿐입니다.
근데 그나마 버틸만 하다는 전제조건도, 누수에 취약한 이 건물 구조상 두겁과 외부의 미세 손상에 대한 보수도 매년 해야한다는 것이겠지요?
특히 비경화 실리콘을 사용하시면 거의 영구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단열재를 걷어 낼 때, 실리콘을 바를 콘크리트 표면에 단열재가 남아 있으면 안됩니다.
이 것만 된다면 외벽으로 다소 빗물이 들어와도 창틀 주변으로의 누수는 없으므로, 외벽을 보수할 일도 없으실거여요.
1번 사진에서는 빗금친 부분은 각관이 매립되어 있고, 내부가 기밀하게 시공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수박 두드리듯 손으로 쳐보면, 속이 빈 공간 같습니다. 그런 경우 인젝션 시공이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여기도 부분 철거하고 구조체, 단열재 사이를 실리콘 처리함이 맞을지요. 창 측면부는 조적 후에 미장했던것 같은데, 그 부분에 대해서도 보완이 필요할지 문의드립니다.
2번 사진에서는 초록 동그라미 부분의 단열재를 제거할 때, 구조체에 고정해둔 석재 앙카 부분도 있게 되는데 그 부분의 단열재 처리가 어려울 듯 한데 다른 방법이 있을지요...
그리고 x 자 부분은 그냥 철거해버리고 실리콘으로 면마감 후 석고보드로 마감해도 될런지 문의드립니다.
3번 사진에서는 옆에 기둥 때문에 접근이 어려울텐데요.. 외부 로프공을 통해 석재-창호 사이 실리콘을 제거하고 제거한 틈을 통해 저 부분의 단열재를 제거한 후 실리콘 시공함이 맞을지요?
4번 사진에서는... 저 부분은 234층 연창인데요... 저 부분에 대해서도 실리콘 떡칠이 의미가 있을지도 조언 부탁드립니다. .
늘 우문현답을 주셔서 감사할 따름입니다.
마지막 질문과 연관된 사항인데... 상부를 막으면 창문의 측면으로 흐를 가능성이 생기긴 하나, 하부와는 무관하기에 그렇습니다.
예측컨데 작업도 거의 불가능해 보이고요. 이를 전제로 말씀드리면..
그리고 이 모든 작업의 시작은.. 창호 주변의 외부 마감재를 철거하고 다시 하는 것이 되어야 합니다. 내부로 부터의 작업은 분명한 한계가 있으며, 목적을 이루지 못한 채 공사비만 들어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부에서 해야 한다면.. 안쪽에서 외부쪽으로 실리콘을 떡칠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에.. 금속후레싱 같은 것을 (야매 비슷하게) 끼우고 접착하는 것이 더 나은 결과를 보일 것 같습니다.
즉 아래와 같은 개념입니다.
그리고 하부는 그냥 두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또한 외부 줄눈의 틈새로 무언가를 하는 것도 불가능한 작업이며, 인젝션과 같은 공법은 콘크리트의 균열과 같은 틈새용도 이외에는 작업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기둥 등으로 가려져서 손이 들어가지 않는 부분은, 내부에서의 작업이라면 깨끗하게 포기를 해야 하고요..
다만 억지로 한다면 외부에서 유리를 빼낸 다음, 작업을 하는 방법이 있을 수는 있긴 한데, 이미 가설이 더 철거된 후라서 현실성은 없어 보입니다.
라고 하신다면, 트러스로 고정한 석재의 경우엔 그 시공의 난이도가 어려운 편일까요? 누수에 대한 신경을 쓰느니 재시공하는 편이 낫긴 하겠지만... 그마저도 저 원리를 완전히 이해하고 시공해주실 분을 찾기가 어려워보이긴 하거든요... 작업자를 어디를 통해서 구해야 할지도 매우 막막한 상황입니다 ㅠㅠ
4층의 경우에는 창 상부가 전혀 새지 않고 하부만 저렇게 새어나온단 것은, 두겁의 문제는 배제된 거라고 보아도 되는 것인지요? 아니면 두겁의 문제가 있다 하더라도 창 상부에 크랙이 없어서 창호를 통해 하부로 흘러나오는 것이라고 봐야할지 궁금합니다..
비바람이 아주 셀 때만 3,4 층은 저런 양상인데요, 제가 이따 창 하부를 한번 깨볼까 하는데 그건 의미있는 도움이 될지? 궁금합니다..
어차피 건물을 다시 짓는 정도의 개선책 말고는 해결이 안될 문제같기도 해서 매우 심란하지만.. 하는데까지는 해보고 싶거든요 ㅠㅠ
https://search.shopping.naver.com/catalog/41072166351?cat_id=50003464&frm=NVSCPRO&query=%EA%B2%BD%ED%99%94+%EC%8B%A4%EB%A6%AC%EC%BD%98&NaPm=ct%3Dll6bpw68%7Cci%3D44306d58a275f87c8ca6fd83dec9f52edf595226%7Ctr%3Dsls%7Csn%3D95694%7Chk%3Dba04a59ad23619b8d950db6f6ccf0d18a2e72b1e
그리고 이런게 비경화 실리콘이라고 보면 될까요?? 속경화는 있는데 포털에 비경화 실리콘이라고 치면 정보가 하나도 없어서... 바쁘신와중에 늘 감사합니다...
https://www.jabjaje.com/goods/goods_view.php?goodsNo=1000000440
그리고 하부는 극히 일부라도 깨보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리고 그 정보를 주시면 고민을 해 본 후에 제가 종합적으로 말씀을 드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럼 석재시공팀 + 이후 시공담당팀 따로 두 팀을 섭외를 해야되는거지요? 감사합니다.
가설재가 철거된 이후로는 장비를 타야 하는데.. 고가 위에서 석재 철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석재 시공팀은 새로 붙일 때만 부르시면 되시고, 철거에는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다만 올려 주신 사진으로 볼 때, 외벽의 시공에 일부 일관성이 없는 부분이 보여서요. 일하시는 분들이 취지를 이해하고 그 일관성에서 벗어난 상황에 맞는 판단을 할 필요는 있어 보입니다.
순서는 가설 (특히 보행자 보호를 위한 조치에 유의) - 석재 철거 - 창틀주변 방수 (비경화실리콘), 특히 알루미늄창틀의 경우 수평/수직 프레임이 만나는 모서리에서의 누수가 빈번하므로 그 프레임 모서리까지, 그리고 프레임에 앵커가 박혀 있다면 이 관통구멍에도 실리콘 도포필요 - 재 마감
의 순서입니다.
https://www.phiko.kr/bbs/board.php?bo_table=z4_03&wr_id=28904